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GaN)1-x(ZnO)x solid solution nanoparticles with a high zinc content are prepared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and subsequent nitridation. The structure and morphology of the samples a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ion (XRD),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show a phase transition from the Zn and Ga-based oxides (ZnO or ZnGa2O4) to a (GaN)1-x (ZnO)x solid solution under an NH3 atmosphere. The effect of the precursor solution concentration and nitridation temperature on the final products a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o obtain (GaN)1-x(ZnO)x nanoparticles with a high Zn concentr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owder synthesized from the solution in which the ratio of Zn and Ga was set to 0.8:0.2, as the initial precursor composition was composed of about 0.8-mole fraction of Zn, similar to the initially set one, through nitriding treatment at 700oC. Besides, the synthesized nanoparticles exhibited the typical XRD pattern of (GaN)1-x(ZnO)x, and a strong absorption of visible light with a bandgap energy of approximately 2.78 eV, confirming their potential use as a hydrogen production photocatalyst.
        4,000원
        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leic acid의 분자분절 운동에 대한 cholesterol 유도체들의 영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소량의 첨가물들이 포함된 oleic acid 시료에 대해 밀도, 점성도, IR, 1H NMR, self-diffusion coefficient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통하여 cholesterol, cholestanol, cholestane, cholesteryl oleate, benzene, ethanol 등의 첨가물이 포함된 oleic acid 시료에 이들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 수 있었다. OH기와 하나의 이중결합을 갖고 있는 cholesterol은 oleic acid의 점성도는 크게 증가시켰으나, 자체 확산계수, 분자내 운동은 감소시켰다. 다른 첨가물들을 시험한 결과 OH기의 유무, 이중결합의 정도에 따라 영향이 변화하였다. 벤젠과 에탄올의 경우 점성도는 감소하였으나 자체 확산계수와 분자내 운동은 증가하는 현상를 보여주었다. 이들 실험을 바탕으로 oleic acid는 에탄올 뿐 아니라 cholesterol과도 착물을 형성하고 또 착물이 이뤄지는 메카니즘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들 착물 형성과 oleic acid 이합체로 이루어진 집합체의 성질 조사를 바탕으로 oleic acid의 분자분절 운동에 대한 cholesterol 의 영향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ellulose acetate (CA) has been used for microfiltration/ultrafiltration applications because of its good solubility in common solvents. However, it is sensitive to chemical and physical degrad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cellulose acetate was crosslinked with terephthaloyl chloride (TPC) in dimethylacetamide (DMAc) solution to complement these weakness. Cross-linking was confirmed by increasing in dope solution viscosity and FT-IR. To indicate the chemical resistance, weight loss was observed after the cross-linked CA membranes were immersed in ethanol, hexane, acetone and DMAc solvent for 24h.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the tensile strength. In the result of experience, effect of the degree of cross-linking by increasing of the concentration of TPC improved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CA.
        5.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역 참다래 과원의 영양진단을 통해 참다래 수체 내 영양상태를 파악하여 시비기 준을 설정하기 위해 제주지역의 참다래 과원 110 곳의 토양과 참다래 잎을 조사하였다. 참다래 수체의 영양진단을 위한 엽채취 시기는 엽내 성분 함량이 가장 안정된 시기인 7 월 중순~8월초가 가장 적당하였다. 참다래 엽내 무기성분 평균함량은 질소 2.74, 인산 0.20, 칼륨 1.91, 칼슘 1.91, 마그네슘 0.51% ,철 147.0, 망간 160.1, 아연 54.0mg/kg 이었다. 엽내 무기성분 함량의 예상 임계치를 설정하여 정상 범위를 구한 결과, 질소는 2.5~3.0, 인산은 0.16~ 0.24, 칼륨은 1.80~2.44, 칼슘은 1.95~2.63, 마그네슘은 0.39~0.63%였다. 제주지역 참다래원 토양의 이화학성은 pH 5.46, 유기물 9.69%, 유효 인산 220.7 mg/kg, 치환성 칼륨 1.1, 칼슘 4.1, 마그네슘 1.48 c㏖/kg, 양이온 치환용 량 16.18 c㏖c/kg이었다.
        6,700원
        6.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를 2cm 크기로 자르고, 30%를 사용하여 전분을 1% 가한 것과 가하지 않은 동치미를 담가 4℃에서 30일간 발효시켰다. HPLC 및 TLC 분석결과 전분을 가하지 않은 동치미에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가 있었고, 발효진행에 따라 이들의 함량이 낮아졌다. 전분을 가한 동치미는 아밀라아제의 작용으로 이들 당 외에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가 생성되었다. 전분을 가하지 않은 동치미는 30일 발효후 환원당 361㎍/m1, 아밀라아제 활성 0.012unit/ml, pH 3.82, 산도 3.0을 나타냈다. 전분 1%를 가한 동치미는 환원당 329 ㎍/ml, 아밀라아제 활성 0.04unit/ml. pH 3.8, 산도 3.15를 나타냈다.
