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먹노린재 합성집합페로몬 후보물질 12종에 대한 유인력을 평가하였다. 페로몬 방출기는 4구 후각계 (Olfacomter)를 사용하였고 4개의 진공관에 각각 후보물질을 투입 후 진공 유압 방식으로 방출하여 포집기에 유인되는 먹노린재의 개채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4구 후각계 페로몬 평가 방법은 기존 Y-관 후각 계의 문제점인 양방향 선택성과 공간 한정성을 개선하여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유인력 평가 결과 12종의 유인제 후보물질 중 Trans-2-Decenal이 먹노린재 실험개체에 대하여 100% 유인력을 보였다. 또한, 선별된 Trans-2-Decenal의 먹노린재 유인력에 대한 유효농도 시험을 진행 한 결과, 50%의 농도에서 유인력이 가장 높았 다. 본 연구를 통해서 선별된 Trans-2 Decenal은 기존의 노린재과에 대한 페로몬 트랩에 비해 먹노린재에 대한 유인 효과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에 따라, Trans-2 Decenal을 기반으로 한 페로몬 트랩이 상용화된다면 추후의 먹노린재 방제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량유살 기술을 통한 총채벌레 방제 기술이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 기술의 핵심 요인은 효과적 유인제 개발에 있다. 집합페로몬에 의존하였던 유인전략은 노지 재배지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지 고추재배지에서 총채벌레의 대량 유살을 위해 새로운 유인물질의 추가가 필요하였다. 또한 노지재배지에서 집합페로몬의 유인력 감소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었다. 새로운 유인 물질로서 methyl isonicotinate (MIN)이 제시되었고, 이 물질이 실내 유인행동분석을 통해 총채벌레에 대한 자체 유인력은 물론이고 집합페로 몬과 협력효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집합페로몬과 혼합물 형태로 노지 고추재배지에서 분석한 결과 총채벌레의 포획밀도를 증가시켰다. 특 히 이러한 증가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유인트랩에 집합페로몬의 함량 증가는 노지 고추재배지에 서 꽃노랑총채벌레는 물론이고 다른 총채벌레류의 포획밀도를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집합페로몬 유인력이 시설재배지와 노지재배지 사이에서 차이가 있으며, 노지 재배지의 경우 효과적 유인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집합페로몬 함량을 요구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집합페로몬에 MIN을 추가하여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고효율 유인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4,000원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친환경 노지 감귤원을 중심으로 알락하늘소 피해가 증가하고 있지만 효과적인 예찰 방법이 없는 실정이 다. 본 연구에서는 알락하늘소 성충 예찰을 위하여 카이로몬을 선발하였고, 알락하늘소가 다발생(>100마리)한 과원 3개소에서 유인력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집합페로몬 단독처리 시 알락하늘소 암컷 성충에 대한 유인효 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소수 개체만 유인이 되었고, 카이로몬(Kairomone) 단독 처리 시 알락하늘소 성충 포획 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합페로몬과 카이로몬을 동시 처리 시 알락하늘소가 대량으로 유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알락하늘소가 종내신호물질(집합페로몬)을 인지할 때 서식지로서 적합한지 판단 의 기준으로 기주식물의 존재여부를 동시에 확인하기 떄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방제 전략 가운데 하나로 대량유살 기술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 해충에 적용되는 상용유인제 의 효능을 시설 고추재배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총채벌레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점착트랩의 경우 청색과 황색 색상에 따른 유인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트랩의 위치는 큰 변수로서 기주에 가까이 위치할수록 포획 밀도가 높았다. 또한 상하 위치도 중요한 변수로서 기주 작물 수관 부위에서 가장 높은 포획 밀 도를 보였다. 이를 기준으로 황색 점착 트랩을 설치한 경우 전체 총채벌레 밀도의 약 1%를 유살하였다. 이러한 낮은 유살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용유인제를 황색트랩에 추가하였다. 집합페로몬 또는 식물 휘발성 유인제(4-methoxybenzaldehyde) 성분의 두 가지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는 황색트랩 단독 처리에 비해 크게 유인력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Y-튜브 실내 행동분석은 집합페로몬과 식물 휘발성 유인제(methyl isonicotinate)들이 각각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높은 유인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이들 유인물질은 기주 고추 꽃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인력을 나타냈다. 이는 꽃이 없는 시설 대파(Allium fistulosum) 재배지에서는 상용유인제 추가 처리가 황색트랩 단독 처리보다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하여 높은 유인력을 가지는 것을 미뤄 이 곤충의 꽃에 대한 높은 선호성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는 꽃노랑총채벌레에 사용되는 상용유인제들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추후 고추 꽃을 중심으로 새로운 유인물질의 탐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4,000원
        1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Dolycoris baccarum L.)는 구북구(Palearctic region)에 널리 분포하는 다식성 곤충으로서 국내에서는 콩, 단감, 유자 등 다양한 작물의 해충이다. 이 종은 다른 노린재과(Pentatomidae) 곤충과 마찬가지로 수컷이 집합페로몬 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수컷의 집합페로몬 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고상미량추출(SPME) 방법을 이용하여 수컷과 암컷 성충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을 포집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컷 특이적인 휘발물질로서 α-bisabolol, α-bergamotene, β-bisabolene을 동정하였고, 3가지 성분이 100:15:5 비율로 존재함을 밝혔다. 야외에서 알락수염노린재 수컷과 암컷 성충 모두가 주성분인 α-bisabolol을 처리한 트랩에 유인되었다. 나머지 2가지 성분(α-bergamotene과 β-bisabolene)의 경우, 그 자체로는 유인 효과가 없었으나 주성분인 α-bisabolol에 추가되면 보강효과가 발휘되었다. 곤충에서 α-bisabolol이 동정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며, 이번에 밝혀진 알락수염노린재 집합페 로몬은 이 해충의 발생예찰과 친환경 방제에 유용할 것이다.
