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9

        61.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도덕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접근법들을 통합하는 방법과 논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내용적 접근의 도덕교육과 형식적 접근의 도덕교육의 통합 방법과 통합 논리는, 도덕성에서 내용과 형식은 도덕규범이 작용하는 두 가지 측면이므로 통합 가능할 뿐 아니라 통합되어야 한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인지적 접근과 정서․감정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의 통합 방법과 논리는, 도덕성에서 인지와 정서․감정은 인간의 마음의 작용이고 행동은 인간의 몸의 작용이라는 점에서 도덕성은 한 인간의 작용이므로 이들 세 요소는 통합 가능할 뿐 아니라 통합되어야 한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들 전체의 통합 방법과 통합 논리는, 도덕적 삶은 인지와 정서․감정이 작용하는 ‘인간의 마음’이 내용과 형식으로 작용하는 ‘도덕규범’을 받아들여 행동이 작용하는 ‘인간의 몸’으로 실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통합 가능할 뿐 아니라 통합되어야 한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6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내적 외적 배경 변인에 따라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에 근무하는 공․사립 유치원의 현직 교사로서 장애유아 통합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122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Gibson과 Dembo(1984)의 ‘교사효능감 척도’에 기초하여 배재정(2005)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유치원 교사의 효능감 검사 도구’ 를 사용하였다. 빈도분석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또는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적배경 변인과 효능감와의 관계에서는 교사의 연령, 대학 수강경험, 현직연수 경험은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배경 변인과 일반적인 효능감과의 관계는 경력이, 개인적 효능감과는 연령, 결혼여부, 현직 연수참여 여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적 배경 변인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는 통합학급, 종일제 담당 학급 유형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 배경 변인과 일반적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교육기관 유형이, 외적 배경 변인과 개인적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학급유형과 수업 형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6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미래 교육환경에서 요구되어지는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속성을 반영하는 콘텐츠 유형을 도출하고, 통합적 조직을 통한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상황맥락형, 에듀테인먼트형, 스토리활용형, 자원기반 프로젝트수행형의 총 4종의 영어과 콘텐츠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다시 학습자의 학습 경험 속성이나 활용 과제 및 자료의 속성, 구현 테크놀로지 속성 등에 의해, 의사소통상황맥락형은 제시형, 체험형, 구성형으로, 에듀테인먼트형은 퀴즈형, 게임형, 다중지능활용 과제수행형으로, 그리고 스토리활용형은 문학작품활용형과 에피소드활용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개념과 세부 형태를 기술하고 개략적으로나마 교수․학습 절차와 단계별 설계 전략을 규명하였으며, 그 적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콘텐츠 유형에 대한 아이디어를 시사하였다. 또한, 도출된 콘텐츠 유형의 통합적 적용을 통해 단원 중심의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구성 모델을 구안하고 그 구성 요소별 설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어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 설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콘텐츠 유형들은 맹목적이고 배타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교수․학습 과정상에서 필요한 맥락에 맞게 각 유형들의 핵심적 아이디어들이 통합적으로 고려되는 설계 전략이 필요하다.
