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ly the meaning of the road name address is expended as an informatio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Road Name Address Act. As this revision, the address of things (AoT) become more important indicating the possibility for the expansion to the related business. However, recent study about AoT does not concern how the current priority system works from the first research. In this study, we analyze perception about addressable object between AoT experts and public using AHP analysis. We structured the importance of addressable objects as two categories; urgency and value creation. The necessity in emergency or daily, accessibility and welfare conform the urgency index. Meanwhile, public value creation in public domain or profitability in the business area and economics conform value creation index. We conducted survey for total of 89 of experts and publi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oT measured by experts and public. Generally, public tend to concern more about accessibility conforming the urgency index than experts. Moreover, the public WiFi and the sports complex scored the high priority among the remain addressable objects, in respect of the urgency and the value creation. This result could be implemen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smart city industry base 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AoT.
One of the most demanded competencies of an oral health professional such as an oral pathologist is the ability to make clinical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urological differences between beginners and experts in the clinical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consisting of complex, dynamic and sophisticated cognitive process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s based on the brain by comparing EEG activity.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design with 10 dent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10 students with short clinical experience as beginners as a fourth year student before graduation. The hypothesis-oriented algorithm proposed in HOAC II was used. As a standard, the clinical decision-making stage of the dentis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an event was developed and an experiment was designed for measuring EEG for each stage. The cerebral activity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with EEG, compared and analyzed with pre-processing process using EEGlab.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the auditory information was not noticeable between the novice and the exper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the novice and the expert appeared in the visual data and the radiographic data. In the case of beginners, the activity was higher in the left hemisphere, and in the case of experts, both brains were activ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present objective information based on brain-based analysis of differences that appear in the clinical decision-making process of experts and beginners. I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to present the brain-based characteristic analysis of dentist experts.
본 연구는 급변하는 남북관계에 대응하여, 비정치적・비군사적 영역인 자연환경 분야의 남・북 협력 강화를 통해 한반도 생태공동체 구축 및 지속가능발전 기반 마련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환경 분야 대북 지원 사업 및 국제협력 사례 분석, 국제협력을 다루고 있는 북한의 국가계획 및 국제사회에 북한이 제안한 협력 사업을 분석하여 잠재 협력 사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사례고찰 및 1차 전문가 설문조사(5명)를 통해 “잠재 협력사업” 15건과 “사업 선정 시 주요 고려인자” 6개(①추진 시급성, ②한반도 연계성(한반도 생태공동체), ③지속가능발전(번영) 기여, ④북한의 수용성, ⑤추진 기반(협력 여건, 예산) 구비, ⑥사업의 지속가능성)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2차 전문가 설문조사(14명)를 통해 우선 사업을 도출하였다. 자연환경 분야 15건의 잠재 남북 협력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위하여 6개 주요 고려 인자를 적용하여 통합・평균한 결과, 사업 추진 우선순위는 ①설악-금강 국제평화공원 지정 추진, ②임농복합경영(agro-forestry) 지원・협력, ③국제적 중요 이동성조류(저어새, 두루미 등) 공동 보전사업, ④남북 생태관광 연계・활성화, ⑤한반도 대표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 통합정보 구축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우선 협력 사업들은 기존 협력사례와 협력여건을 고려한 자연환경 분야 남북협력 전문가들의 인식에 근거하여 도출한 결과이며, 향후 실질적 추진은 사업별 성격에 따라 남・북한 간 추진 공감대 형성, 적합한 파트너와 협력체계 구축 등을 포함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동안 요가치료법을 시행한 적이 있는 국내 전문가 3인의 경험에 근거하여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 로 하는 효과적인 요가치료의 의미와 치료의 핵심적 요소 및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국내 조현병 환자를 위한 요가치료법의 개발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여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현재 조현병 환자를 위해 요가 프로그램을 시행해오고 있는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도출된 연구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그 범주들은 조현병 요가치료의 특징, 치료자 또는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요가치료 프로그램의 목표와 핵심적 요소를 드러내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중요한 범주는 적은 양의 기초적 자세 수련의 필요성, 긍정적 체험의 필요성, 요가를 배우는 조현병 환자의 특징, 요가 지도자의 의연함, 지도자의 적극적인 언어적 안내와 표현, 동작의 자연스러운 배열(sequence), 각 아사나(동작) 사이에 이완이 필요함, 호흡 관찰하기, 신체감각과의 접촉 등 이다. 