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2

        12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barley(Hordeum vulgare L.) cultivar ‘Dachung’ having high forage yielding and good silage quality was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5.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of the ‘Sunwoo’ and ‘Keunalbori1ho’ in 2002. And it’s promising line showed both high yield and lodging resistance through the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PYT, AYT) at Iksan from 2010 to 2012. It was designated as the ‘Iksan479’. ‘Iksan479’ was conducted to regional yield trials(RYT) in six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3 to 2015. And it was released as the name of ‘Dachung’. It has erect plant type, growth habit of IV and green leaf. In the paddy field its heading date was April 24 and maturing date was May 26, same day with ‘Youngyang’. Plant height of ‘Dachung’ was 99cm. Dachung’s spikes per m2 was 625. It has high rate of leaf blades, resistance to BaYMV(Barley Yellow Mosiac Virus) and better winter hardiness than that of ‘Youngyang’. The average dry matter of ‘Dachung’ was about 11.9 ton ha-1 in paddy field. And average feed quality of ‘Dachung’ was 9.0% of crude protein content, 31.3% of ADF (Acid Detergent Fiber), 54.4%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64.0%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Dachung’ had grade I of silage quality. This cultivar would be suitable for the area above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8℃ in January in Korean peninsula.
        4,000원
        12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공장에서는 작물에 필요한 재배환경을 인위적을 조절하여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연중 계획생산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 재배에 적합한 콜라비 품종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수행하였고, 식물재료는 적색의 콜라비 품종인 ‘아삭콜’, ‘콜리브리’와 ‘퍼플킹’ 품종을 사용하였다. 인공광원은 LED광이었으며, 광도와 일장은 각각 249μmol·m·2·s-1, 12/12시간(밤/낮)이었다. 순환식 담액수 경방식으로, 정식 후 57일까지 재배하였다. 정식 후 43 일째에 전체 생체중과 괴경의 생체중 및 엽면적은 품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물중과 괴경은 ‘아삭콜’ 품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엽수는 ‘퍼플킹’ 품종이 가장 많았다. 당도와 수량는 ‘아삭콜’ 품종이 가 장 높았다. 생육과 상품수량을 고려해 볼때,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 적합한 콜라비 품종은 ‘아삭콜’ 이었다.
        3,000원
        12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는 품종보호대상작물로 신품종에 대한 지적 재산권이 인 정돼 외국품종에 대하여 로열티 지불이 많고 소비자 기호가 빠 르게 바뀌어 품종갱신 연한이 4~5년으로 묘종구입 비용이 꾸준 히 증가하여 외국품종에 대응할 화색, 화형, 수량, 절화수명, 절화장 등을 고려한 국내육성 우수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 서 2011년도에 화형이 크고 우수한 흰색의 스탠다드 ‘White Sapir’ 품종인 모본과 꽃이 크고 절화장이 우수한 핑크색 스탠다 드 ‘Peach Coat’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12년에 11개 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13~2015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271’을 ‘Sugar Ball’로 명명하였다. ‘Sugar Ball’의 화색은 세먼핑크로 RHS 칼라 차트번호 49B이며 화형은 고심형으로 꽃잎수는 28.3개로써 ‘Nobless’의 50.7개보다 적었으며, 화폭은 8.4cm로 ‘Nobless’보 다 약간 작았다. 평방미터당 연간 절화수량은 122본으로 ‘Nobless’보다 14본정도 많았으며, 절화장은 84.6cm 절화경경은 6.3mm로 ‘Nobless’와 비교해 우수하였다. 또한 절화수명은 15.0 일로 ‘Nobless’보다 우수하였으며, 기호도 평가에서도 ‘Nobless’ 보다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27.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yster mushroom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edible mushrooms in Korea. The ‘Santari’ cultivar bred in this study, which belongs to the species Pleurotus pulmonarius, is a new oyster mushroom cultivar for bottle culture. It was bred by mating monokaryons isolated from ‘GMPO20404’ and ‘Hosan’.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antari’ mycelial growth was 26–29℃ on PDA medium, and the temperatures for primordium formation and for growth of the fruit body on sawdust medium were 22℃ and 20℃, respectively. It took 34 days to complete the spawn run, 3 days to form primordia, and 3 days to finish fruit body growth in the bottle culture. The fruit body pilei were round in shape and brownish, whereas the stipes were long, thick, and white. The yield per bottle of ‘Santari’ was 172 g/1,100 mL, which was 43%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cultivar (‘Hosan’). The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the stipe tissue were 87%, 82%, 193 g, and 16 kg, respectively. These physical property values of ‘Santari’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cultivar, except for the cohesiveness.
