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맞이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 속에서 기독교적 대응을 총체적 복음 사역을 중심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 것이다. 한국사회는 이제 단일민족이란 특성에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가 있다. 특히 선진국들이 다문화정책에 실패했다고 선언하는 상황 속에서 다문 화사회의 현실적 이해를 분명히 하고 기독교적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그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그 결론은 다문화사회 속에서 기독교적 대응은 총체적 복음사역이 그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사회는 긍정적인 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면도 분명히 있다. 긍정적인 면이라면 해외에 있는 족속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길이 국내에서도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슬람 문화의 유입은 매우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슬람 문화는 일반적으로 의미하는 다문화주의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오히려 이슬람 문화 즉 이슬람 종교적 영향이 우리나라에 깊이 자리 잡고 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독교적 대응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총체적 복음사역으로 다문화사회 속에서 접근한다면 하나의 핵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총체적 복음 사역은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면서 동시에 다문화 사람들의 아픔과 고통도 함께 치유하고 회복하기 때문이다.
휘튼대회는 1958년까지 함께한 IMC가 1961년 3차 WCC에 귀속 됨으로써 설자리를 잃어버린 선교단체와 선교회, 개 교회와 교단선교부 들이 1966년 휘튼에서 에큐메니컬 선교에 도전하고, 복음주의 선교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며, 복음주의 일치를 꾀하고자 개최되었다.
1. 휘튼대회는 반에큐메니컬 운동과 선교를 선포하였다. 복음주의 진영은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해 “이단, 적, 죄악, 교회가 아니다”라는 강경한 어투를 사용하면서 반대하였으며, “WCC와의 만남과 대화도 포기”한다고까지 하였다. 또한 에큐메니컬 진영으로부터 받은 압력과 고난, 고통을 제시하면서 복음주의의 통합과 일치를 강조하였다. 특히 로마가톨릭과 정교회가 에큐메니컬 운동에 가입한 사건을 개신교 정체 성의 혼란과 혼동을 야기한 주된 요인으로 보고, 심지어 로마가톨릭도 선교의 대상으로 보았다. 복음주의 선교가 에큐메니컬 운동을 거부하는 이유는 그 운동이 복음을 혼란, 변경, 대체 혹은 가감함으로써 복음의 정체성을 흔드는 혼합주의적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경향은 1917년 IFMA를 구성할 때 허드슨 테일러의 공식적인 선언에서 발견된 내용과 일치한다.
2. 휘튼대회는 복음주의 선교의 성경적 입장을 근거로 에큐메니컬 선교와 통합이 불가능하고, 복음주의 선교와 에큐메니컬 선교가 근원적 으로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복음주의는 선교를 성서의 권위를 근거로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회개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용서함을 믿고, 말씀의 삶을 결단하는 제자화를 강조한다. 이때 제자화란 복음주 의 선교의 사회적 삶의 실천을 말한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이것을 두 영역으로 나누어 하나는 개인구원, 다른 하나는 사회구원이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 정의하였다. 에큐메니컬 선교는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여러 과제 중 상황적으로 긴급한 사역에 집중하였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선교 현장을 영적 황무지를 만들고 영혼구원을 포기하는 결과를 낳았다. 반면에 복음주의는 오직 복음으로 회개한 영혼을 구원 하는 활동에 집중하며, 영적 사역이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사회봉사 사역이 성취된다고 보았다.
휘튼대회는 양 진영이 더 이상 연합할 필요가 없음을 입증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속적인 압력과, 선교지에서의 회유와 압박을 고통스럽게 호소하며, 오직 복음전도로 주님의 대위임령 을 수행하려고 한다. 복음의 열정이 있으면 사회참여와 봉사가 이어질 것이지만, 설령 사회봉사를 실천하지 않았다고 해도 복음제시가 이루어 졌다면 그것은 선교를 행한 것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에큐메니컬 선교 와의 문제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1)
3. 양 진영을 통합하려는 노력보다 서로의 특징을 살려 독립적 선교운동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서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복음주의 선교는 에큐메니컬 선교의 핵심적 동심원이다. 따라서 가운데 영역에 복음주의 선교를 놓고 그 주변 원으로 에큐메니컬 선교를 배치해 야 한다.