        1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은 북미가 원산으로 일본, 중국,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의 소나무류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포르투칼과 스페인에도 발생하여 유럽 소나무류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매개충인 Monochamus속에 의해 새로운 기주로 옮겨지기 때문에 매개충을 방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국내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은 솔수염하늘 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보고되어 있으며 이들을 방제하기 위하여 주로 유기합성농약을 항공 살포하거나 연막기를 이용하여 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유기합성농약의 대면적 살포는 산림생태계에 큰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하기 위하여 소나무재선충 매개충의 집합-성페로몬 및 카이로몬 연구 그리고 이들 유인제의 현장적용 연구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소개를 하고자 한다.
        1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identified an aggregation-sex pheromone from Monochamus saltuarius, the major insectvector of the pine wood nematode in Korea. Adult male of M. saltuarius produces 2-undecyloxy-1-ethanol, which is knownto be an aggregation-sex pheromone in other Monochamus species. We performed field experiments to determine the attractivenessof the pheromone and other synergists. More M. saltuarius adult beetles were attracted to traps baited with the pheromonethan to unbaited traps. Ethanol and (-)-α-pinene interacted synergistically with the pheromone. Traps baited with pheromone+(-)-α-pinene+ethanol were more attractive to M. saltuarius adults than traps baited with pheromone, (-)-α-pinene, or ethanol alone.Ipsenol, ipsdienol, and limonene were also identified as synergists of the aggregation-sex pheromone for M. saltuarius adults.
        1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와 무잎벌(Athalia rosae ruficornis)는 제주지역 무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 구는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트랩 색(황색과 청색)과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6R,7S)-himachala-9,11-diene과 기주식물 휘발성 물질 인 allyl isothiocyanate의 혼합물을 이용 두 해충의 발생을 간편하게 예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룩잎벌레는 트랩 색에 관 계없이 집합페로몬이 부착된 점착트랩에 더 많은 성충이 유인되었으며, 무잎벌은 황색점착트랩이 청색트랩보다 더 많이 유인되었고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은 유인량에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을 부착한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면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 발생을 효 율적으로 예찰할 수 있었다. 점착트랩의 높이는 기주식물에 가까울수록 두 해충의 유인수가 많아 기주식물 상단 10 cm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좋 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연간 발생피크는 각각 3회와 5회정도 나타났으며, 두 해충의 첫 주발생시기는 벼룩잎벌레는 3월 중하순, 무잎벌은 4월 중하순이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연간 발생특성을 이용하면 두 해충의 무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정 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4.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onghorn pine sawyers, Monochamus saltuarius and M.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re vectors of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Parasitaphelenchidae), the causal pathogens of pine wilt disease in Korea. Recently, an aggregation pheromone, 2-(undecyloxy)ethanol, identified from M. galloprovincialis and M. alternatus, was shown to be effective for attracting several Monochamus species in Europe, North America, and East Asia. However, the effect of 2-(undecyloxy)ethanol on attracting M. saltuarius remains largely unravel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bilities of 2-(undecyloxy)ethanol along with host plant volatiles (α-pinene and ethanol) to attract M. saltuarius at a pine forest in Cheongsong, Gyeongsangbuk-do, Korea. Pine trees in the field experiment site were not previously affected by pine wilt disease. The combination of 2-(undecyloxy)ethanol with host plant volatiles was more effective than either of 2-(undecyloxy)ethanol or host plant volatiles for attracting M. saltuarius. Both sexes of M. saltuarius were attracted to traps containing 2-(undecyloxy)ethanol with the host plant volatile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aggregation pheromone in combination with host plant volatiles could be used for detection and population monitoring of M. saltuarius as well as for effective mass trapping in outbreak situations.
        15.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ptortus pedestris (F.) (Hemiptera: Alydidae) is an important pest of soybeans in Korea and Japan. A synthetic aggregation pheromone trap has been commercialized and used in soybean fields in Korea for both monitoring and mass-capture of this bug. As the trap’s efficacy in reducing the pest population or crop damage is unknow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 in experimental soybean fields located in Andong National University. Two treatments, one with traps deployed for the entire cultivation period and one with no traps, were tested in six small experimental fields. The total numbers of R. pedestris (in all life stages) in soybean fiel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s until August. But, in presence of pheromone, the pest’s abunda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September and October. Relative to the size of the bug population in the field, trap catch rate was low during the fall (when bug density was highest) and high in early summer when the field population was very low. Placement of aggregation traps in plots caused pod and seed damage from R. pedestris to increase 2.7 and 2.2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R. pedestris popul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all in the presence of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 which should therefore be used with great caution whether as a control measure or as a monitoring tool.
