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7

        8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iscusses the community of participants in new media-based art of Taeyoon Choi, Wafaa Bilal and Mushon Zer-Aviv in relation to current discourses on social functions of art by Nicolas Bourriaud and Jacques Rancière. Focusing on these artists' participatory projects which aim to provide alternative perspectives on wars between countries, to raise awareness about expanding surveillance systems in city spaces, or to create new public spaces on the web, this paper argues that their works hybridize entertainment culture and political activism to suggest a new model for political art.
        4,600원
        8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na Hatoum and community make unlikely bedfellows. From her beginnings as a teenage exile to her maturity as an internationally celebrated artistic nomad, Hatoum defies classification within any single geographical or cultural community. Attempting, however, to locate specific points of contact between her and certain communities in terms of artist‐in‐residence projects in which she participated might be a particularly fruitful way of circumventing her notorious critical resistance to identity and her refusal of homogeneity. This paper starts with Miwon Kwon’s critique of contemporary practices in community‐based art, which locate an essentialising force that isolates a single point of commonality and overlooks authentic differences. It then turns to Jean‐Luc Nancy’s reconceptualization of community as ‘unworked’ and ‘being‐in‐common’ to provide analytical tools for avoiding the dangers of essentialism. By examining the three residencies that Hatoum accepted in the mid‐1990s in the light of Nancy’s observations and theories, and by bringing the idea of artistic nomadism and that of community into juxtaposition, we hope to show that Hatoum succeeds in finding an equilibrium between art and community, and that this sheds new light on the issues raised in recent discussions on such relationship
        5,500원
        8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I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stage of Chicano muralism and compare it with the first stage of the Chicano Mural Movement that was born out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I then discuss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first stage in relation to the birth of institutionalized public art and question how Chicano murals influenced public art and, conversely, how mainstream public art transformed some of the attitudes and practices of Chicano muralism. Chicano murals initially functioned as a political mouthpiece for Chicano’s human rights and as a tool to recover the Chicano people’s cultural pride and legacy. However, the murals gradually developed into public art projects supported by the city or federal governments, who regarded them as an economic way to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ty. In this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muralists became increasingly concerned with aesthetic quality and began to work more systematically. For example, amateur artists or community participants who produced the earlier murals were transformed into mural experts. Chicano essentialism and the politically volatile themes used previously were phased out and the new murals began to incorporate diverse subjects and people, for example, native culture, Blacks, and women. This phenomenon reflected the changing emphasis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is kind of institutionalization did not always draw positive results. Inadequate funds were the primary concern over the actual subject and creation of the mural work. Artists reduced the strong political metaphors and aestheticized the mural forms. However, their work was productive as well: thorough research on wall conditions and painting techniques was conducted and new processes and designs were developed. This paper examines the murals created for the 1984 Los Angeles Olympic Games, Judy Baca’s works, and the Balmy Alley Mural Environment project in San Francisco’s Mission District. Works by Las Mujeres Muralistas in Mission District, in particular, show case colorful patterns and the Latin American indigenous culture, exploring new interpretations of old icons and design. They challenged the stereotypical depictions of females and presented alternative visual languages that revised the male-centered mural aesthetics and elaborated on the aesthetics of Rasquachismo.
