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imed to develop outstanding domestic varieties suitable for both columnar and cylindrical-shape substrates, aiming to replace foreign varieties. and bred a high-quality new strain named ‘Charmjon’, using genetic resources collected from Japan and China. The optimal cultivation temperature for Charmjon’s mycelial growth was found to be 25°C, and its mycelial growth at 15°C and 25°C was superior to the control variety. In terms of mycelial growth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ubstrate, Charmjon exhibited excellent mycelial strength on PDA medium compared to the control variety. Through columnar and cylindrical-shape substrates cultivation, we assessed the quant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uiting bodi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Charmjon can be produced stably using both cultivation methods, and it showed higher yields and individual weights than the control variety.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pileus was notably darker, and the shape of the pileus varied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method. The test of genetic diversity revealed that Charmjon has distinct genetic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control varieties.
        4,000원
        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ore-less cultivar Lentinula edodes ‘Daedam’ was bred from monokaryotic strains of ‘LE15401-24’ and ‘LE192118-10’.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Daedam’ on potato dextrose agar was 22~25oC. Total cultivation period of the new cultivar, from inoculation to its first harvest, was 134 day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cultivar ‘Hwadam’. Total yield of ‘Daedam’ was 222g per 3kg substrate, and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266.0g). The fruiting body of ‘Daedam’ had a thick and small pileus and a longer stem compare to control cultivar. As a result of a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Daedam’ on the different substrate types, the biological efficiency was 26.7% in the 1.2kg cylindrical substrate(C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3kg rod-type substrate(RS). 'Daedam' had a similar yield compared to 'Hanacham' in first fruiting body production, but the cultivation period was 40 days shorter. Therefore, 'Daedam' can only harvest fruiting bodies once,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as spore-less oak mushroom cultivar for short-term cultivation instead of 'Hanacham' in mushroom farms.
        4,000원
        4.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mushroom varieties for cultivating at low temperature on oak logs, a strain with a low fruiting body generation temperature was crossed with Di-mon to select for a line with excellent properties. Selection was followed by cultivation testing. From these studies, Heunghwa 1ho was identifi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cultivating Heunghwa 1ho, was 13.3oC. The fruiting temperature range was 6.4~20.2oC, identical to that of the parent strain. Growth at 25oC for 7 days achieved optimal mycelial growth of 61.9±2.10 mm, superior to growth of the parent strain at this temperature. The cap shape of Heunghwa 1ho was convex, cap diameter was 57.8±8.31 mm, and cap color was brown. Heunghwa 1ho showed similar genetic traits to those of the parental strain. However, dry weight (20.1 kg/m3) and cap diameter and color are superior to those of the parent strain. The 3 year fresh oak mushroom yield was 113.8 kg/m3, superior to the respective yields of the parent strains JMI 10047 and JMI 90021 (92.5 kg/m3 and 66.4 kg/m3).
        4,000원
        5.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Lentinula edodes cultivar (Chamaram, Sanbaekhyang, Sanjo 713ho, Sanjo 715ho, Sanjo 718ho)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decolorize Remazol Brilliant Blue R (RBBR) in MEB medium, respectively. Chamaram and Sanjo 713ho decolorized RBBR rapidly in MEB medium within 3 and 5 days. The activities of manganese peroxidase (MnP) and laccase were determined on the MEB medium with and without lignin. Sanjo 713ho resulted the highest ligninolytic enzyme activities on incubation day 1, indicating of 1,213 U/mg of MnP activity and 1,421 U/mg of laccase activity.
        4,000원
        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원목재배용 표고(Lentinula edodes) 국산 품종에 대한 장흥지역에서 적합한 표고품종 선발을 위해 국내산 총 5개(천백고, 수향고, 백화향, 풍년고, 산조303호) 품종과 일본산 2개(모리290, 모리유지로) 품종을 선택하여 적합품종 선발을 위해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생산량 조사결과 산조303호가 40.9 kg으로 모리290 39.2 kg, 모리유지로 37.7 kg 보다 우수한 생산량을 보였다. 표고의 품질은 백화향이 갓이 반구형으로 형태가 우수하였으며, 화고형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재배중인 일본산 품종과 발생특성이 유사하며 생산량이 우수한 산조303호와 고품질의 표고를 생산하는데 유리한 백화향이 장흥지역에서 적합한 국산 표고품종으로 선발하였다.