        4,000원
        128.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ultivar (Malus domestica cv. Fuji) of apple was selected to make apple peel (AP) powder by three different powdering methods. Frozen AP was thawed and subsequently was dried or ground without drying. After AP was dried by hot-air drying at 60°C or freeze-drying, the dried AP was ground using a conventional blender. Separately, the thawed AP was powered by using a cryogenic micro grinding technology (CMGT). The ground AP and three types of AP powder were extracted using deionized water, 20, 40, 60, 80, or 100% methanol, followed by vacuum evaporation. The total phenolics contents (TPC), total flavonoids contents (TFC),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of each extract were compared to determine an efficient powdering method. Lyophilized AP powder extract using 60% methanol showed the highest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In contrast, 60% methanol extract of the powder by CMGT, resulting in the smallest particle, exhibited the highest TFC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traction yield of bioactive compounds from AP may be varied according to different powdering methods and that a new powdering process such as CMGT may be applicable to develop functional foods efficiently.
        4,000원
        12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new commercial cultivar ‘GARES-HM-17-1’ of Hypsizigus marmoreus was developed by the method of mono-mono crossing between monokaryotic strains derived from Hae-Sal 3Ho. The parental strains are characterized by the property of high quality and a short period of time in cultivation. The optimum temperature of mycelial growth was 25°C and that of fruiting body development was 15~16°C. The period of harvesting including primordia formation was 23.0 days shorter than that of control strain Mangadak No. 2. The color of pileus and stipe surface was neutral-white, respectively. The yield was 82.0±5.8g/850cc plastic bottle. Analysis of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mmercial cultivar ‘GARES-HM-17-1’ showed a different profile as that of the control strain, Mangadak No.2, when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 was used. This new cultivar ‘GARES-HM-17-1’ of H. marmoreus is characterized by the improved quality and a short period of time in cultivation after scratching. It would be of much help to expand the cultivation area of H. marmoreus.
        130.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프리지아 ‘Blue Bell’은 2006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 학원에서 2005년 흰색 반겹꽃 ‘Gabrielle’품종과 분홍색 반겹 꽃 ‘Kristie’품종을 교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6년 연보라 색 다화성 겹꽃 프리지아 계통을 선발하여 품종으로 개발되었 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개화 생육특성검정 및 육성계통 평가회의 기호도 평가를 통해 선발되어 2014년 ‘Blue Bell’ 로 명명되었다. ‘Blue Bell’은 연보라색(RHS, V85C) 겹꽃 프리지 아 품종으로 화폭은 6.3cm로 대조품종 ‘Striped Jewel’ 5.9cm 에 비해 크고, 분지수는 6.3개로 다수확성 품종이다. 초장이 101.3cm로 초세가 강하며 대조품종 ‘Striped Jewel’ 91.7cm에 비해 크다. ‘Blue Bell’의 소화수 및 소화장은 각각 13.0개, 9.3cm이며 개화소요일수는 137.7일로 대비품종 보다 약 13.6 일 정도 빠르다. 이 품종의 절화수명은 약 9.7일이며 자구번 식력은 6.9배로 대조품종에 비해 우수하다.