반면에 회기 내에 고급의 아사나(자세)를 수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거나 지도자의 안 내 없이 환자 스스로 명상을 하는 것 등, 강도 높은 수련과 지도자와 연결이 없는 수련은 비효과적이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가 실행하기 쉬운 요가 동작에 흥미를 증진시키고 지도자의 지속적인 안내와 격려로 회기 내내 환자가 계속 신체 활동과 호흡에 의식을 두면서 현실감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요가 프로그램을 조현병에 효과적인 요가치료의 정의로 제시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smart aquaculture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patent analysis and a demand survey of experts and fishermen. The pa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Wisdomain for pat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urope, Japan, and China from 2005 to 2016.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of experts in the fields of fishery, marine, and ICT among others. Furthermore, it carried out a demand survey of 85 fishermen in Jeonnam and Jeju. The smart aquaculture technology market has moderately grown in the Republic of Korea until recently, and it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because of the expansion of national investment in the smart aquaculture field. The priority evaluation results for developing smart aquaculture technology show that land-based aquaculture has a higher priority than sea-based aquaculture. Of the fishermen that responded, 84% said that they need to introduce smart aquaculture technology to solve problem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labor cost, and maintenance expense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should lie in developing biological and environment-based standard aquaculture models to spread high-tech systems and vitalize the aquaculture industry. This requires continual training of human resources in the smart aquaculture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들을 코칭으로 돕는 코칭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예비부부들이 결혼식만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결혼을 준비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도록 돕고, 결혼 초기에 일어나는 신혼들의 이혼을 예방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예비부부교육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여기에 코칭을 접목하여 예비부부들을 위한 코칭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예비부부를 위한 코칭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은 총 12회기, 24시간으로 구성되며, 코칭의 기본 적인 기술들을 바탕으로 예비부부들에게 필요한 주제들을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코칭 대화모델은 C-PLUS코칭원리를 바탕으로 한 ACTIVE코칭 대화모델이었다. 구체적인 프로그 램은 코칭에 대한 이해(일반대화와 코칭대화의 차이, 코칭대화모델의 이해, 코칭과 상담 등과의 차이), 코칭의 기술에 대한 이해와 실습(라포형성하기, 질문하기, 경청하기, 인정칭찬하기, 의식확장하기 등), 예비부부코칭의 이해(결혼관련 통계, 예비부부들의 결혼준비 실태, 예비부 부코칭의 개념과 중요성), 예비부부코칭의 실제(예비부부들과 나눌 실제적인 주제들), 예비부부코칭전문가로서의 출발(예비부부코칭전문가로서의 비전과 포부)로 구성하였다. 향후에는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질적인 타당성을 검증하고 예비부부들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목적 : 본 연구의목적은 전문가들의 의견 조사를 통해 고령운전자 운전제도의개선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운전 및 고령자에 대한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결과는 SPSS 12.0 Version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운전자의운전적성 검사를 현행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둘째, 외국에서 실시되는 고령운전자 적성검사제도 중에 국내에 도입이 필요한 제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선별하여 제시하여 확인한 결과, 자진반납제도 구축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도에 대해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령운전자를 위한 운전기능검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고령운전자의운전제도를 강화하고 고령운전자들에게 객관적이고 타당한 운전기능검사를 실시한다면 고령운전자들의안전운전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산림과 관련한 생태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자산을 국가산림문화자산이라는 명칭으로 2014년부터 지정 하고 있다. 이는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인 지정 및 관리를 위한 제도이며, 2018년 6월 말 현재 국가산림문화자산은 41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국가산림문화자산 지정의 법적인 근거는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제 29조에 의거하고 있으며, 주무관청은 산림청이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이 지정된 지 만 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향후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 관리, 홍보, 활용 및 종합 정비체계의 작성을 위한 기초적인 의견 제시를 위해 본 연구가 수행 되었다. 설문 대상자는 각계의 전문가 집단으로 한정 하였고, 각종 학술대회 참가자, 산림관련 공무원, 연구자 등 121명에게 설문하였다.
