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지각 변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중간 언어의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다. 서울의 한 중학교 2학년 2학급에서 18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였다. 각 학생들은 총 네 차례에 걸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의미 관계와 주제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일상 언어를 자원으로 하는 경우, 과학 어휘와 일상 어휘를 병용하는 경우, 그리고 과학 언어를 활용하지만 불충분한 경우와 의미 관계가 부적절한 경우를 합하여 총 8개의 중간 언어 유형이 도출되고 서술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사된 중간언어의 함의를 토의하였다.
        4,600원
        2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25.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style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 To do thi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style was classified into democratic, training and direction, social supportive, pos
        5,200원
        2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focuses on English language assessment for young learners in Korea questioning how far the special needs of young language learners (YLL) are being catered by the current English language assessments. First of all, this paper identifi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young learners and the related assessments and provides several examples in the European context to explore how European programs apply the distinctive conditions of YLL on the assessing practices at schools. Secondly, four tests of oral proficiency which are currently administered in Korea (SEPT-general vs. SEPT-Junior; ESPT-general vs. ESPT-Junior) are explored to compare how the assessments for YLL take account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young learners. Test content is analyzed on item types, test criteria and level descriptors. Lastly,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ssessment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paper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YLL test development in Korea.
        6,600원
        2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전략적 제휴를 조직간 학습과정으로 규정하고, 각각의 제휴 파트너들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어떤 학습 유형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조직간 지식 이전의 속도가 차이난다고 설정하였다. 제휴 파트너들의 조직학습 유형(지식 탐색과 지식 활용)이 서로 다를 경우는 여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식이전의 속도가 빠를 것이며, 제휴 파트너들의 조직학습 유형이 모두 지식 활용인 경우는 다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식이전의 속도가 늦을 것이다. 본 논문은 생수 산업에서 다국적 기업과 현지기업간의 합작투자 사례분석을 통해 이 같은 명제들을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 결과 상호 보완적인 지식 기반은 학습 제휴의 강력한 동기가 될 수 있지만, 아울러 성공 체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지식은 조직간 학습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었다.
        7,000원
        2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 propósito de este estudio es analizar los 1,471 errores recopilados en las clases de conversación española de una universidad y señalar cómo el análisis del error desempeña un papel relevante en el proceso de la enseñanza/aprendizaje de español. Después del análisis a todos los errores, se clasificaron cuatro categorías según su origen: errores simples (morfológicos), errores por la interferencia, errores gramaticales y errores lógicos. A su vez, cada categoría incluyó subdivisiones, según el contenido gramatical, y por último se seleccionaron veintiún tipos de errores a los que se les dio un porcentaje. Algunos de los resultados obtenidos en este análisis son: primero, cerca del 63 ó 75% (según los niveles) de los errores derivan de confusiones gramaticales y apenas un 9 ó 12% se atribuyen a interferencias de la lengua materna y del inglés; segundo, en algunos casos o tipos, los estudiantes de nivel alto cometen más errores que los de nivel bajo y esto se puede explicar a partir de una estrategia de ‘evitación’, empleada por los últimos; tercero, con respecto a los estudiantes del nivel bajo, muchos de los errores no satisfacen el mínimo de los requisitos estructurales; así que para ellos, antes de la corrección del error, se debe ofrecer mucha atención a los modelos de la oración española.
        6,400원
        30.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gaps in motor skills, physical education knowledge acquisition, participation attitude and learning interest between learners who set up their own goals in light of their abilities and
        4,900원
        31.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ysical therapists have been using balance and weight shifting training to induce improvements in standing and walking.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kinetic feedback frequency and concurrent kinetic feedback on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weight shifting skill in young, nondisabled adults. Sixteen young adults without known impairment of the neuromusculoskeletal system volunteered for the study. Subjects in each of three kinetic feedback groups performed a weight shifting task in an attempt to minimize error between their effort and a center of pressure (COP) template for a 12 second period. Feedback was provided: 1) concurrently (concurrent feedback), 2) after each trial (100% feedback), 3) after every other trial (50% feedback). Immediate and delayed (24 hour) retention tests were performed without feedback. During acquisition phase, the concurrent feedback group exhibited less error than either of the post response feedback group. For the immediate retention test, the 50% feedback group exhibited less error than did the 100% feedback and concurrent feedback. During the delayed retention, 50% feedback group displayed less error than did the other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e with concurrent feedback is beneficial for the immediate performance, but not for the learning of this weight shifting skill. Lower frequency of feedback resulted in more permanent changes in the subject's ability to complete the task.
