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21.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2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sters program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opened since 1995 in Korea. Only 3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re offering this masters program and 4 more universities are to follow. Because this program is just at the beginning level, it is the time to present the idealistic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asters degree.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had 3 steps: first step was to compare all 7 masters program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second step was to compare 4 American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a for the masters degree; third step was to draw the common elements from the comparison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n and Americ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1) both curricula from two countries have 4 common courses of music education such as elementary music education, foundations of music education, research in music education,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or psychology of music education; 2) both curricula offer music performance, ensemble, music history or music theory. Thus, these courses are included into the idealistic elementa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for master degree along with the Korean music education.
        5,400원
        2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700원
        2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25.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음악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용성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원학습공동체 소속의 교사 8명이 가상현실에 기반을 둔 가창학습 콘텐츠와 뮤지컬 공연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효용성과 자신이 겪은 경험에 대하여 논의를 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가상현실에 기반한 가창학습 콘텐츠의 특징은 첫째, 온라인 교수 환경에서도 모델링과 피드백에 유용한 콘텐츠이다. 둘째,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수 환경을 통해 시 공간 개념을 확장하였고 전통 교실에서 어려웠던 1대 1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 교과서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콘텐츠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교원들의 경험과 실천에 대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콘텐츠의 제작 과정에서 교사들은 시행착오 및 반성적 성찰을 통해 교사전문성이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콘텐츠 제작 후 공문 및 다양한 채널을 통해 나눔을 실천함으로써 교육크리에이터로서 보람과 긍지를 느꼈다. 셋째, 교원학습공동체의 자발성과 비전의 공유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학습 참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콘텐츠의 개발 과 효용성에 관한 논의는 비대면 온라인 시대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 큰 기여를 하리라고 본다.
        26.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생중심수업을 위하여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생중심수업의 이론적 배경과 성격,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과 방법 및 절차를 살펴보았으며, 학생의 수준 및 특성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자료 분석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10차시의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중심수업은 구성주의 인식론의 토대 위에 학생이 주체가 되어 배움을 형성해가는 수업을 뜻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습 활동을 촉진시키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학생, 학교, 지역 등의 특수성에 따라 교사 수준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참여 및 선택권을 확대하고 협력적으로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 과정에서 스스로 지식을 형성해가는 한편 실제적인 상황과 관련하여 보다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음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2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범교과 주제로서 독도교육의 현실적 한계와 문제를 극복해 보는 차원에서 독도교육과 음악교과와의 연계성, 좀 더 구체적으로는 초등음악교과서 내의 독도관련 노래와 국악곡을 중심으로 독도교육과의 연계가능성을 개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8종 음악교과서에서 독도와 관련된 직접적인 악곡이 있는지 우선 검토해보았고, 있다면 그 악곡의 구체적 내용과 독도교육에 맞는 통합교육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독도교육의 내용요소에 맞는 키워드를 설정하여 음악교과서 내의 국악과의 연계 및 활용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8종의 음악교과서에서 국악과 관련하여 1회 정도는 독도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해 보면서 학교현장에서 음악교과를 통한 독도 교육의 연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28.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72명이었다.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분석 및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해 ‘유아음악교육 실태’, 유아음아교육 인식‘의 2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23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를 연구대상에게 배부하고 회수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χ²-검증, t-검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Scheffe검증을 통해 추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태와 인식은 교사의 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9.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와 차기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 제시 경향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에서 국악에만 해당하는 내용이 상당히 삭제되었고, 국악 특유의 용어보다 보편적인 용어 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교육은 보편적인 음악 교육 안에 포함시켰고, 국악 내용과 활동 선택의 자유를 제공하여 다양한 교재 개발을 유도하 려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의 문제점은 국악 내용의 축소로 인해 국악 지도 내용 선정이나 체계화를 위한 기준 수립이 어려워지고, 내용을 보편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악의 내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 교수․학 습 방법에서 중복되는 내용이 많고 실질적인 국악 교수․학습 관련 내용이 미흡하다는 점 등 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보완 및 통합적 제시,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에 대한 해설 제공, 성취기준 해설의 국악 관련 내용 구체화, 교육 과정의 국악 내용 구현을 위한 방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30.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제교류를 통한 음악교육 중심의 유아세계시민교육을 교육현장에 적용한 사 례를 통해 과정적 의미를 탐구하고 향후 관련연구의 기초가 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 해 음악교육을 한국의 유치원 만 5세 두 반과 푸에르토리코, 태국, 아프리카의 유아들과 1 년 간 국제교류형태로 진행하였다. 사례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국제교류를 통한 음악 중심의 유아세계시민교육을 적용한 사례는 음악교육과정 설계, 음악교육과정의 영역별 사 례, 음악교육과정 사례 평가로 나타났다. 영역별 사례는 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신체표현하 기, 연주하기, 창작하기 및 기타로, 사례 평가는 유아평가와 음악교육과정 평가, 학부모 평 가로 나누어 사례를 설명하였다. 둘째, 사례의 의미는 국제교류로 만나는 역동적 문화경험, 음악으로 연결되는 세계시민 공동체, 교사들의 새로운 음악교육적 도전과 성장으로 나타났 다. 후속연구에서는 미술, 음악, 신체, 언어적 아름다움을 통합할 수 있는 종합예술 중심의 국제교류가 이루어지길 바라고, 종단적 연구로 장기적인 효과를 살펴볼 수 있기를 제언한 다.
