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a metaverse-based safety education program on the fire safety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tilizing the National Fire Agency's 119 metaverse program, an educational program was implemented for two month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amined using paired-sample t-tests, while comparisons with the control group were made using independent-sample t-tests.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area of fire prevention.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over time within each group, the overall average scores for the entire class improved across all area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ffectiveness of metaverse-based safety education is suggested;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raditional education was not detected. The study concludes by exploring implications for considerations in the implementation of metaverse safety education in the future.
        4,0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 on Korean foods preferr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sustain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food preferences were class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creative, healthy, or considerate, and the effects of education on Korean dietary life were classified as cognitive or emotional. Dietary life sustainability was evaluated separately. Results showed that creative and considerate preferences had significant impacts on cognitive and emotional education effects and that a healthy preference type significantly impacted the emotional effect of education. Analysis showed that creative and considerate food preference types significantly influenced dietary life sustainability and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education effects mediated these relationships. Sex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e study shows that Korean dietary life sustainability is influenced by education on topics that promote the value and excellence of Korean food and suggests that experiential education combining practice and theory should be used to increase interest in Korean food among elementary students.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Korean food preference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tha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and maintain healthy dietary practices.
        4,300원
        3.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환경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환경 교육 을 위한 식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 121명에게 적용한 후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를 평가하였다. 식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프로그램 시간, 강사, 내용, 장소 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의 사가 높으며, 만족도와 참여 의사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면 식물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 환경 지식습득, 기분개선이 높게 분석되어 식물 교육 프 로그램은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제고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환경친화적 태도의 하위 영역인 환경 보호와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에서 효과가 있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교육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저학년부터 다양한 환경 교육 활동을 경험하게 되면 환경 감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식 물 교육활동은 식물 친숙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인지적 측면에서 지식습득의 효과 뿐 아니 라 정서적 측면의 향상에도 유리하다.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식물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도 향상을 위해서는 만족도를 제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시 간, 강사, 내용 등의 운영 및 구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for children’s health UP’ (DECHUP) on the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KAP) of nutrition and food safety i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eon. The DECHUP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2018 and consisted of education and activities focusing on the children’s levels of understanding. Data were collec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6 weeks after DECHUP using the same metho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0.0. Th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subjects to nutrition and food safety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an before DECHUP, but the attitude of boy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6 week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havior for nutrition in the practice of the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the behavior of food safe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DECHUP, the more positive the change in knowledge, and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and practice behaviors. Therefore, DECHUP has positive effects on the KAP of the subjects, and it will be helpfu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orm desirable eating habits if it can be carried out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4,0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초등 교실환경에서의 한자교육은 대부분 좌뇌기능 중심의 교수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학습자의 뇌발단 단계와 한자의 뇌기능적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한자교육은 우뇌 기능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교수방안을 선택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습자들에게 뇌친화적 한자수업의 필요성을 제기할 목적으로, 그 방안의 하나로써 ‘이미지텔링 연상법’을 통해 한자 인식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 초등학생 38명을 대상으로 뇌친화적 한자수 업을 제공한 결과, 기존방식대로 한자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이미지텔링 연상법’이란 뇌친화적 수업을 적용한 집단의 학습자가 한자의 장기기억화에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는 약 3배 가까운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뇌친화 적 교수방안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4,900원
        6.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교와 특수학교의 학교 환경에 따른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배포된 설문지는 통합학교 20부, 특수학교 20부 총 40부였으며 이 중 18부(45%)가 회수 되었다. 무응답 또는 다중 응답 문항이 있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6부, 통합교육 대상자 총 4명, 특수교육 대상자 총 12명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대상 학생을 4개월 이상 관찰한 교사가 본 연구의 평가도구인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 통합교육 환경과 특수교육 환경에 따라 SFA와 K-ABS를 비교한 결과, K-ABS의 사회적 적응요인에서 통합교육 집단에서 특수교육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5). 각 학교 환경에 따른 집단내 SFA와 K-ABS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수교육 환경에서 SFA와 K-ABS의 하위항목 간 상관관계를 이루는 항목이 더 많았다. 결론 : 연구를 통하여 통합교육 환경이 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적응능력과 학교생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로서 학교작업치료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은 교육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작업치료사는 장애학생의 교육의 질과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할 것이다.