        4,000원
        9.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버섯은 톱밥배지 재배기술의 발달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식용되는 버섯이며, 톱밥배지를 이용하여 재배된 표고버섯의 생산량이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톱밥재배 표고버섯의 품종별 식품학적 차이를 비교하고자 동일 조건에서 재배된 산조701호, 산조707호, 산조715호, 참아람, L808 총 5품종 표고버섯의 일반성분,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동결건조된 표고버섯의 일반성분 함량은 회분 4.06~5.92 g/100 g, 조지방 0.75~1.02 g/100 g으로 품종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조단백질은 21.24~29.15 g/100 g으로 품종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Trehalose는 산조701호에서 9.60±0.08 g/100 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총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aspartic acid>leucine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보인 아미노산은 glyc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산조707 호, 산조715호, 산조701호, 참아람, L808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산조715호가 3.49±0.04 mg GAE/g, 1.33±0.03 mg Q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품종 들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같은 톱밥배지와 환경에 서 재배된 표고버섯 5 품종간의 유의적 차이가 확인된 성분은 조단백질, trehalose, 6종의 아미노산이었다. 하지만 한 곳의 임가에서 재배된 표고버섯 품종간의 비교 결과로, 품종별 시료 수를 확대한 추가실험을 통하여 품종 간의 구별 가능성을 더욱 세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0.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 톱밥재배용 다수성 품종 육성을 위해 수집균주 중 우량계통의 단포자 교배로 육성한 ‘다담’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담’의 균사생장 적온은 19~22 ˚C, 발이 및 생육온도는 13~20 ˚C, 발생형은 산발형으로 대조품종 ‘화담’과 유사하였고, 형태는 평편형으로 평반구형인 ‘화담’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실체 갓색은 ‘화담’ 보다 진하고, 갓두께는 얇고, 대길이는 긴 특성을 가졌다. ‘다담’의 총 재배기간은 135~139일로 ‘화담’의 138~142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다담’의 3주기까지 수량은 621 g으로 ‘화담’ 371 g 보다 67% 많았다. 주기별 수량 양상을 보면, ‘다담’ 과 ‘화담’ 모두 3주기 수량의 80~83%를 2주기 동안 수확 할 수 있었다. 특히, ‘다담’은 1주기 수량비중이 60%로 ‘화담’ 52%보다 1주기에 수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보였다. 농가실증시험 결과, ‘다담’은 농가재배 품종인 ‘L808’ 보다 다소 갓크기는 작고 대길이가 길었고 재배기간과 수량은 큰 차이 없었다. ‘다담’의 발생한 자실체 개체는 1개 배지에 평균 15개로 ‘L808’의 47개에 비해 약 3배정도 적어 솎기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4,000원
        1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오랫동안 식용으로 애용되고 있는 대중적 버섯으로 맛과 향이 독특하다. 또한 약리적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표고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에 의해 생산되며 원목재배 기 간은 4~5년인데 반해 톱밥재배는 6개월로 재배기간이 짧아 원목재배에서 톱밥재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특히 산조 701호는 중고온성 품종으로 우리나라의 표고 톱밥 재배 대표적인 여름철 품종으로 재배임가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임가 소득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재배 품종 중에서 산조 701호의 육성내력과 다양한 실증시험, 국산품종 보급확대 등 우리나라 표고산업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기술하였다.
        4,000원
        13.
        2020.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표고버섯의 맛과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동아시아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기후변화와 재배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표고버섯 품종개발의 요구도는 날로 높아지는 실정이다. ‘밤빛향’은 산백향과 산조707호을 모본으로 하여 일핵 균주간의 교잡을 통해 새로이 육성된 품종이다. 배양기간 은 100일이며, 발생온도가 11-20°C로 한여름과 한겨울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 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버섯의 형태는 평반구형으로 대는 갓의 중심에 위치하며, 갓의 직 경은 69.6 mm이며, 갓의 두께는 15.2 mm이다. 버섯 갓의 색깔은 진한 갈색으로 일반적인 표고의 갓 색깔보다 짙다 . 버섯의 주름살 측면의 모양은 부정형으로 주름살의 밀도는 보통이지만, 폭이 좁다. 인편의 색깔은 옅은 미(米)색 이며 인편은 갓의 전체에 퍼져 있다. 대의 모양은 기둥형과 깔대기형이 섞인 모양이고, 색깔은 옅은 미(米)색으로 주름살의 색깔과 같다. 대의 표면에는 털이 있으며 털의 색, 대의 털 색, 갓의 인편 모두 옅은 미(米)색으로 존재한다. 버섯은 산발 발생하여 솎아주기가 거의 필요 없다. 모 균주인 산백향과 산조 707호와의 대치배양에서 확연하게 대치선을 형성하였다. 종합적으로 자실체의 형태는 정성적으로 양호한 평가를 얻었고 정량적으로 대조품종 산백 향의 대길이보다 약 9% 줄이는 효과와 갓두께는 16.9% 두꺼운 결과를 얻었다. 목표로 했던 모균주 산조707호의 짧은 대길이의 특성이 유전되었고 산백향의 생산성이 유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0.
        2019.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