        6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1980년대 이후, 통합교육과정(integrated curriculum)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노력은 교육의 질적 향상을 수반하였다.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노력은 유치원, 초등학교는 물론 중․고등학교에서도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통합교육과정이 21세기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노영희, 2006).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전통적으로 통합적 교육과정을 지향해왔다. 그리고 특히 제5차,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통합적 교육과정 계획과 운영을 강조하게된 것은 이러한 세계적인 변화의 맥락과 함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1, 2학년의 통합교과가 제4차 교육과정부터 개발․적용된 이후, 최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서 통합의 개념 문제와 유치원 교육과의 연계 문제가 주요 논쟁점으로 부각된 것은 이와 같은 세계적인 통합교육에의 관심과도 무관하지 않다. 21세기에 나아가야 할 교육의 방향은 결코 전통적인 주입교육이 아닌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에 기초한 통합적 접근이어야 한다. 교육현장은 이론이 그대로 적용되는 수동적인 장소가 아니라, 수많은 문제들이 발생하며 교사에게 바람직한 해결책을 요구하는 매우 역동적인 장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 현장의 교수실천은 특정 이론의 답습과 실험이 아니라 교육자들 스스로의 비판적 지성에 의해 반성적으로 실천되어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이 올바른 자리매김을 할 수 있다. 통합교육과정의 역사적 흐름은 Rousseau, Pestalozzi, Freobel 등의 자연주의에 기초한 교육 사상가들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주요 아이디어는 Dewey의 아동중심 교육이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통합교육과정은 Dewey의 아동중심철학이 기본 이데올로기가 되었으며, Kilpatrick을 통하여 통합교육과정 접근법으로 구체화되었고, 최근에는 통합적 접근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조화 운동에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이 큰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Charbonneau & Reider, 1995). 그러나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노력은 20세기 후반을 지나오면서 교육현장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비판도 거셌다. 통합교육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일부의 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이 실패하는 이유를 첫째, 아동 중심 철학에 대한 오해, 둘째, 부적절한 교사 교육, 셋째,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 부재로 들었다. 특히 교사는 학급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일과 효율적인 계획을 해야 하고, 통합된 일과 진행을 위해 현명하게 학급을 운영해야 하는데, 이러한 통합교육의 기본 조건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교육을 피상적인 방법론으로만 다루려는 사람들에 의해 그 결과가 실패로 이끌어지게 된 데에 그 원인이 있었다고 분석하였다. 김재복(2007)은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 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적용될 때는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 교사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문제 등으로부터 파생된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이거나 간에 통합교육과정 적용의 실패는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인습적인 교과교육에의 안주 또는 구조적 정체에 기인하므로, 통합교육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실패의 원인들로 지적된 문제점에 대해 올바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해야한다는 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은 물론 그 이상의 타급학교 교육에 이르기 까지 통합적 교육과정은 21세기의 교육이 지향하는 모형임이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20세기 교육과정의 흐름을 정리해보고, 앞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과정을 바람직하게 실천하기 위한 조건과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66.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간은 인간이 만들어 놓은 조직으로부터 인간다운 사고와 행동, 관습 등을 모방하고 학습하는 사회화 과정을 거쳐 성장한다. 인간의 사회화는 지식, 태도, 기술, 도덕, 법률, 습관 등의 생활과 행위양식을 총체적으로 포함하는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문화는 결국 삶을 해석하고 유형화하는 것으로 삶을 담아내는 하나의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문화는 그 어느 때보다도 ‘교육’과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으며 ‘삶의 질 개념을 자기조절, 인간관계 및 문화와 연결시켜’(임미향·박영신·김의철, 2004; 한성덕, 1998)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를 한 사회에서 유용한 가치를 지닌 생활양식이라고 할 때, 조상의 삶의 지혜와 생활방식을 담고 있는 문화는 오늘날의 삶을 가능하게 하고 형성해 온 기반으로서 계승, 발전되어야 할 필요성을 지닌다(한국유아교육학회, 2005). 