        4,000원
        13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15년도에 수출에 적합한 흰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Snow Dream’ 품종을 개발하였다. 2010년도에 선명한 흰색 홑꽃형 ‘Salinas’품종을 모본(♀)으로, 착화수가 많고 조기개화 특성이 있는 흰색 ‘Sei-Lolydis(W)’ 품 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하였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억제재배, 촉성재배, 자연개화 작형에서 특성검정을 거쳤다. 2015년에 재배농가, 소비자, 육묘업체의 기호도 조사를 통해 개화특성과 기호도가 우수한 GCS10-89-1계통을 최종 선발하 여 ‘Snow Dream’로 명명하였고 2016년에 국립종자원에 품종 보호출원 하여 2017년에 등록번호 6508번으로 품종보호권이 등록되었다. ‘Snow Dream’은 흰색 홑꽃형 스프레이 품종으로 여름철 재배시 개화소요일수가 짧아지고 화색이 선명하게 발 현되어 수출에 적합한 품종이다.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는 자연개화 작형 51일, 억제재배 작형 52일, 촉성재배 작형에서 49일로 여름철 재배시 개화가 빨라지는 특성을 보였다. 자연 개화 작형, 억제재배 작형, 촉성재배 작형에서 초장은 각각 90.0cm, 85.3cm, 91.5cm로 여름철 재배시 신장성이 우수하였 고, 꽃의 크기는 각각 5.1cm, 5.0cm, 4.9cm, 착화수는 각각 21.1개, 22.7개, 22.5개로 연중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흰녹병 에 완전한 저항성을 가지지는 못하여 저온기 재배시 환기와 습도조절에 주의하여 재배를 해야 하며, 절화수명은 자연개화 작형에서 22.0일, 여름철 촉성재배 작형에서 16.0일로 대조품 종 ‘Dream Water’에 비해 조금 길었고, 선호도 조사결과 4.3 의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4,000원
        13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색칼라 ‘White Heart’는 2013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 성하였다. 절화수량이 많은 Zantedeschia aethiopica ‘Childsiana’ 와 무름병에 강하지만 수량이 적은 Zantedeschia aethiopica ‘Wedding March’를 2004년 교배하였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구근증식과 양성을 거쳐 2008년부터 2012년 4년간 1, 2차 생육과 개화특성을 평가하여 화형이 우수하고 무름병에 저항성이 있는 ‘Z. cw-116’를 선발하였다. 2013년에 ‘원교 C4-8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3차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형이 우수하고 무름병에 강한 계통으로 평가되었다. 2013년에 직무육 성품종심의회를 통과하여 ‘White Heart’로 명명 받았다. ‘White Heart’의 생육 및 개화특성은 부본으로 사용된 ‘Wedding March’을 대비품종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White Heart’는 초장 73cm, 엽장 27cm로 부본과 비슷하나, 꽃이 더 크고 둥글며 예쁜 백색(RHS color chart, W155C) 중형의 절화용 품종이다. 주당 화수는 1.4개 로 대조품종보다 약간 많으며 꽃대길이가 61cm로 대조품종 (74cm)보다 짧은 편이다. 절화수명은 13일(대조 12일)로 약간 길며 무름병에는 강한 저항성을 갖고 있다.
        4,000원
        13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0년 거베라 신품종 ‘Sun Shine’을 육성하였다. ‘Sun Shine’은 2007년 10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황색 반겹꽃 ‘Gold Finger’와 ‘Angel’을 교배하여 획득한 58개체의 실생계통으로부터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동안의 개화 및 생육특성검정을 거쳐 선발된 절화용 대륜 거베라 품종이다. ‘Sun Shine’은 초세강건한 녹색화심의 밝은황색(RHS Y7A) 반겹꽃 대 륜계 품종이다. 꽃은 평균 직경이 10.3±1.1cm이고, 내부설상화 의 길이와 화반의 직경은 각각 4.3±0.5cm와 1.9±0.5cm, 설상화 의 길이와 폭은 각각 4.8±0.7mm와 1.0±0.3mm 꽃잎이 비교적 좁고 긴 도란형이다. 꽃대는 꽃목직경이 상부 3.8±0.6mm, 하부 5.9±1.5mm 정도로 굵으며, 꽃대의 길이는 50.5±3.4cm로 길다. 절화수명은 10.8±0.4일로 대조품종 ‘Serve Line’보다 약 1.5일이 길며, 연간 채화량은 56.9±1.9본/주로 대조품종보다 5.1본/주 많은 다수성 품종이다.