        6,300원
        86.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forming a new community for the Korean immigrant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do this, I discuss experiences of immigrant life and awakening to the reality of a different culture, and consider the identity of Korean immigrants in a Christian perspective. From arrival until a certain period after, many Korean immigrants do not see objectively what they are facing in reality. They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American reality. The reality of a grueling immigrant life is overshadowed by their idealistic expectation of the land of opportunity and freedom. After a certain period, Korean immigrants begin to realize their real problems, such as family problem, the race problem and cultural differences. One of serious problems that Korean immigrants face is marginalit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s has a limit on how much they can assimilate to a huge organization such as America. When Korean immigrants encounter the reality of life in the United States, they become conscious of the problems they are faced with, and realize their present situation. They feel alienated in this wilderness country and have strange feelings because they live in a bi-cultural setting. Then they realize the need of their new identity as Korean-America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ew culture and form a new identity in order to adapt new culture in a foreign country. The Korean immigrant church is a very important place for the Korean immigrant. The church provides a meaning to life, a sense of belonging, and psychological peace of mind to immigrants. Furthermore, the church should participate in social issues in a mainstream society for rights and interests. The immigrant church helps people discover their identity through Christian faith. The church has a threefold function: kerygma, koinonia and diakonia. If there three functions are well combined, the church may help Korean immigrants to develop a new community. Korean immigrants should open their clannish boundary of community. A way to live authentic Korean-Americans is beyond the boundary of Koreanness and interacts with the mainstream society and other ethnic groups. With the identity of Korean-Americans, Korean immigrants move toward a dyanamic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Then they can develop a new community in muticultural, multiethnic and multiracial society.
        6,900원
        87.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우원 이호빈목사의 전기적 바탕에서 그가 한 평생 추구한 예수 살기 공동체운동을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오늘 위기 상황에 있는 한국교회에 어떠한 개혁적 대안을 제시하는가 하는 점을 논구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원 이호빈목사의 한 생애는 그의 가족 경험과 신학의 시절 공동체생활(communal life)을 기초한 예수 공동체영성에 있다. 그의 영성은 교회 개혁을 위한 예수 교회운동으로, 그리고 교회와 사회 개혁을 위한 중안 신학교 설립 운동으로, 마지막에 교회와 사회, 세계의 개혁을 위한 흘리에 자연 공동체운동으로 확대되고 발전하였다. 우원의 삶은 예수를 따르는 것이다. 그것은 곧 예수와 함께 혈연을 넘어선 새로운 가족 공동체로서 예수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었다. 운동은 일회적일 수 없다. 우원은 부단히 예수 공동체형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에 대해 후학들이 무엇이라 평가하든지 그는 예수 공동체운동을 한국 교회 역사 속에서 일관되게 꾸준히 추진한 실천가요, 영성가이다.
        4,600원
        88.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age of neo-liberal, global capitalism various kinds of human communities are continuously deconstructed and the creation is severely demolished. Under this circumstance diakonia should overcome the dichotomy of giver and receiver, which means the Baal type of diakonia theology. On the one hand, the giver always wants to be a giver/stronger, so that s/he has never accepted help from others and s/he denies the justification by faith. 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could be a crippled inside by negat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giver. However, there is an alternative model of diakonia, alternative community model. This model is an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global capitalism and an alternative “community” model rather than an alternative individual one. In this paper, diakonia is defined as a salvation act through establishing faith community aiming at the Kingdom of God. This thesis aims at suggesting some cases of diakonia of Korean Christianity as alternative community models. There are four types of alternative communities: community type (Pulmu school and its local community), church type (Jagun church), church-community type (Baegun church and Hanmaum community, and Multicultural church and the Borderless Village), and NGO type (Youngdungpo-UIM based credit cooperative, Kwanak Self-support Center, and Ulsan Social Enterprise). The missiological significance of these alternative communities is such as: their aim is the kingdom of God and church should be a sign-community orienting toward the kingdom of God; their model is the koinonia of trinit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iakonia and koinonia; members of alternative communities are the little, outcasts, and minjung; we learn from them that the mission paradigm shifts from social mission to life mission; the center of the life mission is economy so that alternative economic community is very important;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concentrating toward the inner mind in oder to serve others(people and the creation). Though we are looking for alternative community models, they are particular ones, fit to their own socio-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traditions and systems. However their missiological significance shows us some contour of a universal picture.