과거 전통가정에서의 조부모는 손자녀에게 위엄을 가진 존재로서 존경을 받으며 절대적인 사랑과 관심을 필요로 하는 유아기 손자녀와 깊은 유대관계를 가지고 대리모로서 양육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기본생활습관훈련을 비롯하여 놀이교사, 친구, 애정의 대상 등 교육적 역할도 담당하였다. 이처럼 조부모가 일생동안 쌓아온 지혜와 경험을 손자녀에게 제공하는 것은 손자녀의 양육 및 교육뿐만 아니라 조부모 자신의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대 핵가족사회에서는 웃어른으로서의 권위가 약화되어 뒷전으로 밀려남에 따라 세대갈등이나 소외감을 갖는 노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망이 축소되고 친지 또는 친구와의 접촉이 감소함에 따라 자살률도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배재남, 2006; McIntosh 등, 1994). 이와 같은 사실들은 소외되고 있는 노인들에게 가정에서의 역할을 되찾아 주고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하며 세대간 교류를 유도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세대통합 프로그램(Intergenerational Program)은 두 세대간의 협력, 상호작용 및 교환을 증가시키는 활동 또는 프로그램으로 1980년 이래로 외국 노년사회학 분야뿐만 아니라 아동학 분야에서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주제이다(박경란 외, 2003). 이와 같은 중요성을 인식한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7년 4월 유치원에 할머니 자원봉사자를 배치하는 ‘유아-중고령 여성 협력망 구축 사업’을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종일제유치원으로 확대 실시한 바 있다. 이는 50세 이상 여성의 육아경험과 유휴인력을 활용함으로써 유치원의 교육여건을 향상시키고 중고령 여성의 사회참여를 유도하여 세대간 의사소통의 물꼬를 트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각 세대들은 비록 그들이 살아가는 시간과 경험이 다르다 해도 전체 생애의 일부분으로서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공통된 이해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세대통합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67.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아교육분야에서는 통합이라는 개념을 쉽게 만나볼 수 있다. 관련 전공서적을 들추면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용어이기 때문에, 누군가 통합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새삼스러운 일이 될 지도 모르며,사실 통합이라는 개념은 하나로 뭉뚱그려진 개념이 아니라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통합’, 장애 ‘통합’에서의 통합은 모두 ‘통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그 ‘통합’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그렇지만 유아교육분야에서 사용하는 통합의 개념은, 통합을 적용하는 대상과 상황이 다른 경우에도, 공통적인 이론적 토대에 기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유아교육에서의 통합의 기반이 되고 있는 경험중심적 교육과정입장에서는, 인간의 경험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안목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리고 학습자 내부의 통합을 이루기 위한 기초경험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조덕주, 1998: 187) 통합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이며 배타적인 가치를 지닌 교육과정을 운영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개개인의 경험과 의미세계의 성장을 중요시하고 각 교과의 내용을 의미 있는 개인적, 사회적 주제 혹은 문제의 맥락 속에서 재위치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는(양미경, 1997) 구성주의적 입장 역시 통합의 근거로 주장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유아 발달상의 특성이나 전인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해볼 때,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통합의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는 이론 역시 지배적이다. 즉 인간의 발달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이가 어린 유아일수록 통합적인 접근방법을 활용해야 하며, 인간발달의 생태학적인 접근과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접근방법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김규수, 1998). 유아교육분야에서 통합교육과정의 시도는 그 역사가 오래되었다. 초등교육의 경우, 1981년에 고시된 제4차 교육과정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통합교과논의를 시작했지만(김승호, 1999), 유아교육의 경우에는 1969년에 고시된 제1차 유치원교육과정에서부터 ‘국민학교와 같은 교과중심의 교육을 피하고, 종합적인 교육을 계획, 실천할 것을 강조(한국유아교육학회, 1995: 32)’한 바 있다. 또한 「유아교육사전(1996)」에서는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을 ‘유아를 전인적 인격체로 보고 발달 영역별 교과 영역별 흥미영역별로 통합하여 통합된 전체 경험 속에서 학습하도록 도와주는 교육과정’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 의미의 교과를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는 NAEYC(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1)의 주장과 일맥상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통합(교과)’은 이상에 불과하며, 통합에 대한 주장은 ‘정서적 호소력이 논리적 분석을 능가하는 주장 중의 하나(이환기, 2000: 9)’라고 비판하는 학자들도 있다. 또한 통합의 당위성에 대해서도 별다른 이견을 찾아보기 어렵다.