        4,000원
        13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인세티아 ‘Red Elf’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4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진한 적색의 ‘Max Red’와 분홍색의 주름이 많은 상향성의 포엽을 가진 ‘Pink Elf’를 2010년에 교배하여 획 득한 실생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생육특성, 개화특성, 균일성에 대하여 1, 2차 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2014년에 3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여 최종 선발하였으며, 직무육성품종심의회에 상정하여 ‘Red Elf’로 명 명하였다. ‘Red Elf’품종은 적색의 상향성인 포엽과 열편이 거 의 없는 착색엽이 우수한 화형을 형성한다. 초장이 작고 엽병 이 짧은 잎몸을 가진 줄기의 발생이 많아서 균형 잡힌 수형을 이룬다. 단일 처리 후 약 8주가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 하가 가능하다. 이 품종은 2016년 3월 17일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등록번호 5953호)되었다.
        3,000원
        13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yster mushroom is a type of mushroom that is commonly cultivated and consumed in Korea. P. ostreatus ‘Suhan’ is a preferred cultivar for many mushroom farmers because it has a dark pileus and thick stipe. However, as it is very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farmers consistently demand an alternative cultivar. To develop a new cultivar, the parental strains KMCC01680 (‘Suhan’) and KMCC00478 (‘Gosol’) were selected from various collected P. ostreatus strains by cultivating genetic resources. P. ostreatus ‘Heuksol’ was developed by the method of Mon-Mon crossing between monokaryotic strains derived from ‘Suhan’ and ‘Gosol’. Thirty strains of 174 crossed strains were initially selected by cultivation experiments. After bulk cultivation tests, ‘Heuksol’ was selected. The nuclear DNA profile of ‘Heuksol’ was similar to those of the parental strains, ‘Suhan’ and ‘Gosol’, when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s and UPF (Universal PCR Fingerprinting) 2, 3, and 4 were us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30oC for ‘Heuksol’, but medium-high temperatures were also appropriate, especially 13–20oC. The fruiting body production per bottle (1,100 mL) was approximately 140.8 g.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strain ‘Suhan’, the thickness of the stipe of ‘Heuksol’ was greater than that of ‘Suhan’ (13.5 mm vs 9.4 mm). The pileus diameter of ‘Heuksol’ was similar to that of ‘Suhan’ and the pileus thickness of ‘Heuksol’ and ‘Suhan’ was 19.7 mm and 21.8 mm, respectively. ‘Heuksol’ had more a productive stipe number than ‘Suhan’ and the pileus of ‘Heuksol’ was dark gray, even at high temperature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is new cultivar, ‘Heuksol’,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to ‘Suhan’ and contribute to the profit of oyster mushroom farms.
        4,000원
        13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NA-based marker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like molecular biology and crop breeding program. DNA marker is able to be used for protection of genetic resource and quantification of specific cultivar. Eleven DNA markers have been developed for Korean wheat cultivar identification in 2013-2014. 27 of 32 wheat cultivars were distinguished by 11 DNA markers. In this study, we developed four DNA markers, KWSM0012, KWSM0013, KWSM0014 and KWSM0015, derived from SSR and SNP analysis. Consequently, 32 Korean wheat cultivars were identified by 15 DNA markers. We are convinced that these new DNA markers are very useful for wheat varieties DNA fingerprinting and are able to be applied to marker-assisted selection in wheat breeding program in Korea.
        4,000원
        13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te UFO’는 모본을 ‘Himalaya’로, 부본을 ‘Wonder King’ 으로 2004년에 교배하여 2007년까지 포장에 심어 관찰하면서 우수 개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개체는 생장점 배양으로 증 식하여 포장에 심어 3년 동안 생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품 질과 수량성 등이 경쟁력이 있다고 인정되어 2007년에 ‘White UFO’로 명명하고 국립종자원에 출원하여 2009년에 등록하였 다. 특성은 내부와 외부설상화는 백색(RHS 155B)이고, 직경은 13cm로 대형종이다. 화심은 검은색이며 화경은 녹색이며 화 경장은 60㎝로 대조 품종인 ‘White Candy’ 보다 5㎝ 더 길어 상품성이 있다. 절화수명은 12.5일로 대조품종과 비슷하다.
