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

        12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을 검토하기 위하여 Ames test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며, 물질 그 자체로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직접 변이원물질로 MNNG와 4NQO 그리고 대사활성을 필요로 하는 간접 변이원 물질인 B(a)P를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직접 변이원으로 사용된 MNNG(0.4μg/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μg/plate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89.3%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핵산, 부탄올 분획물에서도 각각 75.53, 72.68%로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4NQO(0.15μg/plate)에 대한 S.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 시료농도 100μg/plate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79.29%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TA100 균주의 경우에서는 핵산 분획물에서 79.49%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B(a)P(10μg/plate)에서는 TA98, TA100 두 균주에서 모두, 75μg/plate의 시료농도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75.38, 68.85%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암세포주(A549, Hep3B, MCF-7)에 대한 음나무 내피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폐암세포주인 A549에서는 핵산 분획물(1000μg/ml)이 81.5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도 핵산 분획물(1000μg/ml)이 78.5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도 핵산 분획물(1000μg/ml)이 81.92%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도 우수한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정상 간세포주인 293에 대한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를 보면 1000μg/ml 시료 첨가시 암세포주에 대하여 대부분 50% 이상의 억제율을 보이는데 반해 293세포에 대해서는 25% 이하의 성장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는 암세포주에 대한 높은 억제효과에 비해 정상 세포주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123.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oprevetiv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water extract on several tumor cells and Chinese hamster V79 cells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showed a higher cytotoxicity effect on the human histiocytic leukemia cells(U937)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cytotoxicity of HO.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may useful as potential soures of chemopreventive and antioxidative agents.
        124.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내 배양 과정에서 식물성장조절물질의 처리 없이도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모식물체와 동일한 성분의 대사물질을 생합성하는 화학적 전형성능을 나타내는 형질전환된 뿌리 즉, 모상근을 이용하여 약리물질을 생산하고자 대황 모상근을 유도하고 이로부터 추출한 물질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1. 수층과 클로로포름 층으로부터 얻은 대황 모상근 추출물 모두 농도의 증가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증가하였다. 2. 클로로포름층으로부터 얻은 대황 모상근 추출물이 수층으로부터 얻은 대황 추출물보다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크게 나타났다. 클로로포름층 분획의 MTT50, NR50 SRB50은 각각 289.3μg/ml, 302.7μg/ml, 433.8μg/ml이었고, 수층 분획물의 MTT50, NR50 SRB50은 각각 475.8μg/ml, 428.3μg/ml, 549.5μg/ml 이었다. 3. 세포독성 측정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수층 분획의 경우 NR정량법에서 클로로포름층 분획의 경우 MTT정량법에서 독성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125.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rphlogical characteristics and cytotoxic acitivity for14 local varieties fo Codonopsis lanceolata collected from Korea were examined to get basic data for breeding and selection of good cultivars. Plant height ranged from 197.2 cm to 253.2 com, that from Beakunsan(No.11) was the highest and and that form Samcheok(No.5) was the lowest. Generally, plant height of those form northern area of Korea tends to be shorter than those from Southern area. Leaf width and length of that form Husando (No. 12) was the largest While that form chejudo(No.4) was the smallest and those from other area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the number of branches, that form Yanggu(No.1) was theleast and those from other areas did not show Chejudo(No.14) were the heaviest. Among 14 varieties tested, Heongseong(No.3) and Huksando(No.6) exhibited strong cytotoxicity , which showed 45.0 an d62.0μg. ml respectively.
        12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 및 약용작물중에서 암세포에 대하여 생체세포독성을 유발하는 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한국인종양에서 유래한 대장암세포주(SNU-C4)와 위아세포주(SNU-1)에 대해 MTT검색법으로 50% 세포성장저해농도(IC50)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세포에 대해 생체세포독성활성을 가지는 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17종의 작물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보리, 옥수수, 오미자에서 세포독성효과가 230μg/ml이하의 농도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2. 품종간의 세포독성효과의 차이를 검색하기 위하여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낸 작물중에서는 보리와 옥수수를, 세포독성효과를 미약하게 나타내거나 나타내지 않은 작물중에서는 벼와 귀리를 대상으로 품종별로 검색한 결과, 세포독성의 유무는 1차 검색과 동일한 경향이 나타났으나, 벼에서는 품종에 따라 현저하게 세포독성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이할만한 점은 유색미인 흑도에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50% 세포성장저해농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129.
        199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preliminary antitumor screening tests of Crude Drugs and collected plants, the methanol ic extract of Forsythia Fruits in Korean marcket showed signif icant cytotoxic activity against Chinese hamster V-79 cells, but that in Japanese market did not. The former was identifid as 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and latter as F.suspensa Vahl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When an aqueous solution of the extract prepared from the fruits of F. viridissima (Oleaceae) was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n-butanol, the cytoyoxic activitywas concetrated in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 Fractionation of the extract was made with the guidance of bioassay against V-79 cells to give cytotoxic lignans, matariresiol (1) and arctigenin (2). Their ICso values of compounds 1 and 2 were respectively 7.8 μg/ml 1 and 1.65 μg/ml. Also, their structures were confirmed by comparison of physical and spectral data in the literature.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