정리하자면, 양 진영을 통합하려는 시도보다 성경의 권위와 복음 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서로를 배려함으로써 사역의 다양성 을 전제로 서로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독립적으로 할 것은 독립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복음주의 선교의 개종 문제나, 로마가톨릭과 정교회 문제는 에큐메니컬 선교에서 관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큐메니 컬 선교의 개종 문제나 복음주의 선교의 복음 제시에 관한 문제에 관해서 양 진영이 서로 논쟁하는 것은 매우 소모적이다. 오히려 복음주 의 선교는 근본적으로 복음의 정체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에큐메니컬 선교를 떠받치는 토대로 보는 것이 좋다. 반면에 에큐메니컬 선교는 다양한 선교 영역을 접할 수 있는 정책과 전략을 지원하며, 연합과 통합된 사역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양 진영의 사역들은 복음증거 사역을 전제로 한 영역으로 보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큐메니컬 선교는 로마가톨릭과 정교회가 개신교의 교리와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장애 문제에 대해 가장 많이 인용되는 본문인 요한복음 9장에 나 오는 치유 받은 시각장애인의 영성과 그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오늘날 우리 사 회는 장애로 인한 고통에 대해 예민함을 상실하였다. 세계 인구의 약 10%가 장 애를 가지고 있는 현실에서 장애문제를 연구하고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한복음 9장에서 예수께서 한 시각장애인을 고친 사 건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죄-장애 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시킨다. 그 시각장애 인은 바리새인들과의 논쟁의 과정을 통해 신앙이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하였다. 그의 영성은 인간 자신에 대한 더 넓은 개념을 갖게 하는데 공헌하였다. 유대인 의 전통에 의하면 장애인은 사회적으로 비정상이며 더 이상 능력이 없는 사람 들로 정의되었다. 요한복음 9장의 이야기는 장애는 세상을 섬기는 하나님의 선 물이라는 이해의 토대가 되고 있다. 장애인은 무엇인가가 결여된 존재가 아니라 능력이 다른 존재임을 보여준다.
본고는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신학을 중심으로 ‘현대문화 속에서 복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에 관한 연구다. 뉴비긴 은 35년간의 인도 선교사역을 마치고 영국으로 돌아왔을 때 교회가 복음의 진리를 증거하는 일에 겁에 질려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기독교국가’(Christendom)라는 위용은 사라지고 타종교인들이 더 열성적으로 서구유럽사회에 선교적 도전을 가하고 있는 현상을 목격하 면서 현대문화 속에서 교회가 갖는 선교적 과제를 숙고하게 되었다. 그는 특별히 개인주의가 만연되어 있어서 교회 공동체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을 보지 못하게 만든 서구문화 속에서 복음의 해석자로서의 교회가 복음을 바르게 믿고 그 복음대로 살아가기 위한 선교적 도전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회를 살아 있는 복음의 해석자로 명명하고 교회는 철저하게 복음을 공적인 진리로 선포함과 동시에 살아내기 위해 문화의 옷을 입지 않으면 안 됨을 강조했다. 복음의 진정한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해 교회는 문화 변혁의 선구자적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타종교와 관계 속에서 어떻게 예수를 유일한 구원자로 증언할 수 있을까를 숙고하고 교회는 배타적인 자세를 지양하고 상호 배움과 포용적 태도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공적 진리의 핵심임을 증언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런 입장에서 필자는 뉴비긴의 선교신학 안에 나타난 ‘복음의 상황화 문제’, ‘복음과 현대문화와의 관계’, ‘복음과 타종교와의 만남’, ‘구원자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 현대문화 속에서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뉴비긴이 각각의 소주제들을 통해 일관성 있게 주장하는 것은 복음은 사적이거나 축소될 수 없으며 공적 진리로서 모든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구속적 선교 메시지임을 주장한다. 그는 교회가 복음을 공공의 진리로 긍정하게 될 때 교회성장에 함몰되어 그저 자기성장만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주의적, 상대주의적 벽을 허물고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구속하기 위해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 를 주로 인정하게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더욱이 현대문화 속에서 복음이 공적 진리로 선포되어 복음의 공공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께서 보내신 선교적 도구요 하나님 나라 선교 운동을 위해 파송 받은 종말론적 공동체로 존재해야 한다. 뉴비긴은 복음의 공적 진리를 증언하기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언급하면서 교회는 복음의 증언을 위해 존재하며 스스로 권좌에 앉아 권력을 휘두르 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되고, 반면 교회는 겸손하게 하나님께서 세상 가운데 선교적 도구로 파송한 그의 선교적 도구임을 인식하고 세상에서 구원자로서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증언하기 위해, 그리고 복음의 삶을 살아내기 위해 복음의 증인이 되어야 함을 우리에게 가르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로버트 스타인이 신학자들의 난제라고 말한 마가복음 4장 11-12절을 새롭게 해석하려고 한다. 마가복음 4장 11-12절에서의 예수의 언급은 분명히 반어법적인 진술인데, 국내외의 신학자들은 한결같이 이 진술을 문자적 의미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래서 이 진술이 그들에게 난제로 남게 된다. 