        31.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언어에서 의사소통은 가장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다. 한국어 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에는 자신의 한국어 능력에 비하여 말 하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발음 을 그 이유로 생각할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가 어휘와 표현을 다양하 게 알더라도 화자로서의 발음이 명확하지 않으면 청자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자가 이해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 이 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가진 말하기의 한계가 발음에 있음 에 착안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주로 범하는 오 류를 모형으로 설계하고 발음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32.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악 학습효과 및 감상능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음악교육용 리듬게임 제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음악게임을 제작한 후 초등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실험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음고(pitch), 음가(duration), 음량(loudness) 지각을 바탕으로 한 반복적인 멜로디 패턴의 노트설계를 통해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시각, 청각, 촉각의 공감각적 이해를 통해 음악 감상교육의 효과 및 학생들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었다.
        33.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실습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해 봄으로써 음악교육실습 프로그램 운영 실태등 현황을 파악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예비음악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음악교과를 위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10개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음악교사를 주요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실습제도의 운영, 교육실습 대상학교 선정방법, 교육실습 대상학교의 환경 및 실습프로그램 운영 방법, 교육실습 환경 및 교육실습 관련 교육과정의 유용성 , 교육실습시 애로사항 및 중점실행사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선사항 및 요구사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결과 예비음악교사들은 교육실습기간의 연장과 배당학점의 증가, 교육실습 시기의 조절, 적정한 교생인원배정과 수업시수, 교육실습전의 참관수업, 집중이수제에 따른 다양한 교수방법의 개발 등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4.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 음악교육은 아동의 성장기에 있어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미적감수성을 불러일으키는 교육제도로써, 무엇보다 음악을 접하고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초등음악을 가르치는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그 역할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앞서 여러 차례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최소단위로 축약시켜 놓은 ‘필수학습 내용’ 요소에 불과하여 실제적인 적용단계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학년도 교육대학교 음악관련 교과목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해봄과 동시에 지난 연구들에 대한 실효성을 되짚어 보고 문제점을 다시 조명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7.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교육을 지원하는 학부모, 교육 연구자, 교육의 결과를 활용하는 직업인, 기업가, 정치가 등 모든 국민들은 보다 나은 현재와 미래를 위해 학교 교육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학교 교육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는 교육 개선 혹은 개혁(또는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사회적 이슈는 정부의 학교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영향을 준다. 참여 정부는 교육 혁신을 위해 초․중등학교의 교육과정 개정을 결정하고, 2005년 3월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을 요청하는 것으로 2007 교육과정 개편 작업을 공식적으로 시작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교육인적자원부의 요청에 따라 2006년 12월에 2007 교육과정시안을 완성하였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이 시안을 기초로 교육과정심의회를 거쳐 2007년 2월 23일에 교육인적자원부 최종안을 공표하였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007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개발하여 다음과 같이 연차적으로 학교 현장에 새로운 교육과정을 적용한다고 발표하였다(교육인적자원부 보도자료, 2007. 2. 23). 2009년 3월에 초등학교 1, 2학년부터 적용하여, 2010년에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2011년에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2012년에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2013년에 고등학교 3학년에 적용된다. 앞으로 2007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개발 계획을 세우고, 교과서 개발자를 선정하여야 하며, 교과서 검정 심사 기준을 결정하고 우수한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바뀐 내용이 수업에서 충실히 구현될 수 있도록 교사 양성과 연수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여야 하며, 교사들은 수업 현장에서 새로운 철학과 내용이 충실히 구현될 수 있도록 새로운 교재와 교수 방법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이 새롭게 공표된 이후에는 이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구현에 관심을 두는 것이 마땅하지만 동시에 또 다른 과업도 소홀히 할 수 없다. 한 번 결정된 교육과정 그 자체는 무엇이 좋은 교육과정인가에 대하여 끊임없이 변모하는 우리들의 생각에 따라 비판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며(곽병선, 1991, 139),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관련된 연구와 절차에 대해서는 철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석문주, 2003, 212). 교육과정은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보완되고 수정될 수밖에 없으며, 그것 자체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고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07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적합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개발 방법의 적합성은 선행 연구에서 나타나는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와 절차의 이론에 근거하여 민주적 합의 방식에 따르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7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중 음악과(이후, 2007 선택 음악과 교육과정)에 한정하여 분석한다. 연구의 내용은 2007 선택 음악과 교육과정에 참여자 그리고 협의회와 세미나 그리고 심의회 개최 과정 등에 대하여 교육과정 개정의 일반 이론에 근거한 적합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개발 방법의 적합성은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 이론과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방법을 연구한 석문주(2003), 양종모(2005) 등의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한다. 2007 선택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시안에 대한 자료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 2종을 활용한다.
