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2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duce, including leafy vegetables, has been implicated in several outbreaks of food illness. To evaluate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it’s cultivation area, a total of 14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lettuce farms and post harvest facility at Icheon,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samples were assessed for presence of sanitary indicator microorganisms (Aerobic plate count, coliform count, Escherichia coli) and foodborne pathogens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The population of APC was over 4.0 log CFU from most of the samples. While the numbers of APC, and coliform of lettuce at 62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4.18 log CFU/g, and 1.00 log CFU/g, respectively, those of 10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5.37 log CFU/g, and 2.87 log CFU/g, respectively. B. cereus was highly detected from soil and balance which were contaminated with 3.5 log CFU/g, and 2.6 log CFU/100 cm2, respectively. The number of E. coli recovered from gloves was 3.5 log CFU/hand. However,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These data suggested that risk management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lettuce farms to enhance safety of lettuce.
        4,000원
        2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안지역 논에서의 이모작 재배를 위한 벼 안전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조생종으로 운광벼, 중만생종으로 칠보벼와 호품 벼 등 3개 품종을 공시하여 충남 천안시농업기술센터 예찰포장에서 4회에 걸쳐 이앙시기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생종은 6월 30일 이앙구까지 천안지역 안전출수한계기인8월 25일 이전에 출수되었으나, 중만생종은 6월 20일 이앙구까지 8월 25일 이전에 출수되었다. 간장은 이앙시기별 동일품종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이삭수는 이앙시기가 늦을수록감소하였으며, 조생종보다는 중만생종에서 감소폭이 컸다. 출수 후 40일간 등숙에 적당한 적산온도와 평균온도는 평년에 비해 높았으며, 일평균 일조시간은 평년에 비해 2.5~3.3시간이 부족하여 등숙에 영향을 끼쳤으나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기온이 상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생종은 6월 5일 이앙구에서, 중만생종은 5월 25일 이앙구에서 등숙비율이 높았고, 현미천립중이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미 비율은 조생종은 6월 5일 이앙구에서, 중만생종은 5월 25일 이앙구에서 가장 높은 반면에 미숙립은 중만생종은이앙시기가 늦을수록 거의 2배가량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은 이앙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성을 볼 때 중부평야지인 천안에서는 조생종은 6월 5일,중만생종은 5월 25일 이앙했을 때 최대 수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6월 30일에 이앙한 3개의 공시품종 모두 평균수량보다적었으며 특히 중만생종에서 수량성 차이가 많이 났다. 따라서 천안지역에서 보리나 밀 후작으로 벼 기계이앙재배시는 6월 20일 이전에 재배하는 것이 좋으며, 6월 20일 이후에 이앙할 경우 영양생장기간의 부족, 저온 등에 의한 등숙불량으로 이모작에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건상이앙시기가 지연될 경우는 중만생종보다는 조생종을 재배하는것이 수량성에서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염류집적 국화 재배지 토양적응성 인산분 해미생물 탐색하고 선발된 미생물 시용을 통한 염류집 적 국화 재배지 토양에서의 토양 화학성의 변화를 조 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염류 집적 국화 재배지 토양 환경 개선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 된 인산분해미생물은 염류집적토양에서 분리된 Pseudomonas putida(KSJ11), Acinetobacter calcoaceticus (KSJ3) 및 Acinetobacter calcoaceticus (WP20) 3종류 이었으며 미생물의 제형은 버미큘라이트에 혼합되어 있 는 상용화된 제품을 이용하였다. 시험장소는 광주광역 시 광산구 소재 신우화훼농장의 15년간 작물이 재배되 어 염류집적현상이 나타나는 국화재배지에서 처리구 82 m2에 각각의 미생물 제재 250 L씩 시용하였다. 염 류집적이 이루어진 국화재배온실에 처리된 인산분해미 생물 Acinetobacter calcoaceticus(KSJ3; WP20)는 유 효인산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Acinetobacter calcoaceticus(WP20)는 염류의 분 해능력이 높았다.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에 따라 토양내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의 증가가 A. calcoaceticus(KSJ3; WP20)처리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 으며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판단되는 토양내 전기전 도도도 증가되었다. 또한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은 선충 밀도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토양환경개선을 위한 재 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염류집 적이 이루어진 국화재배 온실에서의 인산분해미생물 시 용은 처리된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지 만 토양의 유효인산량 증가와 양이온의 유용화에는 분 명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염류집적 토양에서의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은 토양양분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 능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시비량 절감 등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4,000원