예수가 마가복음 4장 12절에서 이사야서 6장 10절을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먼저 이사야 6장 10절의 문맥을 살펴서 문맥과 반대로 표현된 이 구절이 반어법적 진술임을 밝힌다. 그 다음에는 마가복음에 나오는 예수의 언급도 문맥과 반대로 진술된 것임을 밝힌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이사야서의 반어법적인 진술을 인용한 마가복음의 진술이 반어법적 표현인 것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그 결과 반어법적 진술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인 신학자들에게 오류가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진다. 간단히 말해서, 신학자들이 마가복음 4장 11-12절을 해석할 때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들이 이 성경구절이 반어법적 진술인 점을 모르기 때문이다.
World evangelization needs to be conducted by both older churches (sending churches) and younger churches (receiving churche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has disappeared. God uses great resources from the younger churches for world evangelization.The church, defined as all Christian churches without regard to denominational distinction, needs to understand the urgency of the evangelistic task. More than two-thirds of mankind have yet to be evangelized and there is a great receptivity to the gospel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e church should be ashamed that so many souls have been neglected and unreached for Christ.The church need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evangelism as it relates to different world cultures. Missionaries need to be sensitive to different cultures through which the gospel can be effectively communicated to different people groups. The gospel message needs to be present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meaningful to the people.The church needs to develop indigenous leadership to enable native leaders in every country to evangelize their people, plant the indigenous churches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extend God's kingdom. Christian leaders are not born but made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and education. The church needs to follow Jesus Christ in terms of making disciples of all nations.The church needs to understand the spiritual conflict involved when the church is active in world evangelization. Churches are engaged in constant spiritual warfare with the principalities and powers of evil seeking to overthrow the Lord's church and frustrate its mission of world evangelization. The church needs to equip itself with the word of God and prayer.The church need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ligious freedom and the seriousness of religious persecution throughout the world. The church needs to pray for world leaders and call upon them to guarantee freedom of thought, conscience, and freedom to practice and propagate religion according to God's will. The church needs to understand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nd to believe the Holy Spirit will help the church to effectively carry out world evangelization. World evangelization calls for conviction of sin, faith in Christ, a new birth, and Christian growth. The church needs to b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to become the true missionary church.The church needs to believe in the imminent return of the Lord Jesus Christ to consummate His salvation and His judgement. The church needs to remember that God will perfect His kingdom which anticipates the new heaven and new earth where righteousness will dwell and God will rule forever.The Lausanne Movement for World Evangelization is based on the Great Commission and the Great Commandment. The Lausanne theology of missions is based upon the Lausanne Covenant, the Manila Manifesto, and the Capetown Commitment which were officially adopted as the promise, the declaration, and the devotion of the church to carry out the world evangelization until the return of Jesus Christ.