        1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ine wilt disease that blocks the path for water and nutrition in pine trees is caused by th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da: Aphelenchoididae). The nematode relies on the longhorn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and Monochamus saltuaris (Coleoptera: Cerambycidae) as vectors. Recently, 2-(undecyloxy)ethanol was identified as a male-produced aggregation pheromone of Monochamus spec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2-(undecyloxy) ethanol along with host plant volatiles -pinene and ethanol on attracting M. alternatus at a pine forest in Pohang, Korea from May, 2014 to July, 2014. To sustain the volatility of 2-(undecyloxy)ethanol and host plant volatiles, a superabsorbent polymer based on polyacrylic acids and water were added to the pheromone mixture. A total of 46 M. alternatus were collected from two field bioassays. Our results indicate that 2-(undecyloxy)ethanol is effective in attracting M. alternatus in Korea. Our study suggests that the aggregation pheromone could be used for detection and population monitoring of the beetles as well as for the effective mass trapping in outbreak situations.
        17.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ptortus pedestris is an important soybean pest in Korea and Japan. Aggregation pheromone traps were evaluated in 12 soybean fields in Andong using three treatments of trap installation, i.e., installation for whole cultivation period, installation up to September, and no installation. The number of R. pedestris (in all life stag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until October, but its abundance significantly increased at mid October in the fields where traps were installed. Trap catch of R. pedestris was relatively higher in August while bug population was low in the fields. However, in fall, R. pedestris populations become abundant in the fields while trap catch was l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asitism as well as seed and pod damage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aggregation pheromone trap should’nt be used as control measure, but can be used as a monitoring tool of R. pedestris population up to August in soybean field.
        18.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examined for activity of aggregation pheromone trap with residual effect of insecticides against Riptortus pedestris. Time of escape was from aggregation pheromone trap researched 49.74 min (ET99) and 65.01 min (ET99) with 1st and 2nd instar nymph respectively. Six insecticides for the stink bugs were treated to 3 different materials (wood, metal, and plastic). Bifenthrin and fenitrothion were showed 100% insecticidal activity at 48 h to all developmental stage of R. pedestris. Residual effect of bifenthrin and fenitrothion on plastic material were showed 100% insecticidal activity over 15 day after treatment with 1st, 3rd instar nymphs, and adults except 5th instars nymph. In field test using plastic material trap with two pesticides, 1st instar nymphs and adults were showed 100% mortality until 10 day after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 pedestris might be managed using aggregation pheromone trap with insecticides.
        1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ptortus pedestris (Hemiptera: Alydidae) is known to occur in barley field during spring. But, it is unlikely that R. pedestris can find host resource to reproduce in the spring season. To test this hypothesis, we assessed the reproduction of R. pedestris population collected from field from March to September. Riptortus pedestris were collected at intervals of three days from 15th of each month. Females of R. pedestris collected from trap were provided with just water in a breeding dish, and eggs laid were collected daily. Quality of R. pedestris eggs at each month was also evaluated by providing them as host resource to two egg parasitoids. The collected eg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ested for hatchability and parasitism by two egg parasitoids, respectively. As a result, R. pedestris population collected in March and April did not reproduce, and fecundity and proportion of reproduced females were the highest in August. But, neither hatchability nor parasitism rate of R. pedestris egg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ing months. In conclusion, R. pedestris starts to reproduce from May, and fecundity reaches highest on August. No change in egg quality was found among the study periods.
        2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ptortus pedestris (F.) inflict losses on a wide range of crop plants. Biological control is an alternative approach to reduce the bean bug population. Scelionid Gryon japonicum (Ashmead) and Encyrtid Ooencyrtus nezarae Ishii are the major egg parasitoids of R. pedestris. The aggregation pheromone of R. pedestris serves as a kairomone to its egg parasitoids. A new tool was developed using aggregation pheromone in a trap which attracts both con-specific bugs and the parasitoids. Non viable host eggs were added with the trap so as to provide resource for the attracted parastioids to multiply. Several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this new tool for trapping of the bugs and enhancing parasitism simultaneously. Aggregation pheromone trap added with host eggs was found to increase temporal parasitism in field by 44% compared to the parasitism without host eggs. Higher parasitism (up to 91%) was found in the sites where aggregation pheromone trap added with host eggs was installed compared to control sites. In order to improve this tool, a new device with twelve sections to hold eggs and to be attached to the pheromone trap was designed to provide maximum exposure of the eggs to the parasitoids and to minimize the competition among the parasitoids. Parasitism and number of female R. pedestris trapped in new device attached trap were high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ith better performance in trapping R. pedestris and enhancing parasitism, the tool would serve as an IPM technique that targets killing the pest and enhancing activity of the pest’s natural enemy simultaneously.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