설문결과 응답자의 전공분야는 농수해양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관광레저분야 종사자가 많았다. 응답자의 경력기간은 5-10년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 등을 대상으로 한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인식도 조사에서 산림청 주관으로 국가산림문화자산이 지정되는 것을 모르는 응답자가 48.8%를 차지하여 인지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목적에 대한 질문에서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에 버금가는 독립적 지위가 갖추어 져야한다는 응답자가 35.5%, 생활주변에서 접근과 향유가 가능한 생태자원으로서 활용해야 한다는 응답자가 30.6%를 차지하고 있었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질문에서 온라인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37.2%, 안내간판, 상징디자인 등의 차별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26.4%를 차지하였다. 국가산림문화자산에 대한 법적인 제약은 소유자의 재산권 등을 고려하여 제약의 최소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정기적인 워크숍(workshop)이나 심포지엄(symposium)을 통한 홍보로 양적인 확대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국가산림문화자산의 홍보 방법은 산림청 홈페이지와 링크된 독립적인 홈페이지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으며, 소책자나 단행본은 산림청에서 제작하여 각 기관에 배포하는 것이 통일성과 효과 측면에서 유리 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전문가 집단이 판단하고 있는 국가산림문화자산에 대한 기본적인 정책의 의견은 향후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과 모니터링, 사후관리, 종합정비계획 등의 지침 작성에 중요한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산림문화자산을 보유한 단체 등의 지원이나 체계적인 관리의 자료로 이용되어 국민들이 산림문화를 향유하고, 산림문화에 대한 인식확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조물책임법은 제품의 제조, 설계, 표시상의 결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생명이나 신체에 피해나 손실이 발생할 경우 제조물의 결함과 그로 인한 피해 사실이 입증되면 제조업자 등이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하는 제도이다. 제조물책임법의 시행으로 기업은 제조물책임 사고로 인한 손실을 예방하고 체계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대응시스템을 구축하여 제품안전사고를 본질적으로 근절하기 위한 책무를 다해야 한다. 그렇지만 최근에 발생한 가습기살균제 사고, 휴대폰 배터리의 결함, 정수기 리콜 등에 의한 피해발생으로 제품의 안전을 근원적으로 확보하고 소비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제도적으로 미흡한 점이 발견되어 개선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국회에서는 제조물책임법의 실효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2017년 3월 제조물책임법의 개정을 통해서 피해액의 최고 3배까지 배상토록 하는 징벌적 배상제도, 소비자에게 피해발생 시 입증책임을 제조업체가 지도록 하는 입증책임의 전환 등을 개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기업 책임의 변화를 예상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제조물책임법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대응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asang constitution typology was analyzed through SCAT2 and a specialist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dietary pattern, and the difference in BMI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was determined. The Sasang constitution typology of the subjects was classified by SCAT2 and a specialist. Seventy-four subjects were screened by SCAT2 (SC), and 18 of them were judged by the specialist (SP). The results of SCAT2 and the specialist were consistent in 13 subjects (SS). BMI and food preference among these groups were compared. The concordance rate of SCAT2 and the specialist classification was 72.2%. The BMI in SC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rder of Taeeumin, Soyangin, and Soeumi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aeeumin and Soyangin in SP and SS.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food and the constitutional suitability, the ‘Yin-Yang food preference index’ was developed and compared with the data classified by constitutional food according to existing ideological medical theory. As a result, there were 33 food items that matched in the SP-SS, which was more than that in the SC-SP (4 items), SC-SS (6 items), and SCSP- SS (4 items). Twenty-four of the 33 matched food items wer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constitutional food data. In conclusion, SCAT2 is a very useful tool for Sasang constitutional research, but for more objective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subjects who show consistent results by different methods be targeted.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협약 아이치 타겟-11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국제적인 보호지역 정의에 부합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잠재 보호지역을 전문가 인식을 토대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보호지역 전문가 13명으로 정책포럼을 구성하 여 포럼 4회, 설문조사 2회, 국제적 관점에서의 사례 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잠재 보호지역은 총 4개 지역으로 상수원보호구역, 수변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도시자연공원구역이다. 기존 보호지역과의 중복면적을 제외한 전체 면 적을 종합해보면 총 5,643.9㎢(육상 3,117.9㎢, 해상 2,526㎢)이며 이는 육상은 국토면적의 3.11%, 해양은 관할해역의 0.67%에 해당하는 보호지역 면적 상승 등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해 생물다양성협약 아이치 타겟-11에 대응한 국가차원의 목표 성취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의 강화를 위해 보호지역 양적・질적 개선 연구와 더불어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 발굴・연계 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pite increasing public concern following mass media coverage regarding the risk of radon to human health and the need to control it, there remains a lack of infrastructure for measuring and mitigating rad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s part of an effort to formulate an environment-management framework that can help resolve environmental issues relating to radon, ease fears regarding the associated risks, and provide radon-specific qua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locally applicable measures for training experts specializing in the