        4,200원
        7.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심리・정서 치유 및 생 명·존중의식 향상이라는 주제로 2014년 3월1일부터 2015년 2월 28일까지 진행이 되었으며, 전교생 중에 동물매개교육을 희망하는 학생 14명을 선발하여 진행이 되었다. 연구도구로는 6개의 변수(불안, 우울, 품행장애, ADHD, 생명존중의식)에 대한 사전 사 후 검사를 별도 측정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전· 사후검사를 통한 변화를 특정 하였다. 동물매개교육이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의 심리· 정서 불안요인에 끼친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명존중의식 또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번 사례를 통해 동물매개교육프 로그램이 초등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한자교학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전개되었다. 현재의 아동을 대상으 로 하는 한자교육은 취학전 아동 및 학령아동을 상대로 진행된다. 만 6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에 대한 한자교육은 보통 유아식자교육이라 일컬으며, 기초교육단계의 학령아동(6~12세)에 대한 한 자교육은 학령아동 한자교육이라고 부른다. 현재 학계에서는 아동 한자교육의 실행 및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취학 전 아동인 유아한자교육은 주로 식자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령아동 한자교육 연구도 유아한자교육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식자에만 제한되어, 교육의 다양화 확대 및 제고를 실현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주로 학령아동 한자교육 대상인 초등학교 6세~12세 학생들이 학습하는 한자지식 내 용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기초교육한자 교학 및 연구자들에게 다음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째, 기초교육단계에서 식자가 여전히 유일한 교학목표인가? 둘째, 학령아동에게 체계적인 한자 지 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아동 식자교육의 개선 및 확대를 제고할 필요성은 없는가? 본고에서는 문헌조사, 정책분석, 설문조사 및 교학실천의 네 가지 방안을 토대로 학령아동을 대 상으로 한 확대된 한자교육 내용에 대해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900원
        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영은 1604년 통제영의 12공방이 설치된 이후 전통 미술활동 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곳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들어 통제 영이 폐쇄되고 그 활동은 점점 쇠락하다가 1950년을 전후로 현 대미술활동과 함께 다시 부활하여 현대에 이르렀다. 본 논문 에서는 이 시기의 통영지역 미술활동을 살피고, 그 중, 공예, 한국화, 서양화를 대상으로 활동한 작가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활동상을 파악하여 그 구성원인 작가들의 사승관계를 정리하여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영미술의 특징과 통영전통미술의 현 대화 및 그 발달과정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통영 미술계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었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 통영미술은 1604년 이후 통제영에 설치된 12공방에서 발달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 통영미술이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19c무렵 12 공방이 활성화 되면서 진상품을 비롯한 여러 가지 군관민수용 품인 고급 미술품 제작이 다양한 장르로 생산, 전통미술의 자 리를 공고히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환경은 통영을 다른 도시와는 달리 종합적으로 예술을 발달할 수 있게 하는 초석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 통영미술의 현대화 과정은 둘로 나눈다면 그 하나는 신교 육의 실시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 발발 후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외부 예술인들이 통영에 자리를 잡으며 통영의 전 통미술과 현대미술의 융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 하나는 전 문작가의 출현으로 작품 제작과 전시회를 열어 통영 현대미술 발전의 자극제가 되었다. 넷, 전통미술에서 현대 미술로 이양되는 과정에서 사승관계가 형성되고. 통영미술은 전통을 계승하고 새로운 문화를 수용, 체 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발달 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2015년 현재, 일부 화단에서 옻칠화라는 새로운 장르를 형성하 는 과정에 있다. 이는 통영 전통미술을 계승발전 시키는 중대 한 작업으로 통영미술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7,800원
        10.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x intelligence. Of the 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is survey, 37 (66.0%) had no siblings. The number of students whose mothers had jobs and those whose mothers did not work were 37 (67.9%) and 18 (32.1%), respectively. Food consumption with ordinary diets was normal in 23 students (41.1%)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snack intake and eating-out was determined to be twice a day (41 students, 73.2%) and once or twice per week (36 students, 64.3%), respectively. The most popular type of food consumed when eating-out was ‘fast foods’ in 28 students (50.0%). It was determined that on average, 39 students (69.6%) snacked between lunch and dinner time and 31 (55.4%) selected snack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mass media’. Analysis of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reveal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 ‘foods with high nutritional value are high calorie food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ut not in other questionnaires. In addition, the correct information for calcium (p<.05), good dietary habits (p<.001), food poisoning (p<.05), and six groups of nutrients in foods (p<.001)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the ratio of correct answers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After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total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 (p<.01).
        4,000원
        1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spelling errors in English stories written by 206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mplementing Korean/English immersion education. Errors were analyzed using crosstab and MANCOVA. Findings are as follows. Spelling errors occurred in 4 categories in order from the most frequent to the least: substitution, omission, addition, and transposition. The error occurrences differed depending on grade level changes: lower grades (Grades 1-3) vs. higher grades (Grades 4-6). The students in both grade levels made more errors in substitution and omission: these error typ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y progressed to the higher grade levels. Errors in addition and transposition showed much fewer occurrences for both grade levels, and these err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ecrease because of their rarer occurrences. Overall, the students’ spelling ability increased remarkably as they progressed in grade levels in the immersion environment.