        3,000원
        13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나리의 유용 형질을 신나팔나리에 도입하기 위하여 L. formolongi` ‘Raizan Herald’와 L. brownii ‘KDD’를 종간교잡 시켰다. 화주절단수분법과 이어진 자방절편배양에 의해 23개 의 종간교잡체를 획득하였다. 이들 모든 개체들은 개화당일 노란색을 나타내어 당나리의 특성을 나타냈다. 화형, 초자, 개 화기, 향기 등의 절화특성을 조사한 뒤 ‘RHBr 7’ 계통을 임의 선발하였다. 이어서 2년간 UPOV의 품종특성조사 기준에 의 거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선발된 ‘RHBr 7’계통은 개화당일 노란색(light yellow, RHS 14D)에서 흰색(white, RHS 155D) 으로 화색변이를 나타냈다. 이 특성은 절화를 화병에 꽂았을 때도 동일하였다. 이 계통은 중간 정도의 초장(1m 내외), 대 륜성, 굵은 줄기, 짙은 회녹색의 잎과 달콤한 향기를 갖는다. 측향의 홑꽃은 짙은 갈색의 꽃가루를 갖는다. 선발된 ‘RHBr 7’ 계통은 2013년에 ‘절세가인’으로 명명되어 2015년에 국립종자 원에 품종보호 등록되었다(제5445호).
        4,000원
        13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oyster mushroom is one of the commonly cultivated mushrooms. In 2013, the cultivation areas and products of oyster mushrooms were 60,039 M/T and 201 ha, respectively. Many species of oyster mushrooms are cultivated in various countries. These include Pleurotus ostreatus, P. florida, P. sajor-caju, P. eryngii, P. citrinopileatus, P. salmoneostramineus and P. cystidiosus. P. citrinopileatus is a yellow oyster mushroom famous for its health benefits such as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Therefore, a cultivar P. citrinopileatus ‘Jangdari’ was developed to improve yield and the ability to grow well at lower temperatures. Two parent strains ‘Gumbit (KMCC02150)’ and ‘KMCC02145’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Jangdari’ was developed by the method of Mon-Mon crossing between monokaryons derived from ‘Gumbit’ and ‘KMCC02145’, and finally selected through continuous cultivation test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30oC. The cultivar could grow well at high temperatures, especially 16~24oC. Fruiting body production per bottle (850 mL) was about 90.0 g. Stipe length and thickness of ‘Jangdari’ were similar to those of ‘Gumbit’. ‘Jangdari’ was more resistant to low temperature than ‘Gumbit’, and thus it could be cultivated with oyster mushrooms (P. ostreatus). In addition, while cultivating ‘Jangdari’, it is not required to scrape out the upper side of bottle’s sawdust medium; hence, its cultivation is expected to save energy and time.
        4,000원
        140.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은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과실 중 하나이다. 한의학 에서는 떫은감의 꼭지(꽃받침)를 시체(柿蒂)라고 하여 사용하였으며, 민간요법에서는 기침과 천식, 만성 기관지염, 딸꾹질, 야뇨증에 사용되어졌다. 본 실험에서는 가공하여 유통 될 때 버려지는 부산물 중 하 나인 감꼭지와 잎의 tannic acid 함량을 HPLC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시기별 성숙 정도에 따라서 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 밀양 수시, 밀양 고종시로 5품종을 수집하였으며, 시기는 미성숙(8-9월), 성숙(10-11월), 곶감(12월-1월)로 구분하였다. 밀양 반시의 경우 이전의 연구에 서 산청 고종시, 산청 단성시, 밀양 반시의 tannic acid 함량을 비교해본 결과, 밀양 반시의 함량이 다 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를 통해 밀양 지역의 품종을 확대하고, 밀양 반시의 잎 시 료를 준비하여, tannic acid 함량을 분석하였다. 성숙 시기별 tannic acid 함량은 미성숙에서 곶감 꼭 지로 갈수록 타닌산 함량이 줄어드는 경향성을 보이며, 미성숙의 생감꼭지에서는 밀양 고종시의 함량이 3.764mg/g로 높게 나타났다. 곶감으로 가공 건조되어 질수록 tannic acid의 함량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숙 고종시 생감꼭지의 경우 함양 지역과 밀양 지역 내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tann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밀양 반시 지역에서 함양 고종시에 비해 약 1.4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공식품으로 이용되는 떫은감의 미성숙 과실 또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활용소재로 사용될 가능 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떪은 감의 꼭지는 부산물로써 버려지는 자원이아니라 한의학적으로 중요한 한 약자원으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