이 글은 마가복음이 ‘슬픈 이야기’로서 헬라 비극의 요소를 갖고 있음을 밝히고, 비극의 주인공인 예수의 불안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마가복음에서 예수는 죄 없는 의인으로 묘사된다. 예수는 겟세마네에서 자신이 당할 수치와 죽음을 앞두고 놀라며 괴로워한다. 그런데 예수의 불안은 당시 마가공동체의 현실적 불안이기도 하였다. 마가공동체는 예수의 본을 따라 살도록 부름 받았다. 그들에게 닥친 불안을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를 겟세마네의 예수를 통하여 배우게 된다. 예수가 겪었던 불안은 인간의 보편성 특성이다. 대상관계 심리학에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불안을 외부로 투사하고자한다. 이렇게 투사한 불안을 담아줄 대상이 없을 때 그 불안은 해결되지 않는다. 인간은 스스로 불안은 극복할 수 없다. 불안은 자신의 내부에 담아내야 한다. 어린시기에 양육자에게 충분히 담겨있는 경험을 통하여 성인기에 불안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예수와 제자들은 자신의 견딜 수 없는 불안을 투사하면서 불안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제자들은 끝내 불안에 굴복하여 잠에 빠지고 결국은 도망친다. 그러나 예수는 ‘아바(Abba)’ 하나님과의 관계 경험을 통하여 불안을 자신 안에 담아낸다. 예수의 불안 해결의 모델은 서기 70년의 시대적 상황에서 불안에 처한 원시 기독공동체인 마가공동체를 위로한다. 이러한 위로와 가르침은 마가복음을 읽는 독자가 자신의 삶에서 겪는 다양한 불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find ways to build missional congregations. Some times ago, the missional ecclesiology became one of the prevalent and influential theology. As Korean churches have faced rapid declination, church leaders has found its solution in missional ecclesiology. Yet, the advocates of missional ecclesiology have often been criticized for its idealistic approaches and loose connection with the actual life of local church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writer suggests the missional congregation as the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missional ecclesiology. The writer convinces that the missional congregation theory becomes the practical expression and relevant application of missional ecclesiology. The concern for missional congregation has been initiated mainly by evangelicals church leaders. However, traditionally, evangelicals has been argued for clear distinction between mission structure and church structure as Ralph Winter suggested in 1974. As ecumenical theologians challenged the view, the first attempt to connect the close relations between mission structure and the church structure was indirectly expressed on the Manila Menifesto in 1989. In 1991, Charles Van Engen, an evangelical theologian, published a book titled God's Missionary People that became an important major voice that argued the missionary dimension of the local church. From the middle of 1990s, in North America,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GOCN) had been a major channel to spread the concept of the missional ecclesiology. In 2004, the Pataya Forum of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had been tackled with this issue and developed the idea of missional congregation. The forum suggested various elements of missional congregation. This development had been coincided with the movement of shifting from theory centered missional ecclesiolgy to ministry centered missional congregation theory within the GOCN movement. Concluding, this study has highlighted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issional congreg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Pataya Forum. They are as follows: 1) the missional congregation advocates incarnational approaches; 2)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the relationship with nonbelievers within the society; 3) the missional congregation relays on the Holy Spirit and emphasizes the prayers; 4)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diversity of the culture, therefore, do not support certain cultural structure over other kinds; 5) the missional congregation is active in evangelism and diligent in developing strategies; 6) the missional congregation values nonhierarchical leadership; 7) and the missional congregation promotes partnership between mission organization and local churches.
This article is to focus on the approach and application in practical strategy for Rwanda's culture and society. The understanding of Rwanda has so rapidly changed from their history. The missionaries did not understand about Rwanda situation. Also Korean church is not interested in Africa culture and mission. This situation has some important mission fields as the Rwanda church and Christian are being considered. The practical alternatives for Rwanda mission are very significant sphere of Africa mission. This paper is analyzed understand and practices for Rwanda mission through field experience and reference books. The Korea church should be realized the missional direction toward the Africa culture. This article explains social,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understanding as well as their musics, worldview, and language. For this Rwanda mission practice and method, I want to recommend several suggestions to Korea church. Firstly, we can be recognized mission of passion of Gospel. We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hurch must practice important vocation for Africa mission. Secondly, We should be changed paradigm shift about Rwanda mission. We can use materially, financially, culturally practical resources in the Korea church toward Rwanda mission. We can develop contact point for Rwanda strategy and plan in various missional direction.