        6,300원
        1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전통회화기법을 활용 한 옻칠교육을 통해 전통의 올바른 계승과 창의적 사고력 및 표현력 향상을 위하여 전통회화 교육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옻칠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전통회화 교육에 대한 현황 분석을 위하여 교육과정 분 석과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서 나타난 전통회화 교육의 문제점은 전통표현의 답습과 감상에 치우진 소극적인 수업 형태, 실제 수업에서 전통회화 영역의 낮은 비중 및 학생 들의 전통회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시급하였다. 둘째, 전통회화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은 전통회화의 특징을 해치지 않으면서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기법을 응용하여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는 새로운 표현기법과 전통 표 현기법의 장르별 통합 형태이며 연구한 기법 및 재료를 바탕으 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였다. 전통회화 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다양한 기법과 재료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력과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자유로운 기법과 재료의 활용은 창의적 사고력 향 상을 돕고 새로운 표현기법과 전통 표현기법의 통합적인 응용 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표현력 향상은 미술의 타 영역 표현에서도 전통회화의 재료와 기법을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생들 이 즐겁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흥미 유발에도 도움이 되었 다. 셋째, 전통회화기법을 활용한 옻칠교육은 초등학생들이 옻칠화 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높아졌다.
        7,700원
        13.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major education process flaws in the Lembaga Pendidikan Tenaga Kependidikan (LPTK) 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Indonesia is portray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engalaman Lapangan (PPL) or Apprentice Program that has not optimally developed candidate’s proficiency to be competent teachers.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nstruc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practical teaching that can improve pedagogical competence as the ultimate goal to be achieved by future teacher candidate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dergraduat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ducting their PPL in Indonesi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Lampung University. Based on the analysis of Wilcoxon Signed Rank Test, on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95% (α = 0,05), the model produced from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called theModel Pembelajaran Praktik Mengajar Reflektif (MP2MR) was verified to help improve students competence based on the following benefits,(a)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designs focused on standardized achievements (b) individual and contextual implementation of problem-solving base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 priority to intrinsic evaluation.
        4,300원
        14.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ata generated from the application of Keller's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 Satisfaction) Strategy of Mativational Desig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 area of physical education. In particula
        4,300원
        15.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western foods in the field of 'dietary life' in Practical Arts curriculums, and developed the fusion-food cooking activit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ly, potatoes, dumplings coated with bean paste, simple side dishes are discussed in the first curriculum. The second curriculum discussed only traditional foods and the third curriculum considered more traditional foods than western foods including bread. From the fourth curriculum to the sixth, traditional foods were mainly discussed and both traditional foods and western foods were mentioned evenly in the seventh and revised 2007's curriculum. Secondly, this study developed 'fusion-food cooking activity' program which helps students not only to learn the meaning, kinds, history, and related custom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kimchi, Korean pizza, rice cake, but also to learn and practice cooking fusion-foods covering traditional foods.In conclus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fusion-food cooking activit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mprove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foods among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reputation and value of traditional foods. Therefore fusion-foods cooking activity containing traditional foods which are not discussed in this study should be studied and developed more in the future.
        5,700원
        16.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255 people, Gyeonggi-Y Elementary School (Grade 2 to Grade 3) and Power Point educational media activities, made a rice cake, and then through surveys conducted by education, training effect of dietary was analyzed.The name of rice cake(99.1%) and rice cake flour with about 82 percent know.Gratitude to farmers, students have been answered by 91.3% after the dietary change was education. Teaching Satisfaction 'Yes' was answered more than 91.0%. Die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appreciation for farmers was a positive correlation.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s very high. Also grateful to farmers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Making rice cake with exercise diet showed that the effect of education is very high. Therefore conducted a systematic practice cooking to suit the students' level of food education will be done efficiently.
        4,300원
        1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ffect the meal practices of children.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resents not only a well-balanced diet but also contributes to shaping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 meal practices and views, as well as demands o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to reflect future educational plans. Half of the students ate breakfast everyday and 72% ate a traditional Korean style breakfast. About 38%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2-4 times per week in meal preparation and 34% participated in clean-up after the meal once a day. Although 6th graders had greater skills in basic cooking, they tended to be more passive upon applying their skills in daily meal practice. For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89% of the experienced and 86.2% of the inexperienced groups agreed on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Students attained traditional food culture knowledge through Silgwa, practical coursework within the curriculum, and by teachers leading classes. They were also educated by parents, mass media, and books outside of school. The preferred methods of class teaching were lecture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 preferred subjects to learn were 'cooking classes based on taste development', 'learning food ingredients through vegetable growing', 'traditional Korean food manners', and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nd seasonal foods' as well as nutritional education. Fifth grader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meal practices and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and developed into regular subject curricula to improve children's meal practice and inheritanc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4,000원
        18.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wo different groups of students who took P.E. lessons from P.E.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respectively during a semester perceived the objectives, method, evaluation and environments of P.E. instruction.
        5,800원
        19.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0.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which was needed for promoting teaching efficiency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athletic club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attain that purpose a
        5,7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