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4

        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punching treatment on mycelial culture and fruiting body productivity were investigated in a new Lentinula edodes cultivar, “Jadam”, in sawdust medium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oak mushroom. As the punching volume and number increased, the weight loss rate and color difference increased and the L value decreased. After spawn inoculation, the sawdust medium temperature and CO2 concentration reached their highest values at 33 and 19 days of incubation, respectively. The O2 concentration showed the lowest value on the 14th day of incubation, which was the opposite pattern to the CO2 concentration. As the punching volume and the number increased, the medium temperature and O2 concentration increased, and the CO2 concentration decreased. Higher punching volumes and numbers resulted in higher temperatures and lower CO2 concentrations. The best fruiting body yield was 5 × 70 mm - 30 (punching diameter × depth - number), and the total yield after three cycles was 644.7 g.
        4,000원
        3.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ore-less cultivar Lentinula edodes ‘Daedam’ was bred from monokaryotic strains of ‘LE15401-24’ and ‘LE192118-10’.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Daedam’ on potato dextrose agar was 22~25oC. Total cultivation period of the new cultivar, from inoculation to its first harvest, was 134 day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cultivar ‘Hwadam’. Total yield of ‘Daedam’ was 222g per 3kg substrate, and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266.0g). The fruiting body of ‘Daedam’ had a thick and small pileus and a longer stem compare to control cultivar. As a result of a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Daedam’ on the different substrate types, the biological efficiency was 26.7% in the 1.2kg cylindrical substrate(C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3kg rod-type substrate(RS). 'Daedam' had a similar yield compared to 'Hanacham' in first fruiting body production, but the cultivation period was 40 days shorter. Therefore, 'Daedam' can only harvest fruiting bodies once,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as spore-less oak mushroom cultivar for short-term cultivation instead of 'Hanacham' in mushroom farms.
        4,000원
        4.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chieve biological control of green mold disease in Pyogo mushrooms using antagonistic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BSM320 cells inhibited mycelial growth by 48–60% against three Trichodermaisolates including T. hazianumisolated from the substrates of Lentinula edodes, showing their antifungal activity.The bacteria were cultured to a high density of 4.2 x 109±113.7 cfu/mlin aqueous extract of compos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of L. edodes containing 1% glucose and showed a higher growth rate than that observed when using the commercial medium, Luria-Bertani broth. The bacterial culture showed a 75% protective effect without damaging the mushroom fruiting bod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subtilis BSM320culture is suitable for biological control of green mold disease during mushroom cultivation.
        4,000원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replace the imported Chinese complete medium for Lentinula edodes with a newly-developed complete medium that is suitable for export as well. Three media compositions that supported fast mycelium growth and higher density,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were chosen. Culture in the T13 medium reduced the incubation period for ‘Nongjingo’ by 12 days and for ‘Cham-aram’ by 10 days, compared to that required for the control; in addition, the number of days required for browning was greatly reduced for both varieties. The quantity of each mixed medium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from the 1st to the 5th cycle by 5.9% for ‘Nongjingo’ and 12.6% for ‘Cham-aram’ in T13,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A mixed medium comprising oak sawdust + Douglas fir sawdust + corn flour (40:40:20, v/v)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complete medium.
        4,000원
        8.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period of use of sawdust spawn at low temperatures and a nutrient supplement medium for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Hwadam’. Of the nutrient supplements, the total yield of rice bran (5%) + corn flour (5%) treatments were 673.3 g, which was higher than rice bran (551.6 g) and wheat bran (546.7 g) treatments, respectively. As shown by the growth of Lentinula edodes ‘hwadam' during to the sawdust spawn storage period (at 4oC), the period of spawn running, browning, fruiting body formation, and development was 27 d, 81 d, 5 d, and 11-13 d,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storage period at 4 oC. After 3 months of storage of sawdust spawn, the number of fruiting bodies and yield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Therefore, the period of use of sawdust spawn (at 4 oC)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of Lentinula edodes ‘Hwadam’ was a maximum of 3 months.
        4,000원
        9.