The Philippines is a beautiful country which has diversity in terms of ethnicity, language, faith, and culture. In the past, the Philippines was colonized by Spain, Japan, and America. In particular, Philippine culture is complex largely because of different cultures shared and transmitted by the members of Filipino society.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ome representative cultures of the Philippines and tri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Gospel to the people on the basis of “points of contact,” revealed during study of the representative cultures. This study presented three culture themes as “points of contact” related to Filipino culture. First, this study discovered that Philippine society had mainly nuclear family units composed of father, mother, and unmarried children. Nuclear family units were usually linked to the larger family which occurred within the traditional bilocal extended family. This study utilized a house church model to evangelize the people who were living in this kind of family system. The house church model was effective on the basis of multiple human relationships of the oikos. Second,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re were poor people who were living marginal lives, whether in rural areas or urban areas. They were suffering from severe poverty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largely because of the structural evil caused by the corruption and inability of the Filipino government. Churches would need to support the poor more substantially and systematically in cooperation with the NGO’s and the Filipino government while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poverty. Third,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re were plural religions including both traditional and popular religions. The main, traditional religion was animism prevalent throughout the Philippines, whereas popular religions were a mixture of various religions, developed according to indigenous situations of the Philippines. This study presented methods of evangelism which would effectively transform the Filipino world view in order to make them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They would need true conversion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 Philippines is a beautiful country in which Filipinos can experience real righteousness, peace, and joy in God's kingdom as the churches intentionally engage in holistic mission. Holistic mission calls for the house church model, solidarity with the poor, and evangelism, that is, making true disciples of Jesus Christ.
The existing perspectives claims that there is a static relations between Gospel and Culture. That is, biblical text is constant and is the subject of hermeneutics. Besides, context acts passively as the object of hermeneutics. However, context is the totality of human life's creative selfunderstanding. It means Sitz im Leben which is developed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phere. Therefore, it also provides a dynamic hermeneutics of the text. Finally, on the one hand the text illuminates the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context illuminates the text. The fact that both Text and Context have hermeneutical functions on illuminating each other makes us face both the problems of Truth and humanics. Every one can hear the Good News only in his/her own culturally conditioned context. Therefore, any intercultural understanding prerequisites common hearing. Only when we are together, we can understand the biblical truth in impartial and more complete manner. There must neither be superiority nor inferiority over others where the biblical text is being heard and understood together crossculturally, instead there must be reciprocal dependence with one another. The postmodern intercultural ecumenical missiological hermeneutics aims at realization of the koinonia in diversity, pursuing reciprocal complement and learning through the newly understanding of the Gospel being interpreted in each culture. Thus, the worldwide churches becomes not only a hermeneutical community, but also it becomes a learning, supporting, and celebrating community. The church is the participatory subject and agent of mission of God, but not the sole recipient of Gospel. We need newly interpreted Gospel by crosscultural process. Actually, the authentic subject of the postmodern intercultural ecumenical missiological hermeneutics is the Holy Spirit. Under the free and sovereign work of the Holy Spirit, the church cannot absolutize its own truth claim. Rather, it has to be open to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s leading the church from partial understanding to a fuller understanding of the truth. In this regard, mission is not just something the church is doing alone, but it is primaril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which precedes the church's involvement in missio Dei. The church has to spread this Gospel with words and life. The proclamation and presence go together in mission. Only through the missionary renewal which unites the missionary proclamation and the missionary presence, the church can accomplish mission work more faithfully in the world. Therefore, both western and oriental churches, and all other churches of the world as well need each other.
본 논문은 그동안 주류를 이루던 성서의 역사비평이 텍스트 안에서 머무는 한계성을 깨닫게 되어 최종적인 본문에 중심을 두는 성서의 문학적-서사비평의 연구의 목적에 있다. 그 중에서 요한복음의 서사읽기는 다른 성서들보다 더 풍부한 저자와 독자 간의 상호 경험을 할 수 있다. 요한복음에는 상징, 은유, 아이러니 등 많은 문학적인 요소가 있다. 요한의 저자는 예수와 니고데모의 대화를 통하여 요한복음 전체주제가 되는 예수의 정체성 즉, 기독론을 말해주고자 한다. 표적만 보고 믿는 유대인의 대표가 되는 니고데모의 인물 설정은 요한 저자의 의도이다. 니고데모의 이해하지 못한 질문과 예수의 대답을 통하여 예수의 정체성을 독자들에게 ‘위로부터’, ‘하늘로 부터’의 하나님의 주권으로 이루어짐을 가르쳐 주고 있다. 그 ‘거듭남’은 물과 성령으로 이루어짐을 말하지만 여전이 니고데모는 ‘거듭남’에 대한 이해를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니고데모는 요한복음 내러티브에서 등장하지만 유대인의 대표성을 지닌 인물로 본문에서 조용히 사라지는 인물이다.