        4,000원
        7.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조 조건을 달리한 4가지 chitin으로부터 제조된 chitosan의 물리화학적 특성인 점도와 탈아세틸화도를 측정하였으며, 4종류의 chitosan이 첨가된 깍두기를 제조하여 chitosan을 첨가하지 않은 깍두기를 대조군으로 하여 20℃에서 2일, 4일, 6일, 8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pH, 적정산도, 깍두기 국물의 점도 및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hitosan 용액의 정도는 313.1~98.8 cps로 나타났으며, chitin 추출시 염산의 농도가 낮은 것이 점도가 높았으며, 반응 온도가 낮을 때 더 높은 점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chitosan 용액의 유동학적 특성은 의가소성 유체(pseudoplastic fluid)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IR 분석 결과 chitosan의 탈아세틸화도는 92~96%로 높게 나타나, 점도와는 달리 chitosan의 원료가 되는 chitin의 제조조건에 의해서는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모든 시료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pH는 감소하고 적정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대조군에 비해 chitosan 첨가군이 pH는 높고 적정산도는 낮은 값을 계속 유지하였다. 깍두기 국물의 점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저장 8일째에는 대조군이 chitosan 첨가군에 비해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총균수는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chitosan 첨가군의 경우가 대조군에 비해 약간 많았고, Leuconostoc 속 미생물 수는 약간 적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김치의 부패균으로 알려진 Lac. plantarum의 수에 있어서는 제조시 HCl의 농도가 낮고, 반응 온도가 높은 chitosan C를 첨가한 군이 대조군이나 다른 chitosan 첨가군에 비해 저장시 증가 속도가 약간 느렸다.
        4,000원
        8.
        198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rface 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surface tension, Ross-Miles foaming power, foam stabilities, emulsifying properties, emulsion stabilities, effectiveness of dispersion, dispersion stabilites of the quaternary ammonium salt type deoxyaminoimositol derivatives such as sixteen kinds of dimethylafkyl-deoxyscyllo-inosityl- dimethylalkyl-2-deoxy-2-myo-inosityl-, dimethylakyl-2-deoxy-2-epi-inosityl- and dimethylalkyl-4-deoxy-4-myo-inosityl ammonium chlorides are tested. And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these compounds are estimated from the curves of surface tension and concentr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embers of this class of compounds have necessary surface active properties to make them effective surfactants.
        4,000원
        9.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ot-rot disease is a serious problem in ginger cultivation fields and it reduces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ging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n the changes of ginger growth. As comparing the sel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after harvesting the ginger plants with those before planting them,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and exchangeable Mg2+ increased, whereas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exchangeable K+ content decreased. Potassium (K) concentrations in ginger plant were markedly higher in both its shoot and root parts ranging from 63.9 to 72.3g kg-1 and from 27.6 to 37.3g kg-1, respectively,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decrease of exchangeable K+ content in soils. Incidence rate of ginger root-rot disease in the plots ranges between 26.7% and 88.1%. It was higher in low elevation plots with clay loam soils than in high elevation plots. In addition,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increased as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and humid condition during the growth and maturity stages of ginger. Therefore, soil texture, field slop, and drainage system as well as chemical properties should be considered to cultivate ginger plant.