        25.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the genetically modified virus-resistant pepper (line: H15) and the Non-GM pepper (line: P2377) on the insect community in the pepper cultivation area were evaluated. Sampling was conducted using yellow sticky traps and pheromone funnel traps in Anseong and Deokso fields. Total number of insects caught on sticky trap were 3924 individuals at GM pepper and 3670 individuals at Non-GM pepper in Anseong and 2362 individuals at GM and 2528 individuals at Non-GM in Deokso,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the insect individuals caught by sticky trap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M and Non-GM pepper at Anseong and Deokso fields, respectively. The number of aphids per sticky trap ranged from 11.60±2.02 to 1.92±0.96 at Non-GM and from 11.56±2.15 to 0.33±0.23 at GM in Anseong, and from 2.78±1.22 to 0.11±0.08 and from 2.73±0.84 to 0.11±0.08 at Non-GM and GM pepper in Deokso,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asonal occurrences of aphids caught on sticky traps in GM and Non-GM pepper at both field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hids population density between Non-GM and GM were not observed.
        26.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the genetically modified virus-resistant pepper (line: 15, 20) and the non-GM pepper (line: 2377, 915) on the insect community in the pepper cultivation area were evaluated. Sampling was conducted using yellow sticky traps and pheromone funnel traps in Anseong and Deokso fields. Total number of insects caught on sticky trap were 3273 individuals at GM pepper and 2949 individuals at non-GM pepper in Anseong and 4357 individuals at GM and 3712 individuals at non-GM in Deokso. Total number of aphids collected on leaves were 451 and 330 individuals at GM and non-GM pepper in Anseong, respectively and 79 individuals at GM and 41 individuals at non-GM pepper in Deokso. The total number of the insect individuals caught on sticky trap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M and non-GM pepper at Anseong and Deokso fields,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asonal occurrences of aphids caught on sticky traps in GM and non-GM pepper at both fields. This work was supported financially by Biogreen21 projec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o. 20070301-034-010).
        2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the transgenic Chinese cabbage (SKCP19 line) with myrosinase gene and Chinese cabbage (SC19 line) without gene introduction on the insect community were evaluated. Sampling was conducted using yellow sticky traps and wing pheromone traps in Anseong and Deokso fields,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aught by sticky trap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nsgenic Chinese cabbage and non transgenic Chinese cabbage at Anseong and Deokso fields, respectively (t=0.72; df=46; P>0.05, t=0.38; df=38; P>0.05).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sity of Plutella xylostella population caught by pheromone traps on transgenic and non transgenic cabbage at both fields (t=0.59; df=22; P>0.05, t=0.52; df=18; P>0.05). This study was funded by BioGreen21 project of Rural Department Administration (No. 20080401-034-039).