This thesis is to represent a application of ‘Community Health Evangelism’ to ‘Multicultural Mission of Korean churches’ as a method of balanced evangelisations and Christanised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aspect of ‘Holistic Mission’, while there are much interest of Korean society on increasing number of migrants and ‘Multiculture’. The main works of CHE are ‘Maternal and child health’, ‘Village development’. ‘Educational works’, ‘Enterprise for women and children’ and so forth. These works are very similar to works of migrants' centres; ‘Medical services’, ‘Shelters’, ‘Enterprise of Multicultural family’, ‘Consultation centre’ etc. However, these kinds of centres are just offering one way-helps to migrants but, they can not support migrants to develop and grow themselves overcoming their inferior environments and lives. Accordingly, CHE strategy would play positive roles in making their works maintain the identity and trait of Christian gospel in works of Multiculture missions which stress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n suggest concrete and modified alternatives for social evangelisations.
The Protestant mission of the 19C showed a great deal of expansion in missionary works, which was enough to be called 'the Great century'. The Evangelical revival movement expanded toward Europe beginning from England and thus the interests of Christian missions in foreign ones formed a lot of mission societies. With this background, the London conference in 1888 turned out to be 'the great Centenary conference' as the first significant international gathering. There were discussions on missionary union, comity and the unity of church relating to division and competition caused by individual mission works of different mission organizations and were the urgent and strong suggestion of a permanent committee to mediat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of the mission societies. English evangelical missionaries highly developed the idea of 'God's providence' shown in the hands of God working through the contemporary events. The same tendency of Providentialism was seen in the thoughts and theological emphasis of the London conference, 1888. They believed that God called the United Kingdom to preach the gospel in the same way that God raised the nations and kingdoms to execute compassion and judgement in the Old Testament and that they should obey the call. Although in broader perspective, the understanding of the divine providence can be seen as biblical like the missionaries viewed the imperialism of the times. However in reality it can be said that the idea was distorted by the mechanical understanding of enlightenment and by the national pride inspired by the English national power. But possibly it is a wrong and biased idea of our generation to seek only errors of Providentialism with the aim of criticising the Christian imperialism of the ancestors and ignoring their biblical assurance and strong faith of God's work through the history in broader meaning. The main four conferences discussed in this paper could fall into different categories as follows; Edinburgh, 1910 belongs to the 19C mission paradigm like the London conference, 1888, judging from its characters and tendencies, even though it was held in 20C; Edinburgh, 1910 belongs to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C to the 20C, which has become the contact point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mis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new starting point of the contemporary ecumenical mission; Jerusalem and Tambaram belong to 20C mission paradigm. While the 19C mission put too much emphasis on personal interests and less on social ones, the 20C mission raised social interes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gospel. Discussions of unity and comity were commenced in London 1888 to resolve the conflicts and competitive spirits caused by missionary works centered around the denominational mission societies in the 19C. Ecumenicalism and the emphasis on social gospel grew rapidly in the 20C mission, which began in Edinburgh 1910. During the 19C mission was the ecclesiastical mission, the ecumenical mission in the early 20C weakened the missionary role of the church. On the other hand, the evangelical viewpoint analyzed that the church was emphasized and its social responsibility ignored in the English mission conferences in the 19C. And thus all the concerns and debates of each missionary conference were the results of efforts to exercise the appropriate mission for each era. The movements and theologies trying to correct the errors of the previous missionary works and to renew the strained parts, resolved the problems or compensate the defects and at the same time, weakened the other strengths.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history of mission. Furthermore, it is not a favorable state to criticize the directions and ideas of each mission conference without any examination or to accept them without any criticism, whether from the evangelical or ecumenical view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