        68.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 영․유아교육기관으로 인정할 수 있는 기관은 교육인적자원부 산하의 유치원과 2004년에 보건 복지부에서 여성가족부로 이관된 보육시설(어린이집)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분은 하나의 기관으로 단일화 되어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제와 비교하면 정규 교육기관으로써 태생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고 그것은 현실로 나타났다. 최근에 와서 이원화로 인한 여러 문제에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것은 출산율 저하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라는 사회변화와도 맞물려 있다고 볼 수가 있다. 여성과 남성이 각각 전업주부, 생계책임자로서 역할분담을 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이 남녀 모두에게서 사라지고 있으나 결혼과 출산에 대해서는 남성과 여성의 입장이 서로 다르다. 여성의 사회참여를 남녀 모두 동의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출산과 양육책임은 여성에게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팽배하기 때문에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되면서 결혼에 대한 여성의 요구는 점차 낮아지고 결혼을 하더라도 출산과 양육에 대해서 부정적이다(최경식, 2003). 이러한 상황이 출산율 세계 최하위라는 극단적인 결과를 낳게 되자 영․유아교육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영․유아교육이 사회의 주목을 받게 된 발단이 교육적인 접근은 아니라는 점이 아쉽지만 최근에 붉어진 관심으로 영․유아교육이 발전하고 바르게 자리 잡을 수 있는 견인차가 되어 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런 기회를 통하여 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적인 목적까지 달성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우리는 한국의 영․유아교육 이원화 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는 무엇이며 어떤 해결방법이 있는 것인지 또 가능성은 있는 것인지 숙고 할 필요가 있다. 최근 한국 영․유아교육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던 연구자들에 의해서 봇물 터지듯 유아교육‧보육의 통합에 대한 여러 가지 의견이 나오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유아교육‧보육의 통합에 동의하고 그 필요성을 피력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 영․유아교육의 발전과정, 쟁점과 전망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 영․유아교육의 유아교육‧보육의 통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72.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I designed the development theory and teaching model for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by analyzing a diversity of educational curricula an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actices. There are the results of this paper as follows: 1.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developing theories presented by Tyler, Johnson, and Posner, I have drawn indispensable factors to develop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ased upon these factors, I have set a whole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and design overall curriculum-developing model. I based knowledge-centere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upon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social problem-centere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upon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and individual interest-centered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upon human-centered curriculum. 2. In setting up an overall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 sorted out teaching plan from curriculum developing. As I have designed curriculum-developing models, I have designed teaching models in three different direction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o the knowledge-centered teaching model I applied concept-related and exploration-related development method in order to integrate the knowledge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To the social problem-centered teaching model I applied process-centered development method such as a role-play in order to solve science-related social problems. To the individual interest-centered teaching model I applied the project method which gives the students an opportunity to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letting them choose the learning contents and conduct investigation for themselves. This study, as a preparation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will be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curriculum models and can be referenced as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school.
        73.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eaning of integration is creation of new characteristics by integration of different elements. The meaning of integration is different from case to case, from simple mixing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the best, perfect integration. Traditionally integration is integration of different subjects so as to teach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contrast to teach each subject independently. Here I would like to conceptualize the integration as the integration of internal world of the learner rather than the external world. The integration of subject is classified as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Integration in a single subject is integration of cognitive, psychomotor, and affective domains, integration of unit among some subjects and integration of real life situation. The strong points for integration are to provide quality of education that can have perspectives for the meaning of life, provide accustomed teaching & learning environments. Also it is afformative effect to integrate cognitive, psychomotor and affedtive domain. The shortcomings of integration is the loss of the system of contents for teaching for coresponding subject, time consum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classrooms, limitation of concepts or contents introduced in the classroom for teaching, lack of materials to support the integrated approach and difficulty of developing curriculum and related materials. The strategies for integrations are activity centered learning, respect for the selection of students, respect for the interests and concern of students, approach for the problem centered learning, stress relationship of related subject. Also examplary materials of integrations are provided for deeper understanding of integration.
        77.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수․과학 통합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현직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차이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연구결과는 첫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사전학습 경험은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양성대학과정 또는 대학원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절대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수·과학 통합 교육의 개념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수·과학 통합의 개념이 정확하게 성립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과학 통합 교육의 목표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수․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논리적인 사고력, 문제 해결력 신장에 높은 긍정적인 평가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수·과학 통합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과 관련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수·과학 통합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놀이중심, 실물 조작 중심, 실험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집단구성 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소집단을 선호하고 있으며, 연령구성으로서 예비교사는 4,5세 혼합연령집단을 선호하고 있으나, 현직교사는 단일연령집단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과학 통합 교육 관련 교사 연수의 필요성에 관하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는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9.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상에서 '80년대말에 이르러 국제정치의 데탕트조짐화 및 이에 대응한 우리의 새로운 북한관 북방정책 그리고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 등 일련의 변화에 탄력성 있게 대응할 수 있는 통일교육의 새로운 전개방향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 고찰하여 보았다. 우리나라는 88서울올림픽을 분수령으로 과감하고 능동적인 북방정책을 전개하여 가고 있으며 21세기에 실현시킬 통일조국을 위해 민족의 자존과 번영을 위한 민족공동체의 형성을 주창하고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