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지역사회 임상에서 치매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한 포괄적인 인지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치매환자의 중증도 파악을 위한 예비문항 구성과 치매 전문가 패널 21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문항 구성은 문헌고찰을 통한 항목을 수집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수집된 항목에 대한 폐쇄형과 개방형 문항으로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2차, 3차 조사에서는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조사하고, 최종 항목은 CVR, 수렴 도, 합의도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항목을 선정하여 도출하였다. 결과 : 문헌고찰을 통해 지역사회 임상에서 치매환자의 임상적인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예비 평가항목의 하위영역 5개, 문항 59개를 도출하였다. 1차 델파이 결과에서 3개 항목 삭제, 16개 항목이 추가되어 68 개 항목이 선정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에서는 내용타당도 비율 .42 미만인 항목 3개가 있었으나 문헌 고찰과 연구자 간의 합의를 통해 3차 델파이 조사에 포함시켰다. 3차 델파이 결과, 수렴도 .50 이상과 합의도 .75 미만인 항목 9개를 삭제하여 총 59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최종 델파이 결과, 각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는 .89, 안정도는 .12, 수렴도는 .43, 합의도는 .81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임상적인 치매 기능평가를 할 수 있는 항목들을 개발하고 평가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지역 사회 작업치료 종사자가 치매환자의 치매 기능을 임상적으로 파악하고 중증도에 따라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800원
        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quitable smart mobility indicators for road infrastructure user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lack of social equity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e perspective of road infrastructure users. METHODS : In this study, vertical equity was expressed as the ratio of tolls to users' willingness to pay, depending on the income level. In each area, the time of travels to frequent destination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road infrastructure configuration use of tolled and untolled roads. When using tolled roads to save travel time, users have to pay tolls. In this case, the number of tolls that users have to pay and the users’ willingness to pay for tolls in the area based on their income levels were compared to determine vertical equity differences. Here, users' willingness to pay was estima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travel time value based on the income level and matched with the income level of the area to determine residents' willingness to pay in the area. RESULTS :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equity for road infrastructure use based on income level. This difference in the indexing was reflected in developing an indicator based on distribution equity. CONCLUSIONS : The proposed vertical equity assessment method is relatively simple and can be utilized as a tool for establishing policies. As a basic tool for analyzing vertical equity in road pricing,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nalyzing the vertical equity of road users in countries such as Japan, where tolls for highways are very high, and the United States, where tolls are charged in forms of Turnpike and HOT.
        4,2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라쉬모델을 적용하여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참여와 환경평가(Participation and Environment Measure-Children and Youth; PEM-CY)의 평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5~13세 비장애 및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84명을 대상으로 PEM-CY의 자료를 수집하 였다. 원자료는 라쉬모델을 적용하여 PEM-CY의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 영역 척도(참여빈도, 몰입도, 환경적 촉진/방해요인)에 대한 평정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참여빈도 7점 척도는 가정 영역에서 3점 척도, 학교 및 지역사회 영역에서 4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몰입도 5점 척도는 가정, 학교 및 지역사회 영역 모두 3점 척도가 적합하였다. 환경적 촉진/방해요인 3점 척도는 모든 영역에서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4점 척도는 학교 영역에서만 적합하였으며,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에서는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라쉬모델을 적용하여 PEM-CY의 영역별 측정 변수에 따른 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새롭게 개발한 PEM-CY의 평정척도가 평가 과정에서 유용하게 적용되길 기대하며, 향후에는 다양한 대상자 및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활동참여 양상 및 환경적 촉진/방해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abeled magnitude scale (LMS) was proposed as the magnitude estimation of perceived odor intensity while the direct olfactory method is a basis of odor evaluation. Six chemicals (pyridine, ethanol, ethyl acetate, acetone, trimethylamine, and β-phenylethyl alcohol) were tested to demonstrate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odor intensity scale and the possibility of the alternative method. The 6-point odor intensity reference scale, which is wildly used in the field, has the inevitable limitation of the perceived magnitude of odor intensity. It has failed to express the magnitude objectively when odor intensity increased and the magnitude scale was limited. It was experimentally proven that LMS presents the function of the existing method and effectively evaluates the wide range of odor intensity.