        10.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고비용의 실리카흄의 대체재로서 인산부산석고와 카올린을 활용한 시멘트매트릭스의 화학적, 기계적 성질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인산부산석고는 이수석고 형태인 건조석고, 반수석고, Ⅲ형 무수석고, Ⅱ형 무수석고로 실험용시료를 제조하였으며, 900℃에서 소성된 카올린은 서냉과 급냉의 형태로 제조된 메타카올린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또한 이재료를 활용하여 혼합시멘트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멘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흄을 혼입한 시멘트 매트릭스와 재료적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급냉제조된 메타카올린이 다른 재료에 비하여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1.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의 묘기 광상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트를 대상하여 광물학적, 물리화학적 성질 및 열적성질을 측정하였으며, 이 연구의 주목적은 악틴족 원소인 U, Th과 란탄족 원소인 Ce, Eu에 대해 천연산 Na-형 벤토나이트의 흡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묘기 벤토나이트는 pH 10.4 정도로 높은 알카리성을 나타낸다. 또한 높은 점도, 팽윤도, CEC 값을 나타내고, 수용액과의 반응에서 짧은 시간에 안정화되어 균질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화학성분 분석결과 Na2O가 CaO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묘기 벤토나이트를 구성하는 스멕타이트는 Na-형에 속한다. 열분석 결과 벤토나이트의 전암시료와 점토입자 이하 시료는 각각 591℃와 658℃에서 분해됨이 확인되었다. 점토입자 시료 0.2g을 U. Th, Ce그리고 Eu의 각 여러 농도별, pH별 용액 20mL와 반응시킨 흡착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농도 및 pH변화에 따른 흡착량의 변화는 Ce, Th과 Eu용액의 경우 비교적 일정한 흡착량의 감소를 보이나, U용액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pH가 증가될수록 급격한 흡착량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흡착능력은 Ce, Th, Eu, U 순으로 나타난다. 벤토나이트의 Ce, Eu, Th, U 흡착은 스멕타이트의 양이온교환반응과 표면흡착반응 이외에도 수용액에 존재하는 이온들이 다양한 화학종의 형성과 침전물 형성이 흡착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반되는 제올라이트가 이들 원소들의 흡착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12.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제 3기층 퇴적분지 내에 분포하고, 유사한 지질환경에서 형성된 일본의 2개 광상 (Tsukinuno 및 Tomioka)과 국내 5개 광상(두산, 나아, 옥산, 동양 및 연일16호)에서 산출하는 7개 벤토나이트를 대상으로 광물학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주 지배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 시료들 중 츄키누노(Tsukinuno) 광석은 천연산 Na-형 벤토나이트이며 나머지는 모두 Ca-형 벤토나이트이다.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이지만 모든 물성이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벤토나이트의 물성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점토광물류의 경우는 입도 분포가 물성을 지배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입도 분포와 같은 물리적 요인을 동일시한다면 광물학적 요인이 우세하게 영향을 미친다. 벤토나이트의 주성분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비와 층 전하에 따라 몇 가지 물성은 지배된다. 특히 층 전하값은 몬모릴로나이트의 양이온 교환능과 메틸렌블루 흡착량을 크게 지배한다. 부성분광물로 산출하는 불석과 황철석의 함량비가 물성을 크게 지배하며, 불석이 우세하게 산출하는 광석은 강한 알카리성을 띠며 양이온 교환능을 상승시키나 팽윤도, 점도, 강도 등의 다른 물성을 저하시킨다. 황철석이 함유된 시료 는 생형 압축 강도와 습태 인장 강도 값을 극히 저하시킨다. 층간 교환성 양이온 종에 따라 물성이 크게 달라지며, Na-형 벤토나이트는 Ca-형 벤토나이트보다 극히 향상된 팽윤도 및 점도를 보이며 보다 강한 알카리성을 띤다. 또한 몬모릴로나이트 결정크기와 형태가 물성을 지배하는 요인이 되며, 결정도가 우수하여 결정크기가 크고 얇은 엽편으로 구성된 광석에서 비 표면적, 양이온 교환능, 점도, 팽윤도, 메틸렌블루 흡착량, 생형 압축 강도 및 습태 인장 강도를 향상시킨다. 국내산 두산 벤토나이트가 가장 우수한 물성을 보이는 주 요인은 높은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와 우수한 결정도에 기인된 것으로 해석된다.
        13.
        199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옥수수의 자식계 9계통에 화학적 돌연변이 유기제를 처리하여 얻어진 M1 , 식물들은 형태적으로 왜성화, 백색화등 다양한 변이체로 나타났고 생식기관의 변이는 자성개체, 웅성개체, 자웅동화, 다수성들을 보였고 부임개체들이 증가하였다. 2. mutagen의 종자침지처리후 이삭에 수분방지대를 씌웠을때는 3.9-11.2%의 이삭착립율이 나타났으나 이삭당 성숙립수는 3.8-4.3게에 불과하였다. 한편 mutagen의 이삭주입처리에서는 5.1-10%의 착립이삭율과 이삭당 성숙립수는 1.7-6.3이었고 자연수분후 4시간만에 웅사를 절단하였던 이삭들은 착립이삭수가 27%로 증가하였다. 3. Mutagen처리와 수분방지처리에서 형성된 종자들의 조직학적 관찰은 aposporous apomictic reproduction이나 adventitious embryony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M2식물의 근단염색체를 조사하였을때 모두 2배체로서 확인되었다. 4. 무배합생식성 종자에서 출현된 식물들은 초장의 변이계수가 4-6%로 비교적 낮았고 외부형태상의 균일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 무배합생식성과 결부된 표식형질을 발견할수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