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key factors for efficient maintenance of rapidly aging facilities. Therefore, the safety inspection/diagnosis reports accumulated in the unstructured data were collected and preprocessed. Then,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text mining analysis method. The derived vulnerabilities of tunnel facilities can be used as elements of inspec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cilities during regular inspections and daily inspections in the short term. In addition, if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other inspection results(safety, durability, and ease of use) are used for analysis, it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supporting preemptive maintenance decision-making in the long term.
        4,000원
        3.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5.
        2022.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읽기 능숙자 집단과 미숙 자 집단을 나누어 사고구술법을 활용하여 텍스트 유형별로 두 집단이 사용하는 전략 양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이 설명문을 읽을 때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만 서사문을 읽을 때 전략 각 범주의 분포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능숙자 집단은 텍스트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미숙자 집단은 거의 같은 전략을 사용하 는 경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능숙자 집단이 서사문보다 설명문에 더욱 뛰어나고 우세를 가졌지만 미숙자 집단은 설명문보다 서사문을 조금 더 빠르게 읽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6.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텍스트 유형(text types)이 지닌 고유한 수사학적 구조와 특징이 학습자가 텍스트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 기억, 학습 방법,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어떤 텍스트 유형을 제공했을 때 더 효과적인 영어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해서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학습의 효과를 어휘 기억력과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비교분석 하였는데, 텍스트 유형에 따른 단·장기 어휘기억 회상량 비교는 독립표본검정(T검정)을 통해 그리고 텍스트 유형별 어휘 학습 결과는 이원배치 분산분석(2-Way ANOVA)을 통해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서사적 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에 비해 단기 어휘 기억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장기 기억 측면에서 더 좋은 학습효과를 가져왔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어휘 능숙도가 낮은 경우 서사적 텍스트를 활용한 어휘 수업을 한 경우에 설명적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습한 경우보다 어휘 기억의 평균 차에 있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하위 학습자의 경우 서사적 텍스트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고르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텍스트 유형 기반 중등 영어 교육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교과서 및 교과 구성과 관련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