        4,000원
        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사회참여도를 평가하는 사회참여 척도(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RNL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RNLI를 번역-역번역하여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안면타당도 검증은 K-RNLI(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대상자의 문항에 대한 이해도 정도로 검사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은 K-RNLI와 Frenchay 일상생활활동 자기평가 지수(Frenchay Activities Index; FAI), 삶의 만족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존의 도구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 가를 검증하였다. K-RNLI 신뢰도 검증은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내용타당도 검증에서 K-RNLI 도구 전체의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85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안면타당도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는 K-RNLI는 FAI(γ=.74) 와 SWLS(γ=.54)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신뢰도 검증에서는 내적일치도가 Cronbach’s α 값이 .99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9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사회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 로써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K-RNLI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사회참여 수준을 파악하고 중재계 획 및 중재결과, 연구를 위한 유용한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000원
        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Jae-hyun & Kim Han-sham. 2015. “Study on Development of Broadcasting Language Assessment Scal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91~112. Existing discussions about assessment scales of broadcasting language had different assessment items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and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to actually use them because no consideration was made to importance of assessment ite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ssessment scales with high validity and effectiveness for broadcasting language. For this, logical structure of evaluation category and assessment items of broadcasting language were drawn on the basis of advanced researches on requirements for broadcasting language. With respect to evaluation category and assessment items of broadcasting language, weight rating was conducted on 14 Korean language experts and 14 broadcasting expert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for the evaluation category based on assessment result, relative importance was calculated in the order of fairness(31.5%), publicness(26.15%), accuracy(24.75%), and soundness(17.60%). As for the evaluation items, ranking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Do you use expressions with low dignity?’, ‘Do you use discriminatory expressions?’, ‘Do you use biased expressions?’, and ‘Was incorrect transcription exposed on the subtitles?’ In addition to this, discussion was made about differences in evaluation outcome of Korean language experts and broadcasting experts.
        5,800원
        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Catherine Bergego Scale (CBS)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방법 :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K-CBS)의 개발을 위해 원 도구 개발자에게 한국에서의 번안과 사용을 허락 받았다. CBS 원문을 한글로 번안하여 번역-역번역 기 법에 따라 번역타당도를 구하고, 9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와 알버트 검사와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수렴타당도를 구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구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관성(Cronbach’s α와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s α)을 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병원에 입원, 외래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으로 인한 왼쪽 편마비 환자 127명을 대 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04월까지 진행되었다. 결과 : 번역-역번역 기법에 따라 번역타당도가 수립되었고,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지수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는 Pearson 상관계수가 선 나누기 검사(r=.719), 알버트 검사(r=.671)로 K-CBS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를 위한 요인분석 결과 10개의 항목이 모두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다. 내적일관성은 .956으로 항목간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해당 문항이 제거 되었을 때의 Cronbach’s α값보다 높아지는 항목은 없었다. 결론 : K-CBS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 써 높은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국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추후에는 K-CBS의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 검증 등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뇌졸중, 신뢰도, 타당도, 편측무시,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
        4,300원
        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wo hundred and eleven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GMFCS), Korean-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K-MACS), Korean-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CFCS), and self-care, mobility, and social function domains of the Korean-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K-PEDI) functional skills were measured by physical therapis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All of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DI functional skills (rs=-.549 to -.826) (p<.05). Especially, K-GMFCS, K-MACS, and K-CFC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obility, self-care, and social function, respectivel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established that K-GMFCS, K-MACS, and K-CFCS were predictors of self-care skills (74.3%) and mobility skills (79.5%) of the K-PEDI (p<.05). In addition, K-CFCS and K-MACS were predictors of social function (65.9%) of the K-PEDI (p<.05). The information gathered in this study using the levels measured in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may be useful to clinicians for estimating the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P.
        4,000원
        1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Measure is one of the external measures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clustering results. Though it has clear advantages over other widely used external measures such as Purity and Entropy, F-Measure has inherently been less sensitive than other validity measures. This insensitivity owes to the definition of F-Measure that counts only most influential portions. In this research, we present Fn-Measure, an external cluster evaluation measure based on F-Measure. Fn-Measure is so sensitive that it can detect their difference in the cases that F-Measure cannot detect the difference in clustering results. We compare Fn-Measure to F-Measure for a few clustering results and show which measure draws better result based upon homogeneity and completeness
        4,000원
        12.
        2012.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Measure is one of the external validity indexes for evaluating clustering results and has been widely used.Though it has clear advantage over other widely usedexternal measures such as Purity and Entropy, FMeasure has inherently been less sensitive than other validity indexes in some cases. This insensitivity owes to the definition of F-Measure that counts only most influential portions. In this research, we define a new validity index based on F-Measure, called Fn-Measure and show that it can detect the difference in the cases that original F-Measure cannot detect the difference in clustering results.
        3,000원
        13.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ance is a complex motor skill that depends on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sensorimotor processes and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ontexts. Many rehabilitation specialists believe that balance assessment under multitask conditions may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balance problems and falls than balance assessment in a single-task context. Functional Gait Assessment has many tasks that allow for testing under multitask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 Go" Test (TUG) in patients with stroke. One hundred and five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months post 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6 m with or without a mono ca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GA, BBS, and TUG was assessed using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The FGA correlated with the BBS (r=.80, p<.01) and TUG (r=-.77, p<.01). The good and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FGA, BBS, and TUG establishe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FGA in patients with stroke. These measures provide clinicians with valu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functional balance capabilities.
