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4

        1.
        2023.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β-Ga2O3 has become the focus of considerable attention as an ultra-wide bandgap semiconductor following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bulk single crystals using the melt growth method. Accordingly, homoepitaxy studies, where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epilayer is not problematic, have become mainstream and many result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because the cost of homo-substrates is high, research is still mainly at the laboratory level and has not yet been scaled up to commercializa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many researchers are trying to grow high quality Ga2O3 epilayers on hetero-substrates. We used diluted SiH4 gas to control the doping concentration during the heteroepitaxial growth of β-Ga2O3 on c-plane sapphire using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Despite the high level of defect density inside the grown β-Ga2O3 epilayer due to the aggregation of random rotated domains, the carrier concentration could be controlled from 1 × 1019 to 1 × 1016 cm-3 by diluting the SiH4 gas concentra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β-Ga2O3 hetero-epitaxy has similar potential to homo-epitaxy and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commercialization of β-Ga2O3 applications with the advantage of low substrate cost.
        4,000원
        2.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lten salt is one of the promising medium materials for molten salt reactors and energy storage systems. Molten salt is advantageous for better physical properties such as low melting point and high boiling point, high energy capacity,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thermal stability than other medium materials such as water or liquid metals. However, the corrosivity of the molten salt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disturbs the various applications of the molten salt. On the other hand, metallic 3-D printing technologies have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over the past 20 years and show potential for use in cutting-edge industries such as aerospace and military purposes. However, the biggest problem of 3-D printed products is that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re very weak along the laminated plane that was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particular, other research showed that corrosion is vulnerable through the laminated surface, and corrosion along the laminated plane is not completely mitigated through a general heat treatment process although the microstructure of the surface is evaluated to be partially mitigated by the heat treatment. In this study, molten salt corrosion behaviors of simple Ni-based alloy with a composition of 80Ni- 20Cr were analyzed. Ni-based alloys were fabricated by casting and 3-D printing, and some of the 3-D printed specimens were thermally treated at 1,273 K for 1 hour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corrosion behaviors. In molten eutectic NaCl-MgCl2 melts at 973 K, Ni-based alloys were corroded for 1, 3, 7, and 28 days and their microstructural changes were analyzed by SEM-EBSD-EDS and OM. The corrosion behaviors of the alloy were also evaluated by the salt composition measured with ICPOES. 3-D printed alloy with post-treatment showed more resistivity to the molten salt corrosion than as-fabricated 3-D printed alloy. However, the corrosion rate of the 3-D printed specimen after heat treatment was still higher than that made by casting.
        4.
        2022.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x with ammonia (NH3-SCR), a V2O5WO3/TiO2 (VW/nTi) catalyst was prepared using V2O5 and WO3 on a nanodispersed TiO2 (nTi) support by simple impregnation process. The nTi support was dispersed for 0~3 hrs under controlled bead-milling in ethanol. The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nTi was reduced from 582 nm to 93 nm depending on the milling time. The NOx activity of these catalysts with maximum temperature shift was influenced by the dispersion of the TiO2. For the V0.5W2/nTi-0h catalyst, prepared with 582 nm nTi-0h before milling,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with over 94 % NOx conversion had a narrow temperature window, within the range of 365-391 °C. Similarly, the V0.5W2/nTi-2h catalyst, prepared with 107 nm nTi-2h bead-milled for 2hrs, showed a broad temperature window in the range of 358~450 °C. However, the V0.5W2/Ti catalyst (D50 = 2.4 μm, aqueous, without milling) was observed at 325-385 °C. Our results could pave the way for the production of effective NOx decomposition catalysts with a higher temperature range. This approach is also better at facilitating the dispersion on the support material. NH3-TPD, H2-TPR, FT-IR, and XP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nTi in the DeNOx catalyst.