        29.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idual the levels of heavy metals in rice grain and soils of “Top-Rice” and common rice cultivation areas from 2005 to 2007. Soil and rice grain samples were taken from 33 “Top-rice” areas and neighboring paddies, and analyzed for the elements using ICP-OES and ICP-TOF-MS after acid digestion. A concentration of arsenic in paddy soil was 1.33 mg/kg which was below 1/5-1/11 fold of the threshold levels (concern: 4 mg/kg, action: 10 mg/kg), and paddy soil was 0.06 mg/kg of Cd (cadmium) being below 1/25-1/67 fold of the limits (concern: 1.5 mg/kg, action: 4 mg/kg). A level of Cu (copper) in paddy soil was 4.57 mg/kg which was below 1/11-1/27 fold of the threshold levels (concern: 50 mg/kg, action: 125 mg/kg), and Pb (lead) concentration in paddy soil was found to be a 4.68 mg/kg. In addition, Hg (mercury) concentration in paddy soil was to be a 0.03 mg/ kg, which was below 1/131-1/328 fold of the threshold levels (concern: 4 mg/kg, action: 10 mg/kg).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s, Cd, Cu, Pb and Hg in the polished rice samples were 0.037, 0.043, 0.280, 0.048 and 0.002 mg/kg, respectively. These levels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in rice grains. Assuming the rice consumption of 205.7 g/day by total dietary supplements in Korea, the amount of total weekly metal intake of As, Cd, Cu, Pb and Hg by polished rice were estimated to be 0.0892, 1.035, 6.712, 1.161 and 0.054 μg/kg body weigh/week, respectively. The PTWI(%) of As, Cd, Cu, Pb and Hg were 5.95 (inorganic arsenic), 0.26 (total arsenic), 14.79, 0.19, 4.65 and 1.07% estimated to be 0.0892, 1.035, 6.712, 1.161 and 0.054 μg/kg body weigh/week,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was appeared that the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the brown and polished rice should not be worried in Korea.
        4,000원
        31.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위군 오이재배지역을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토양특성을 조사하고, 군위군 노지 및 시설오이 재배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연작과 관행적인 토양관리로 인하여 저하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오이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군위군 군위읍 외랑리 오이재배단지로서 주요 토양통은 토양도에 나타난 단북통과 신정통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점토함량은 시설재배지내 토양의 경우 양토이었으며, 시설재배지의 외부 토양의 경우 23.8%로 높게 나타났다. 오이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결과에 대한 오이재배지 토양의 적정범위와 비교하여 보면 일반적인 화학적 성질에서 서는 유효 인산의 함량이 적정범위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시설재배지의 외부토양은 적정범위에 속하나 시설재배지 내부토양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상부 토양은 매우 높으나 10cm 이하는 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오이 재배지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구리의 함량이 시설재배지가 노지재배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재배지의 경우는 다른 곳과 달리 표토 위에 부숙이 어려운 유기물의 과량투입에 따라 표토 위의 유기물 30% 이상의 유기물 층이 존재하여 모든 양분 성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분석에 따른 토양관리법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새송이버섯 재배농가의 안정적 영농을 위해 재배사 설계, 시공 및 환경조절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서부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새송이버섯 재배사의 재배사 규모, 환경조절시스템 등의 실태조사 및 검토를 하였다. 재배사의 형태는 반영구재배사와 영구재배사로 대별 할수 있었고, 반영구재배사는 대부분 단동이었고, 영구재배사의 경우는 단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동이 많았다. 그리고 재배사의 규모는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하였지만, 길이, 폭 및 동고는 각각 20m, 6.6~7.0m 및 4.6~5.0m정도의 농가가 가장 많았으며, 동당 바닥면적은 132~140m2(40-42평)정도의 범위로서 대부분 콘크리트로 처리하여 각종 균에 의한 버섯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반영구 및 영구재배사의 지붕경사각은 각각 41.5˚ 및 18.6~28.6˚로 나타나 반영구재배사의 지붕경사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배상의 폭 및 단수는 재배사의 형태에 관계없이 각각 1.2~1.6m정도와 4단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버섯을 연중재배 하는 재배사에는 모두 냉·난방시설, 가습장치 및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었다. 난방방식의 경우, 온수보일러, 전기히터, 증기보일러 순으로 나타났다. 냉방장치의 경우는 모두 산업용 에어컨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습은 초음파가습기와 원심분리가습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보조 장치로 분무노즐을 사용하는 농가도 일부 있었다. 또한 온·습도 조절 및 탄산가스 조절을 위한 장치의 제어는 동별 제어시스템을 많이 채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온도센서 이외는 모두 타이머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지병의 크기는 850 cc 및 1,100 cc를 사용하는 농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이 밖에도 800cc와 950 cc, 1,200 cc병을 사용하는 농가도 있었다. 출하형태는 대부분 유통회사와 공판장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었다.