        4,000원
        1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4점 척도인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와 5점 척도인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3점 척도로 단순화시켜 원본 PASS, BBS와 특성을 비교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성뇌졸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PASS(0-1-2-3)는 PASS-3Level(0-1.5-3)로 BBS( 0-1-2- 3-4)는 BBS-3Level(0-2-4)로 기록하여 비교하였다. PASS-3L과 BBS-3L 평가의 측정자내·측정자간 신 뢰도는 급간내 상관계수를(ICC3,1), 절대적 신뢰도는 표준 오차 측정(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과 최 저 실제 차이(Small Reference Differences: SRD)를 이용하였고,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구하였다. PASS(PASS-3L), BBS(BBS-3L)의 동시 타당도와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퓨글 마이어 운동(Fugl Meyer-Motor: FM-M)과의 수렴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 분석을 하였다. 결과 : PASS-3L과 BBS-3L의 검사 재검사 신뢰도는 각각 ICC = .96, .96, 측정자간 신뢰도는 각각 ICC = .95, .94이었다. PASS-3L과 BBS-3L의 SEM은 각각 .99, 1.55, SRD는 1.74, 4.30, Cronbach's α계수는 .77, .85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PASS-3L의 동시 타당도는 PASS(r=.93), BBS(r=.75), BBS-3L(r=.80)과 유의한 관 련이 있었고, BBS-3L은 PASS(r=.80)와 BBS(r=.93)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PASS-3L의 수렴 타당도는 MBI(r=.60), FM-M(r=.42)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BBS-3L은 MBI(r=.79), FM-M(r=.48)와 유 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 2개의 단순화된 PASS-3L과 BBS-3L은 PASS, BBS와 비교하여 매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뇌졸 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4,500원
        15.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evaluation of physical and psychomotor domain in physical education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when it comes to developing and distributing new assessment toolkits of that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6,900원
        1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TV 화질에 대한 사용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화질평가척도를 개발하고, TV 화질의 심리 특성과 물리적 특성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TV 화질과 관련된 형용사 152개 중 집단설문(남녀 대학생 80명)을 통하여 TV 화질을 잘 표현하는 형용사로 19개의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형용사는 다음과 같다; '깔끔하다-지저분하다', '깨끗하다-더럽다', '산뜻하다-침울하다', '편안하다-긴장된다', '매끄럽다-거칠다', '밝다-어둡다', '화려하다-수수하다', '변화스럽다-단조롭다', '자연스럽다', '감각적이다', '만족스럽다'. 126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 형용사의 유사성 평정을 실시하고, 유사성 점수에 대하여 요인분석(주성분분석, oblique 회전)을 실시한 결과, '깔끔함' 차원과 '화려함'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31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TV 화질에 대한 감성과 물리적 특성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TV 화질에 대한 감성 형용사들은 밝기, 명암, 색농도와 색상의 변화에는 민감하였으나, 선명도의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ecklist of risk factors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shipbuilding workers. A key point was to develop comprehensive a checklist including the worker's physical ability, as ergonomic and workload factors. ln the firs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usculoskeletal complaints and physical abilities in shipbuilding workers, risk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bilities were selected. In the second, after the development of a checklist was composed of physical, ergonomic and workload factors, factor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checklist. Each factors selected finally showed that physical factors were hand grip strength, spinal curvature, and flexibility (sit to reach), ergonomic factors were posture, total exposed time, duration, and force of working, and workload factors were physical and psychological workload perceived by worker. The results showed that musculoskeletal complaints was associated with physical abilities (p<.05). The developed checklist had a reliability of .761 (Cronbach=.761) and a validity and explanation of 54.9%. The criterion of management was classified in 4 stages by relative weights of each factor. It is suggested that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to reduce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workers with more than a 14.31 score.
        4,000원
        1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writing skill is considered important in globalised societies nowadays, the skill is taught and assessed in English classrooms in Korea. As for assessment, however, there are no authoritative rating schemes suggested for classroom testing contexts. Given this lac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one of the existing scales, the FCE rating scale for writing assessment, to Korean high school contexts through bo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 empirical study. From both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the empirical study, in which three English teachers at Korean high schools were asked to assess 6 writing samples using the FCE scale and to do think-aloud during the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 FCE scale in this context tends to cause problems for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for the sake of validity, this kind of scale cannot be applied to the context for which it was not developed, an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ating scale,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est-takers, raters and assessment context in question.
        6,400원
        20.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evaluation of physical and psychomotor domain in physical education at middle school and provide data when it comes to development new assessment toolkits of that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
        7,7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