        3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초․중등학교 교육의 방향과 실천 내용을 제시하는 학교 교육 지침서로, 국가 차원에서 지향하는 교육의 이념과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인간상, 이러한 인간상의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교육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제시해놓은 것이다.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학교 음악 교육이 지향하는 기본 철학과 목표,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음악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의 내용들을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서이다.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은 일반적으로 국가․사회적 변화 및 아동의 발달, 학문의 발달 등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국가․사회 및 산업 구조의 발달과 이에 따른 학문의 발달과 분화, 생성,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받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국가 교육과정이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주며, 나아가 그러한 변화를 예측하여 준비할 수 있는 선도자로서의 역할까지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읽고, 학문적 발달과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음악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이론 및 현장 연구를 7차 교육과정 고시 이후 지속해왔으며(성경희 외, 2005; 박순경 외, 2004; 이경언, 2004; 성경희 외, 2003; 양종모․이경언, 2001) 이를 통해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설정하게 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 구성 체제를 체계화하고, 그 내용을 명료하게 제시한다.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의 지침서로, 시․도 및 학교의 교육과정 작성과 실행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성 체제와 내용을 명료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그 의미를 분명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양이 많다거나 수준이 높다는 문제는 교육과정 현장 적용 연구를 통해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문제이다. 구체적으로 수업 시수,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의 반영 등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적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국악교육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한 6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악교육의 양적 팽창은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현장에서 국악을 다루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는 토로가 있었다. 이에 내용, 방법, 평가 등 교육과정 전반에서 국악교육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 음악교육을 통해 습득한 내용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음악을 가까이 하고,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음악들의 대부분은 학교에서 배운 음악과는 거리가 멀다. 학교에서 음악을 배우는 목적은 학교에서의 평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음악 활동을 통해 교양인으로서의 자질과 인성을 키워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과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에서 제시한 방향에 따라 새 교육과정을 위한 개정 작업을 하였다. 다음 장에서는 각각의 개정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과 의의를 제시하도록 한다.
        39.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된 음악과 교육과정은 2년여의 연구 끝에 2007년 2월에 고시되었다. 그동안 여러 차례의 공청회와 토론회 그리고 현장 검토를 통해 완성된 최종안은 학교 현장의 현 상황과 변화를 최대한 고려한 교육과정으로써 현실성과 실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다. 차기 음악과 교육과정은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이 우리 사회의 정체성 문제나 공동체의 통합 등 사회적 문제를 등한시 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배워야할 내용이 지나치게 너무 많고 세계의 다양한 음악을 배우는 데 적절하지 않다는 점에 개정의 배경을 두고 있다. 특히 교육과정 개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수시 개정 체제하에서 이루어지는 개정으로써 현행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나 골격은 유지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만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또한 개정의 중점 사항 중 주 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교육과정의 편성과 교과별 교육과정의 적정화 구현에 초점을 두고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주 5일 수업제와 교과별 교육과정의 적정화 구현을 위한 핵심 내용은 학습 내용의 축소, 난이도의 조절, 학년간, 학교급간 그리고 교과간 내용 연계의 조정 등으로 이를 음악과 교육과정에 반영하였다. 현행 7차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교육 현장에서는 음악 교과 내용의 과다와 학생들이 성취하기 어려운 음악 이론 및 실기 등에 있어 지도의 어려움을 자주 제기하고,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내용을 적절하게 그리고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능력을 고려하여 난이도를 조절해 줄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차기 교육과정 개성에서는 내용 연구 개발진으로 전체 13명 중 초등교사 5명과 중등교사 5명을 포함시킴으로써 현장 교사의 참여를 확대하고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학교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로써 현행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대폭 축소하고 난이도를 많이 낮추어졌으며, 교육 현장에서 적용 및 실현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개정 중점과 방향을 토대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6학년의 내용도 개발되었으며 그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