        4,000원
        37.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야지보다 일조량과 적산온도가 다소 적은 고냉지에 적합한 사료작물 윤작체계를 구명하여 토지의 이용성 및 단위생산성을 제고하여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대시키고자 호맥+숙기가 다소 틀린 옥수수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9개 품종의 작부체계를 공시하여 2모작 작부체계를 확립고자 해발 800m의 대관령지역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높고 추운 대관령 지역에서도 양호하게 호맥을 재배할 수 있다. 2. 호맥후작으로 도입되는 옥수수는 구태어 조생종이
        4,000원
        38.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곰취 신품종 ‘쌈마니’ 의 고랭지와 평난지 수확기 및 가공 상태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4월 18일부터 7월 15일까지 수확하여 생것과 데친 것을 냉동 건조한 후 메탄올에 추출하여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을 분석하였다. 재배지역 및 수확기별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평난지에서는 4월 18일 조기 수확보다는 5월 수확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고랭지에서는 5월보다는 6월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지역, 수확기 및 가공상태별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평난지에서는 4월 조기 수확보다는 5월부터 더 효과적이었으며, 고랭지에서는 6월부터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생체와 데친 것을 비교하였을 때, 생체가 모든 항목에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평난지 재배보다 고랭지 재배가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쌈마니’ 품종은 평난지에서는 5월, 고랭지에서는 6월에 수확하여 생으로 먹는 것이 데쳐서 먹는 것보다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9.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iency of satellite images in terms of detecting wheat cultivation areas, and then analyzed the possibility of climate change through an correlation analysis of time series climate data from the western regions of Gyeongnam province, Korea. Furthermore, we analyz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wheat production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time series wheat production and climate data. A relatively accurate distribution was achieved on the wheat cultivation area extracted through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with an error rate of less than 10% in comparison to the statistical data. Upon correlation analysis with time series climate data, significant results were displayed in the following changes: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seedling stage, the monthly mean duration of sunshine,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growing period, the monthly mean humidity,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ripening stage, and the monthly mean ground temperature. Accordingly, in the study area,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ground temperature generally increased whereas the monthly mean duration of sunshine and humidity decreased. The monthly mean wind speed did not display a particular chang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greatest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productivity of wheat as climate factors included the annual mean humidity of the seedling stage, the annual mean temperature of the wintering period, and the annual mean ground temperature of the ripening stag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change in wheat production depending on the climate change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in the resolution of food security problems based on climate change.
        4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reduction in the area of cultivation and production is a difficult factor to solve in order to expand Boxthorn's culture for the main reasons for the aging agricultural labor and rising unit prices. Increasing the area of cultivation and production requires less labor and ease of work.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provide improved plant type to increase the area of cultivation and to secure efficient machinery harvest. Methods and Results : The variety of experiment is 'whasu' and was cultivated in 2015 and planted in fields on April 4, 2016. The plant types were 150 × 50 ㎝ T-shaped fence plant type. The number of times to be cut was two, and the branches were extended to produce fruits. The typical T-shaped fence plant type for comparison is made of two stems, 10 ㎝ in length, and a single cut, then a long stretch of branches for harvest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difficult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quantity of the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in order to make the re-ordination, and from the following year it was possible to verify. Major items such as stem number, stem length, quantity, time of harvest, and efficiency of harvest were investigated when applying the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Two stems had 20% more branches than a single stem, while the yield increased by 7%. Two stems, five ㎝ long, and two cuts were numerous and long, and the quantity was 33% higher than the customary T-shaped fence plant type. When working with the machinery harvest work, the ratio of work performed was 62% for harvesting, 19% for collection, and 19% for separation of foreign materials. The proportion of the collector work and the segmentation of design materials was 38%, which was an urgent problem to be remedied. Two stems, five ㎝, and two cuts increased the quantity by 33% compared to the customary method of T-shaped fence plant type, and the machinery harvest work efficiency was 56% higher, making it suitable for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Conclusion : T-shaped fenceplant type of two stems, five centimeters, and two cuts was a good shape for Handy type harvesting machine.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