        7,000원
        89.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공동체 구성을 위한 잠재적인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의 교육적 잠재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과학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 방법의 학습으로 연결되는 과학실습의 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공동체 학습은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사회적인 이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가 이러한 사회과학적인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과학탐구공동체로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 잠재성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학적 소재로서 적용 가능한 지진' 학습의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첫째 미국 뉴욕시의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국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진 관련 전시물과 지구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두 박물관의 관계자와 인터뷰하여 이와 관련한 박물관의 교육적 의도와 노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제와 관련된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박물관의 전시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적 소재인 '지진'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사례와 사건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상 박물관은 지역적 흥미와 사회과학적 이슈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박물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음을 알았다. 지진이란 주제를 관람객에게 적절하도록 하기 위해 전시특성에 있어 원자료나 상호작용적 매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전달을 강조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4,600원
        90.
        200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라인을 통해 세계는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으며 모든 영역에서 세계화 정보회는 국제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 속에 국내외적으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인적역량 개발을 위한 국가 간 교육협력활동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교류활동 모형이 등장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기반 활동들은 이미 다국적 기 업들의 교육 훈련을 위해 오래전부터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도 도입되어 우리의 전통적 교육현장의 모습도 시공간을넘어서서 다양하게 바꾸어가고 있다.온라인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국제교육협력과제활동을 수행하는 구성원들은 어느 한사람의 일방적인 지식 공여로 타자들의 지식 습득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참여자들이 때로는 교수자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학습자가 되는 위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의미를 형성해 나간다. 또한 그 과정에서 참여지들은 협력적으로 지식을 구축하는 사회적 학습과정을 경험한다.본 연구는 이러한 온라인 학습공동제 활동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협력과제 수행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공유하고 자신의 생각을 팀의 목표에 부합하도록 조율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행모델을개발하고 개발된 모텔을 과제 수행사례에 적용하였다. 수행모댈은 첫째 전체 과제 활동의 관리와 수행측면을 총괄하는 원리 둘째 원리를 토대로 구성된 수행단계와 단계별 활동 셋째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작업공간(웹 지원체제)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모델을 국제교육협력과제에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활동과정과 및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향후 필요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5,700원
        91.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dietary culture in Korea regarding collectivism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evidence from the origin of lineage and traditional customs, the Koreans' traditional collectivity appeared to have been grounded upon the northen nomadic culture emphasizing sentimental collectivity and harmoniz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outhern agrarian society related to mutual support and sociability.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ty and food was well revealed in the occasions such as rice-planting, kimchi and jang makings in which pooled labor was common as well as the gathering of mutual aid association. In these occasions, foods were offered and shared among members. Food sharing was a main activity and almost play a central role regarding the promotion of friendly relations among each other. In sacrificial memorials, food sharing was extended not only to the live persons but also to the passing spirits. Collectivity was also disclosed in the eating or table manners of Koreans. Koreans quite literally share food at every meal since the side dishes placed centrally on the table. The taste of Korean foods is completed inside the mouth by mixing foods with various combination, which let people create their own choice of taste. Therefore, the collectivity manners at the table appeared to be harmonized with individual freedom of creating his/her own taste of foods. The collectivity is still a very important concept in modem Korean dietary culture, as reflected by an increase of restaurants sewed shared dishes.
        4,000원
        9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e, Jang-Song & Shin, Gyeong-Shik. 2004. A Study of Codeswitching by the Korean-Chinese People Living in Chenguoz District of Harbi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Chinese people's usage of Korean and Chinese in terms of code-switching. To be more specific, the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bilingualism within the Korean community in Chenguoz District of Harbin, Heirungjiang Province, China. The study especially focuses on clarifyi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language,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usage of the two languages according to age groups. This specific area was selected as our subject, since most of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Heirungjiang area were formed by descendents of the immigrants from the southern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allows the comparison between the language used today and the language their ancestors used before moving to this area.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innovation brought about by the opening of the Chinese society, the fast outward flow of youths to urban areas, and greater assimilation threats from the embedding Chinese culture, we are not too sure if the Korean language will continue to be used in the future. Given these circumstances, we consider this research most opportune in that it provides a look into the Korean community that developed its distinctive culture and language within an isolated cultural environment.