        4,000원
        33.
        199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types of relative frequency and delay interval of knowledge of results(KR) on motor skill learning independ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ore effective types of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for motor learning. Forty-six healthy subjects (15 female, 31 male) with no previous experience with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The subjects ranged in age from 20 to 29 years (mean=23.9, SD=0.474).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 high-instant group, a high-delay group, a low-instant group, and a low-delay group. During the acquisition phase, subjects practiced movements to a target (400 mm) with either a high (83%) or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and with either an instantaneous or delayed (after 8s) KR. Four groups were evaluated on retention (after 3min and 24hr) and transfer (450 mm) tes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in acquisition and short-term retention (p>0.05, (2) a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during practice was as effective for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nn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high (83%) KR practice conditions (p<0.05), (3) delayed (8s) KR enhanced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rm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instantaneous KR practice conditions (p<0.05), and (4)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during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ph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relatively less frequent and delayed KR are more effective types for motor learning than more frequent and instantaneous KR.ㅂ
        4,800원
        35.
        2022.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읽기 능숙자 집단과 미숙 자 집단을 나누어 사고구술법을 활용하여 텍스트 유형별로 두 집단이 사용하는 전략 양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이 설명문을 읽을 때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만 서사문을 읽을 때 전략 각 범주의 분포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능숙자 집단은 텍스트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미숙자 집단은 거의 같은 전략을 사용하 는 경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능숙자 집단이 서사문보다 설명문에 더욱 뛰어나고 우세를 가졌지만 미숙자 집단은 설명문보다 서사문을 조금 더 빠르게 읽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36.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의 교수유형,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교과태도에 대 한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J시 소재 중학교 남녀 총 358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중 자율적 교수행동은 학업적 자 기효능감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및 과제난이도 선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통제적교수 유형은 자신감 요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 요인은 교과태도의 긍정적 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자기조절 효능감은 능동적 참여 및 적극적 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사 교수행동의 하위요인인 자율적 교수유형은 교과태도 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정서와 능동적 참여 및 적극적 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후속 연구에서는 변수간의 관계정립을 위해서 매개 변수를 지정해 서 연구결과를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성차를 고려한 교과태도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 이다.
        37.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verbal cues during observational learning of a soccer kick. Methods: The to-be-learned task was an inside-of-the-foot soccer accuracy pass. Thirty fema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verbals cues combined with an expert model video; 1) discovery learning, 2) attention-focusing cue, 3) error-correcting cue. All participants practiced 10 trials without any information during a practice phase and 40 trials with treatments during an acquisition phase. A retention test was administered 24 h after acquisition. Results: The effect of observational learning was evaluated by kicking form, absolute error(AE), variable error(VE). The results revealed that two verbal cue groups displayed better kicking form than the discovery learning group during the retention test. The error-correcting cue group revealed better learning effect than attention-focusing cue group. However, for AE and VE the two verbal cue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learning benefit relative to the discovery learning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error-correcting cue is more effective during observational learning than the attention-focusing cue. The error-correcting cue facilitates attentional and retentional subprocesses. In addition, it facilitates the search for a task-appropriate coordination solution.
        38.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조 유형별 관용표현에 대한 이해도 및 이해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관용표현의 연관성에 따라 유형별로 L2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그 이해 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이해 전략을 살펴보고, 또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고급 학습자 집단과 중급 학습자 집단 사이의 이해 전략 사용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L2 관용표현 이해 과정에서 언어 전이의 역할과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39.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학습에서 항해지원 유형과 인지부하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지부하를 줄일 수 있는 항해지원 유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첫째, 모바일 학습에서 항해지원 유형 중 항해 바 유형을 적용한 콘텐츠를 학습한 집단이 풀다운 유형을 적용한 집단보다 작동기억에서 모두 인지부하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학습 콘텐츠에서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이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작동기억 유형에서 인지부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학습에서 항해지원 유형과 사전지식 수준이 학습자의 인지부하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항해 바 유형의 콘텐츠를 학습할 때 인지부하가 낮아 학습효과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사전지식 수준이 높으면 인지부하 수준이 낮고 사전지식 수준이 낮으면 인지부하 수준이 높은 현상이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