        4,300원
        5.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design of a spent-fuel (SF) storage, the consideration of burnup credit brings the benefits in safety and economic views. According to it, various SF burnup measurement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estimate high fidelity burnup credit, such as FORK and SMOPY. Recently, there are a few attempts to localize the SF burnup measurement system in South Korea. For the localization of SF burnup measurement systems, it is very important to build the isotope inventory data base (DB) of various kinds of SFs. In this study, we performed DeCART2D/MASTER core follow calculations and McCARD single fuel assembly (FA) burnup analyses for Hanbit unit 3 and confirmed the characteristic of the isotope inventory over burnup. Firstly, the core follow calculations for Cycles 1~7 were performed using DeCART2D/MASTER code system. The core follow calculation is very realistic and practical because it considers the design conditions from its nuclear design report (NDR). Secondly, the Monte Carlo burnup analyses for single FAs were conducted by the McCARD Monte Carlo (MC) transport code. The McCARD code can utilize continuous energy cross section library and treat complex geometric information for particle transport simulation. Accordingly, the McCARD code can provide accurate solutions for burnup analyses without approximations, but it needs huge computing resources and time burden to perform whole-core follow calculations. Therefore, we will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ingle McCARD FA burnup analyses by comparing the DeCART2D/MASTER core follow results with the McCARD solution. From the results, the use of single FA burnup analys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Bs will be justified. Various FAs, that have different 235U enrichments and loading pattern of fuel rods and burnable absorbers, were considered for the burnup analy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es for power density, initial enrichment, and cooling time will be presented.
        7.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열린 셀 구조의 3차원 마이크로 엮임 재료에 대해서 다양한 전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재료의 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엮임 재료에 대한 수치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각 축 방향별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6개의 변수로 매개화 하였으며, 기존의 정육면체 대신에 사면체의 요소로 바꾸어 엮임 재료의 기하학적 형상을 더 사실적으로 구현하였다. 개선된 수치모델에 대해서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계적, 열역학적, 유체역학적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기존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x 및 y 방향으로 와이어 간격을 변화시켜 가며, 3차원 엮임 재료의 여러 물성치에 대한 파라메트릭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물성치의 변화 경향 및 민감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3차원 엮임 재료의 물성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애슈비 차트와 함께 살펴보았으며, 기존의 벌크 형태의 금속 재료와는 다른 재료 특성들로 인해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땅나리와 섬말나리의 수요는 최근까지도 늘어났지만 종자 상태에서 개화에 이르기까지 확률은 낮은 편으로 자생지에서의 개체수는 해마다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땅나리(Lilium callosum Siebold & Zucc.)와 섬말나리(L. hansonii Leichtlin ex D.D.T. Moore)의 대량증식을 도모하기 위하여 종자 발아에 유리한 주·야간 온도 조건과 적합한 GA3 농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땅나리 종자는 2017년 10월 24일 강원도 춘천히 둔산면 원창리(37°47’10.00”N, 127°44’31.00”E), 섬말나리 종자는 2017년 10월 2일 울릉도 울릉군 북면 나리 (37°31’27.06”N, 130°52’25.08”E)에서 채종하였다. 땅나리와 섬 말나리 종자들을 주·야간 15/5, 20/10, 25/15, 20/20°C의 환경 조절상에서 처리구 당 30립씩 3반복으로 치상하여 온도 처리 실험을 진행한 후, 발아율 결과가 가장 우세했던 온도 조건의 환경조절상에서 섬말나리 GA3 처리 실험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온도 처리 실험결과 땅나리는 20/20°C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율이 95.0%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 또한 10.1일로 가장 낮았다. 섬말나리는 20/20°C의 온도 조건에서 발아율이 78.8%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 또한 40.1일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토대로 20/20°C에서 실시한 섬말나리 GA3 처리 실험은 증류수를 대조구로하여 200, 400, 800mg・L-1의 농도로 상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처리구 당 20립씩 3반복으로 치상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서 81.6%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평균발아소요일수는 200mg・L-1처리구에서 37.1일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땅나리와 섬말나리의 주·야간 발아 최적 온도는 20/20°C이며 GA3 24 시간 처리는 섬말나리 종자 발아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되었다.
        4,000원
        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n interest in the Chinese language, culture, society, and economy increases in Korea, a large amount of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texts in Chinese are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occupational areas. During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cultures, many difficulties can arise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of Chinese vocabulary.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is an essential search tool for Koreans who wish to look up the definitions of Chinese texts.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when compiling a Chinese-Korean dictionary for native Korean speakers or those who study Chines through Korean: which vocabulary must be included, how to arrange them, how to select and explain their definitions and examples, etc. Among the vocabulary listed 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this study analyzed the definitions of those that appeared less than 10 times in the Chinese corpus, and focused on determining the propriety of the vocabulary selections, as well as the accuracy of their definitions. Moreover, this study is the third study of section D and focused on the vocabularies included in D3 for our analysis.
        4,600원
        14.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폿 용접 접합의 삼차원 모델링을 위하여 강한 불연속이 내장된 유한요소를 사용하였다. 스폿 용접의 기하학적 형상을 유한요소망 대신 요소에 내장된 불연속 면에서의 특수한 응집 법칙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적응적 유 한요소망을 이용하는 접근법과 달리 스폿 용접의 국부적인 형상에 독립적인 유한요소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폿 용접 의 형상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모델링함으로써 기존의 점 구속조건을 이용하는 접근법과 달리 망 독립적인 해를 얻을 수 있다.