        6,100원
        94.
        200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9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96.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97.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비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성찰을 다룬 질적 실행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비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비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를 보다 의미 있는 교사학습공동체로 만들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이다. 연구 결과, 새봄초 2학년 교사들은 비자발적으로 시작된 학습공동체이지만 다 같이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을 준비하면서 스스로 즐겁고, 아이들이 바뀐 수업에 더 집중하고 좋아하는 것을 보면서 보람을 느꼈다. 특히 교사들은 코로나 확산으로 온라인 개학의 위기를 겪으며 서로 위안이 되고, 함께 수업을 준비하고 연구하는 기쁨을 알게 되면서 “성장”했다. 더 나은 교사학습공동체가 되기 위한 노력으로서 먼저 친해지기, 비전과 가치의 공유, 수용적 리더와 협력적 참여자로 만나기, 서로 다른 요구의 타협, 수업에 집중하기가 제안되었다. 이 학교는 비자발적 학습공동체가 보이는 형식적 협력, 보여주기식 성과, 자율성 상실 등이 나타나지 않았다. 교장과 중간리더들이 학습공동 체의 참여를 강제하기보다 그 가치와 필요성을 설득했고, 운영의 초점을 수업 향상에 두었고, 운영 과정에서 다른 목소리를 존중하였기 때문이다.
        98.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음악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원학습공동체 소속의 교사 8명이 가상현실에 기반을 둔 가창학습 콘텐츠와 뮤지컬 공연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효용성과 자신이 겪은 경험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현실에 기반한 가창학습 콘텐츠의 특징은 첫째, 온라인 교수 환경에서도 모델링과 피드백에 유용한 콘텐츠이다. 둘째,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수 환경을 통해 시 공간 개념을 확장하였고 전통 교실에서 어려웠던 1대 1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교과서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교원들의 경험과 실천에 대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콘텐츠의 제작 과정에서 교사들은 시행착오 및 반성적 성찰을 통해 교사전문성이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콘텐츠 제작 후 공문 및 다양한 채널을 통해 나눔을 실천함으로써 교육크리에이터로서 보람과 긍지를 느꼈다. 셋째, 교원학습공동체의 자발성과 비전의 공유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콘텐츠의 개발 과 효용성에 관한 논의는 비대면 온라인 시대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 큰 기여를 하리라고 본다.
        99.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생의 성장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기 위해 교사가 가지고 있는 평가에 대한 신념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0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20시간의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질적 방법을 통해 교사의 평가에 대한 신념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객관적인 채점 기준의 존재에 대한 신념이었다. 두 번째로, 교사의 평가 신념은 과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객관적인 과학 개념이 존재하리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념이 드러났을 때, 학습 공동체마다 사회적 합의, 절대적 기준, 과학 지식이 가지는 본질적 속성 등에 근거하여 각기 다른 판단을 내리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세 번째로, 교사의 평가 신념은 수행평가의 목적을 변별에 초점 을 두는 것이었다. 그러나 학습공동체 안에서 많은 토론을 거치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수행평가의 목적을 성장에 두게 되었으며, 변별보다는 과정을 평가해야 한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과학교사의 전통적인 평가에 대한 신념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이와 관련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100.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와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론을 적용했다. 질적 연구를 위해서는 교사의 학습공동체 과정에서 교육과정 실행경험을 면담하고 분석하였다. 양적 연구는 만 4세 유아 80명을 대상으로 교사 평가를 통한 교사와 유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공동체 경험은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의미를 구체화하는 경험과 교사들 자신만의 교육과정 이론의 구성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은 유아와 교사간의 경험의 통합을 통해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교사의 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의 실행은 교사의 교육과정 이론 구성 그리고 교사와 유아의 관계에 있어 의미 있는 과정임을 확인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