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for records to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without physical and chemical transformation,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of the library is very importa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must be improved through periodic investigation on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derived fine dust (PM10) and ultrafine dust (PM2.5) concentration data for the libraries, hallways, and workroom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over two yea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among facilities, and there was a change in the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month. Both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s were present at less than 10 μg/m³ in the libraries. In the hallways, both fine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July. In the workplaces, the monthly fluctuations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were large.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 the workplac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library and hallways. Overall,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was measured below the maintenance standards stipula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in all the investigated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information to manage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facilities of the National Archives.
        4,000원
        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 11월 11-13일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던 황사에 대해 WRF-Chem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WRF-Chem 모델에서 미세먼지의 인위적 배출량은 RETRO 전구 배출량을 사용하였고, RADM2 화학 메커니즘과 MADE/SORGAM 에어로졸 스킴 및 GOCART 광물성 먼지 옵션을, 그리고 Fast-J 광해리 스킴을 선택하여 PM10 농도를 시뮬레이션 하였는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WRF-Chem 모델 결과에 따른 PM10 농도의 공간적 분포와 연직 프로파일 분석결과 2010년 11월 11-13일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던 황사는 강한 가을황사로 저기압의 발달로 인해 형성된 콤마구름 때문에 황사가 한랭전선 후면에서 갇혀 상공 2.5 km 이내에서 이동 및 유입됨을 알 수 있었다. 황사 발생 기간 동안 백령도와 서울의 기상청 관측 자료와 모델의 PM10 농도를 시계열로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와 평균제곱근오차(RMSE)는 백령도의 경우 0.763과 192.73μg/m3, 서울의 경우 0.725와 149.68μg/m3로 나타났다. 미세먼지인 PM10과 PM2.5 농도의 공간적 분포는 유사하였고 PM2.5가 PM10의 약 50%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상청 UM-ADAM 모델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PM10 농도와 경계층 높이, 동서 성분 바람장의 공간적 분포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 두 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PM10의 농도를 예측하는 회귀 방정식을 구하고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던 강한 가을 황사(2010년 11월 11-13일)와 봄 황사(2011년 3월 19-20일) 사례를 선정하였고, 통계 모델을 이용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5,400원
        9.
        200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for the dangerous properties measurment of dust explosion was attended by the various dust concentration on Anthraquinone, Sodiumbenzoic acid, Corn starch, soy sauce powder, and cheese powder. As the result, maximum explosion pressure, the maximum rate of pressure rise, autoigntion temperature, and the water content of dust on lower limit explosion concentration was obtained as follows 1. The lower limit explosion concentration on soy sauce powder with the humidity of 65 to 90%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n tent of moisture, and the effect of dry air and moisture air decreased better in make of dry air. 2. The effect of a various dust concentration on autoigntion temperatures is investigated, If the vessel of dust explosion is small size and the easiness of autoignition was controled by air within the vessel, because it was better decreased air with increasing of dust concentration 3. The maximum explosion pressures of Anthraguinone, sodiumbenzoic acid, com starch, soy sauce powder, and cheese powder were 1.0g/l, 1.0g/l, 1.5g/l, 1.5g/l, and 1.5g/l,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rate of pressure rise were 0.5g/l, 0.5g/l, 1.0g/l, 1.0g/l, and 1.0g/l, respectively.