        202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 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및 간 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표고를 추출 및 농축하여 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3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표고의 농도를 달리하여 유산균을 배양하였을 때 면역관련 물질인 ergothioneine 및 β-glucan의 함량 을 측정한 결과 ergothioneine함량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plantarum이 첨가되어 배양된 발효물이 40.48 mg/100 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β-Glucan은 30 % 표고추출농축액에 L. brevis가 첨가된 발효물이 13.94 %로 가장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두 면역관련 물질 모두 표고추출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D rat을 간을 적출하여 일차 간세포로 분리해 발효물의 간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고추출농축액과 유산균 발효물을 10, 50, 100, 500 μg/mL을 일차 간세포에 처리 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10 mM 아세트아미 노펜을 처리하여 독성을 유발한 일차 간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여 AST, ALT, LDH를 측정한 결과, 효소의 농도가 감소하여 간보호 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L. brevis를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물 처리구에서 효소의 농도가 가장 감소한 것을 보았고, 가장 간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표고추출농축액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기존의 표고보다 면역관련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고, 간기능 보호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표고 유산균 발효물이 건강기능 소재로서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톱밥재배용 다수성 품종 육성을 위해 수집균주 중 우량계통의 단포자 교배로 육성한 ‘다담’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담’의 균사생장 적온은 19~22 ˚C, 발이 및 생육온도는 13~20 ˚C, 발생형은 산발형으로 대조품종 ‘화담’과 유사하였고, 형태는 평편형으로 평반구형인 ‘화담’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실체 갓색은 ‘화담’ 보다 진하고, 갓두께는 얇고, 대길이는 긴 특성을 가졌다. ‘다담’의 총 재배기간은 135~139일로 ‘화담’의 138~142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다담’의 3주기까지 수량은 621 g으로 ‘화담’ 371 g 보다 67% 많았다. 주기별 수량 양상을 보면, ‘다담’ 과 ‘화담’ 모두 3주기 수량의 80~83%를 2주기 동안 수확 할 수 있었다. 특히, ‘다담’은 1주기 수량비중이 60%로 ‘화담’ 52%보다 1주기에 수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보였다. 농가실증시험 결과, ‘다담’은 농가재배 품종인 ‘L808’ 보다 다소 갓크기는 작고 대길이가 길었고 재배기간과 수량은 큰 차이 없었다. ‘다담’의 발생한 자실체 개체는 1개 배지에 평균 15개로 ‘L808’의 47개에 비해 약 3배정도 적어 솎기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4,000원
        15.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munition Demilitarization facility (ADF) should be set up the feasible goals and continue to operate, taking into account non-profit characteristics. However, due to the lack of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s in ADF, which are essential to national policy at a significant cost each year,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results can be insufficient. In this paper, the Balanced Score Card (BSC) method was applied that could be evaluated to reflect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features. The relevant literature research and army regulations reflected the results of various interviews of the expert group. The extraction of success performance area in ADF was confirmed using the BSC method and the Decision Variable (DV) candidate was created to use regression for selecting the DV. Additionally,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 was presented by verification the feasibility of content by conducting the survey of experts.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BSC model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practical use in ADF reflecting the non-profit characteristics. Second, accurate evaluation of ADF can contribute to long-term development of ADF. Finally, it can be applied to the management process of the other military sector, so it can be expected to play a role in providing basic data and spreading it to other areas.
        4,000원
        1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 12개 지역에서 수집된 표고 768건, 표고배지 143 건의 시료를 대상으로 다종다성분 320종 및 단성분 mepiquat chloride에 대해 분석한 결과, 표고 4건, 표고배지 3건으로 총 7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성분은 carbendazim, diflubenzuron, fluopyram, dinotefuran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3건, 배지 1건으로 총 4건의 시료에서 carbendazim이 검출되었으나 각각의 검출량은 0.056 mg/kg, 0.17 mg/kg, 0.043 mg/kg, 0.09 mg/kg으로 MRL 인 0.7 mg/kg에 비해 소량으로 나타났다. Fluopyram은 0.068 mg/kg, dinotefuran은 0.06 mg/kg으로 모두 배지에서 각각 1건씩 검출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로 사용되는 mepiquat chloride는 본 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전체 수집표고 중 소수의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나, 등록되지 않은 농약은 PLS에 의하면 0.01 ppm이 최대허용치로 구분되어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하여 표고를 비롯한 버섯류의 안전성의 기준 작성에 필수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4,000원
        17.
        2020.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베트남의 중국어 학습자들의 개사 말뭉치(코퍼스)』 (2018년판)를 토대로 초급 중국어 수준의 베트남 학습자들의 지속상 표지 ‘着’ 오류 현황을 고찰한다.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오류가 ‘첨가’, ‘혼동’, ‘(필요 성분의) 누락’ 이라는 세 유형으로 귀납됨을 알아냈다. 그 결과 ‘첨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다음이 ‘혼동’ 오류이며, ‘(필요 성분의) 누락’ 이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오류 유형을 알 수 있었다. 목적어 규칙의 지나친 일반화가 이러한 오류들 의 주요 원인이었다. 필자는 이를 기반으로 교학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려고 한다.
        4,600원
        1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오랫동안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는 대중적 버섯으로 맛과 향이 독특하다. 또한 약리적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표고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에 의해 생산되며 원목재배 기 간은 4~5년인데 반해 톱밥재배는 6개월로 재배기간이 짧아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특히 산조 701호는 중고온성 품종으로 우리나라의 표고 톱밥 재배 대표적인 여름철 품종으로 재배임가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임가 소득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 품종 중에서 산조 701호의 육성내력과 다양한 실증시험, 국산품종 보급확대 등 우리나라 표고산업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기술하였다.
        4,000원
        20.
        2020.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톱밥재배 방식으로 생산하는 표고의 경우 톱밥배지에 종균이 접종된 후 배양 및 갈변까지 완료된 완성형 배지의 형태 를 구입하여 버섯을 생산하는 농가가 대다수이며 ,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표고 완성형 배지를 이용하는 재배 농가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표고버섯의 수출량은 105.5 105.5 톤(2019) 으로 팽이 , 새송이 , 느타리 다음으로 수출되었으며 수출 금액은 1,626 1,626천$(2019) 이다 . 수출 형태는 주로 건조버섯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 이외에 조제저장 , 생버섯의 형태로 수출되고 있다 . 신선버섯은 해외 수출을 위한 운송 수단에 따 라 유통기간이 크게 좌우되므로 완성형 배지로 수출 형태 전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 수출 맞춤형 완성형 배지의 가장 적합한 배지조성을 설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시험품종은 ‘농진고 ’ 품종과 ‘참아람 ‘ 품종을 사용하였다 . 배지 재료의 주재료로는 참나무톱밥과 미송톱밥을 사용하였으며 , 영양원으 로는 미강 , 밀기울 , 대두박 , 파옥쇄를 사용하여 혼합비율을 달리한 20 처리를 하였다 .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