        4,000원
        17.
        2016.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개별요소해석 프로그램인 PFC3D를 이용하여 지오그리드와 재료입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지오그리드 반복인장 시험 및 전단시험을 통해 확인 하고자 한다. 재료의 입도 유효입경 D50 (누과통과율 50%)을 기준으로 40mm, 30mm, 20mm, 15mm, 10mm 로 비교 하였고, 합성수지로 제작된 지오그리드 개별요소를 미시 물성치 보정을 통해 형성하였다. 반복인장에서는 변형률 0.5%를 최대 인장 변형률로 설정하여 반복인장을 500회 실시 하였으며, 전단 시험에서는 지오그리드 생성위치를 전단면으로 설정하였고 횡방향으로 변형률 10%까지 전단시켰다. 해석 결과 유효입경 20mm에서 가장 큰 보강효과를 확인 하였고, 40mm 및 30mm에서 보강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오그리드의 격자 크기를 고려하였을 때, 재료의 유효입경의 크기는 격자의 내접원 직경의 60% 정도 확보 시 보강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4,000원
        1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초음파를 이용한 심장 혈류의 정량적 측정은 관측자의 숙련도에 의해 평가결과가 변화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공명 영상 장치의 위상 대조도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통한 심장 혈류의 정량적 측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고자기장(3.0T) 자기공명 영상 장치와 저자기장(1.5T) 자기공명 영상 장치의 측정 오차에 대한 기준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장에 따른 심장 혈류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정상의 남자 지원자 15명(평균연령: 35.4±4.10세)을 대상으로 심장 혈류 평가를 실시하였다. 장비는 초음파 Philips IU-21을 이용하여 심장 상행 대동맥의 최대 혈류속도와 평균 혈류량을 측정 하였으며, 자기공명 영상 장치는 GE Signa HDxt 3.0T/1.5T(GE Medical System Milwaikee, Wisconsin, USA)와 8channel cardiac array 코일을 사용하였다. 2D 자기공명 위상 대조도 영상은 상행 대동맥의 S-T juction과 Aortic valve LV에서 각각 시행하였다. 자기장의 세기에 의한 심장혈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5T와 3.0T 모두에서 shim을 사용하지 않고(NO shim)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shimming에 의한 심장 혈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각각 Auto shim, Local shim, 그리고 두 가지 shim(auto + local: All shim)을 모두 사용한 상태에서 각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다중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0.05미만으로 하였다. 결 과 : 각각 1.5T와 3.0T에서 얻은 혈류 측정값은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LV AF: z=-3.409, p=0.001 / AA AF: z=-3.239, p=0.001), NO shim LV 1.5T의 혈류 측정값이 초음파의 혈류 측정값과 가장 높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827, p=0.000). 3.0T의 혈류 측정값은 shim을 사용했을 때 NO shim LV 1.5T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자기공명 영상 장치를 이용한 심장 혈류 평가에 있어서 자기장이 높은 3.0T에서 측정한 혈류값은 자기장이 낮은 1.5T에서 측정한 결과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공명 영상 장치를 이용한 심장 혈류의 평가는 저자기장(1.5T)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사용하거나 자기장이 높은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혈류 평가를 위해 반드시 shimming을 통해 자기장의 균일도를 개선해야 한다
        4,500원
        19.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수 함수 및 멱 법칙 함수를 이용한 점진기능재료(FGM) 판의 전단 및 두께 방향 변형을 고려한 이론을 정식화하여 동적 평형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지수 함수 및 멱 법칙 함수는 두께 방향으로 재료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고 3차원 해석방법은 전단 및 두께 방향 변형을 고려함으로써 점진기능재료의 정확한 구조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Pasternak탄성지반 위에 놓인 4변이 단순 지지되고 전단 및 두께 방향 변형이 고려된 점진기능재료 판의 지배방정식을 풀기 위해 Navier 방법을 사용하였다. 거듭제곱 지수와 3차원 해석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지수 및 멱 법칙 점진기능재료 판의 동적 해석결과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2차원 고차전단변형 이론 및 3차원 이론과의 관계를 수치해석 결과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i) 거듭제곱 지수, (ii) 폭-두께 비, 그리고 (iii) 탄성지반 계수, 등이 점진기능재료 판의 자유진동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참고문헌의 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