        4,000원
        11.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효과적인 미생물 제제로 사용할 수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기도 일원의 72군데의 저곡창고에서 먼지를 채취하여 B. thuringiensis의 분포와 독성을 조사하였다. 총 411개의 채취된 저곡창고의 먼지에서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146개에 이르는 많은 수의 B. thuringiensis가 분리되었다. 저곡창고에서 분리된 146개 Bt의 독성 분포는 나비목의 누에 (Bombyx mori)유충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84%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파리목의 빨간 집모기(Culex pipiens)유충에는 3%, 나비목과 파리목에 동시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1%였다. 그러나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tus oryzae)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으며, 내독소 단백질은 형성하지만 독성을 띠지 않는 B. thuringiensis가 12%의 비율로 분리되어 흔히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저곡창고는 B. thuringiensis의 유리한 분리장소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태공간과 생태공간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포름알데히드와 분진의 제거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하역사내로 자연광이 유입되는 천창이 설치된 지하철 흑석역에 조성된 생태공간을 바탕으로 수행하였다.그 결과, 1일 동안 생태공간, 생태공간으로부터 각각 10m, 20m떨어진 지점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약 20.7ppb, 21.2ppb, 26.8ppb로 생태공간과 생태공간에서 20m떨어진 지점을 비교하였을 때 생태공간이 공기를 정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생태공간, 생태공간으로부터 10m, 20m떨어진 지점의 1일 분진 농도 역시 각각 약 18.0㎍/㎥, 19.2㎍/㎥, 67.4㎍/㎥로 생태공간과 생태공간에서 20m떨어진 지점을 비교하였을 때 생태공간의 공기정화효과를 알 수 있었다. 온도와 습도는 세 공간 모두 큰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지하역사내에 가동되고 있는 냉방 및 환기시설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연광의 유입으로 광합성과 증산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약 11시 30분부터 5시 30분까지는 생태공간의 습도가 약 3-4%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생태공간의 포름알데히드의 1일 변화량을 조사한 결과 이시간대에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에 조성된 생태공간은 포름알데히드, 분진을 감소시키고 습도를 증가시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또한 지하철 역사 간의 비교는 실공간에서 측정하므로 많은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비교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지하철 역사 내 생태공간의 공기정화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지하철역사 간의 비교보다는 역사내에서 측정간격을 연장하거나 생태공간 유무에 따른 지상과 지하 등 측정장소를 달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지하철역사내 생태공간 조성은 포름알데히드, 분진 제거 등 공기정화와 미적․심리적인 효과를 동시에 창출하므로 앞으로 지하철 역사 및 지하공간내에 생태공간 조성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13.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neumoconiosis is the result of the long-continued inhalation of dusts and it depend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n and the cloud to which he is exposed. The health effects of dusts, especially silica dust exposure have been since Egyptians had constructed the pyramids in ancient times. Subsequently, many works, including miners, milers, quarry workers, sandblasters, tunnel drivers, are occupationally exposed to mineral dusts. These workers may develop pneumoconiosis and in some instances, malignant neoplasms, particularly lung cancer, as a result of such exposures.Both quantity and quality of mineral dusts in the lungs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amage from pneumoconiosis. So mineralogical techniques require in pathological studies and in estimation of the airborne dusts in working places.Mineralog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branches of the protective procedure. This lecture presents the knowledge on lung dust, cytotoxicity and fibrogenetic activity of minerals and control procedures for pneumoconiosis from pont of mineralogist.
        14.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alysis of hourly variations of sulfur dioxide (SO2) concentrations affected by regional climates for the period of yellow sandy dusts was carried out from March 31 through April 9, 1993. The concentration of SO2 at a coastal city, Kangnung city, was much higher than that at an inland city Wonju in the west, but the hourly distributions of SO2 concentrations show a similar tendency at both cities. Under the prevailing synoptic-scale westerly winds blowing over a high Mt. Taegualyang in the west toward Kangnung city in the eastern coastal region, the SO2 at Kangnung is trapped by an easterly sea-breeze during the day and under prevailing easterly winds, it is also isolated by the high wall of Mt. Taegualyang, with its high concentration from 14 to 16 LST. Furthermore, when the westerly winds were dominent all day long, the high SO2 concentrations at Kangnung were produced by its intrusion from a urban city, Wonju or China in the west into a mountainous coastal city, Kangnung, to some extent, and when the air becomes rapidly cooled down at the clear daytime or the nighttime, their concentrations are also increased by a great amount of heating fuel combustion. Especilly, its maximum concentrations were shown in Wonju and Kangnung from 08 LST through 10 LST, due to the increase of auto vehicles near the beginning time of office hour and were detected again after sunset due to both increases of vehicles at the end of office hour and heating fuel combustion. During the period of Yellow Sandy Dusts which are transported from China into Korea, the SO2 concentrations on rainy days at Wonju and Kangnung were much lower than the monthly mean values of SO2, and their low concentrations could be caused by the scavenging process of rain.
        15.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ransport rate of windblown dusts such as soil, sand, snow is proportionate to U_*^3 and U_*, friction velocity, approximately to flow velocity of wind. Therefore, through measurement and the flow velocity of wind, it turned out that,considering different velocity distributions caused by downstream distance and porosity percent,windbreaks with appropriate porosity rate to the protection area should be chosen for the optimal fence effect. In the economic respect, better are fences with gap of 20%∼30%. Among the windbreaks to have the optimal fence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