fields of measuring and mitigating radon mainly based on US cases in which radon measurement and mitigation certification programs have been systematically run and supervised. Given the lack of both awareness on radon and experts in Korean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scheme to develop a radon-specific education program and a framework for expert accreditation. Thus, as groundwork for their introduction considering local circumstances, top-down measures led by the relevant department of government-led organizations, which will act as the control tower, should first be implemented to best utilize the insufficient human resources in this area. In addition,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educational programs and an expert certification system need to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ed foundations, and to support their consistent operation, a relevant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We analyzed information provided by diet-related programs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 of professional panelists and quality of provided information. We selected 82 items among eight programs by MBN, JTBC, and TV chosun. All 82 items provided information about food & nutrition and health & disease, but only 32 items (39.0%) and 35 items (42.7%) provided information on food culture and food safety, respectively. Among the food ingredients, phytochemicals (81.7%) we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nd the contents of functional ingredients occupied a large part. The inappropriate information on programs were broadcast on an average of 1.2 episodes per program, and the most pointed out item was information that could confuse viewers with drugs (29.3%). Among the professional panelists, medical doctors (38.9%) and Oriental medicine doctors (16.6%) had the highest number of appearances, and professors of food & nutrition constituted only 7.1%. Howev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professo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rogram information. Contents focused on balanced nutrient intake and dietary culture of Korea should be increas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function of each nutrient in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본 연구는 노인과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노인 돌봄이의 노인자살 인식 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서울시 지역의 사회복지사, 독거노인돌봄이 4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 반응을 설문조사하고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객관적으로 유형화 하였다. 설문지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가족 결속형”으로 명명하였으며 나이가 들면 인간이 자연히 죽게 되는 데 서둘러 목숨을 끊 을 필요가 없으며, 가족과 터놓고 대화하는 것이 노인이 자살 생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삶을 살아감에 가치를 두고 자살을 죄악으로 인식하는 등 노인 자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유형으로 가족 간 의사소통을 통한 활발한 교류가 노인 자살에 관한 예방책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유형 2는 “사회적 지지형”으로 명명하였으며 노인자살은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크지만 만성질환의 고 통과 삶에 대한 희망의 부재, 억울함에 대한 분노의 표출로 자살이 일어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자신의 생명에 대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보고 자살도 하나의 선택권 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노 인자살의 예방을 위해 국가는 사회안전망을 지원해야 하고 자살시도 징후가 있는 노인을 대상을 빠르게 파악하여 지지체계를 회복하고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노인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 한다. 유형 3은 “자살 인정형”으로 명명하였으며 노인자살은 젊은 층에 비해 사회적 관심과 비중이 적으며 자살은 삶에 대한 뚜렷한 철학이 없는 극단적인 생각이라고 보고 있다.
본 논문은 2016년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로 방사선 이용 전문가와 감독자를 양성하기위한 집체 교육 과정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사선 전문가의 수준별 필요 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 결과의 시의성과 적합성을 재평가한다. 평가 결과, 방사선 전문가의 수준별 집체교육을 통해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역량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aste of the wine assessment gap analysis to compare the taste of the wine intended for college student wine consumers and wine experts. Research analysis was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to the strength of the wine taste a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the consistency review and wine for the wine flavor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result, red wine, bitter and salty taste was perceived higher. For white wines are perceived sweetness of wine was sour and higher consumer groups. Body was found that wine experts perceive higher. The Second difficulty is when college student wine consumers selected wine got another show to the lack of information, lack of expertise, price, taste, the combination of food. Another wine on difficult points during the wine expert wine recommendations wine selection, price, prejudices then guest it showed a preference and communication, considering that the customer's budget, customer preferences, taste and aroma, the combination of the food and the customer response was configured. Although the criteria have different tastes for wine through college student wine consumers if future studies presented by symbolic reference to the wine tasting, can be self-objectification of subjective criteria subjective wine experts are wine consumers to take advantage of thes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