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되면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주로 상업분야(미디어, 레크리에이션, 농업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인공위성 및 항공영상에 비해 적은 운용비용과 효과적인 자료 취득이 가능하여 공공(감시·관리, 기상·관측 등), 연구(환경, 지리정보, 해양관측, 원격탐사 등)분야에서의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술의 잠재성과 사회적 관심에 비해 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환경·생태 분야에서의 활용은 시작단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UAV와 관련한 공간정보의 발전 추이와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UAV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련 연구동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세부적인 연구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 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최근 환경·생태 연구 분야에서 UAV와 관련하여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연구 주제들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 자료의 검색은 UAV를 제목으로 하는 1997~2017년 사이의 논문으로 하였다. 자료의 검색은 Thomson Reuters사의 Web of science에 등재된 연구논문 중 KCI, SCI, SCIE에 한하였으며 등재후보지 및 기타 문헌은 제외하였다. 분석 방법은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텍스트 마이닝과 동시출현 단어 분석을 통해 시계열적인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 분야 분류를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논문 수와 발행 시기를 고려하여 두 개의 시기 (97-13, 14-17)로 구분하였으며 세부연구 분야의 비중을 비율로 살펴보았다. UAV 관련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록에 사용된 단어 및 단어구의 동시출현 빈도 분석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기준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는 제외하거나 동일한 단어로 치환하여 분석하였으며(ex. UAV, UAS, Smart UAV, Unmaned Aerial Vehicle 등) 20회 이상 출현된 단어 및 단어구만 한하였다. 둘째,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에 출현한 단어를 선정하였다. 셋째,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 중 주제어로 판단되기 어려운 일반적인 단어, 조사 등은 주제단어의 적정점수(relevance score)의 상위 60%에 해당하는 단어에 한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국내논문은 745편, 국외는 3,858편이며 연도별 논문 발행 수는 매년 30편 이내였지만 14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5~17년에 발행된 논문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집된 논문을 기반으로 추출된 단어 및 단어구는 국내의 경우 13,359개, 국외는 73,628개로 나타났다. 분석은 2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1단계에서 공출현 행렬 값을 기반으로 카테고리들 사이의 유사성을 Association Strength(관계강도) 산출식으로 계산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계산된 유사성을 기초로 2차원 맵을 생성하였으며 유사성이 높을수록 단어의 위치가 근접하며 낮을수록 먼 거리에 배치된다. 맵의 가독성과 관련하여 발생 빈도 따라 단어의 크기 및 연결강도에 따른 연결선의 수를 설정하였다. 주제 단어로서의 적정점수 이상을 획득한 단어를 최종적으로 추출한 결과 국내는 173개, 국외는 477개가 나타났다. 유사도에 따라 연구영역을 클러스터링 한 결과 국내 UAV 관련 연구는 7개, 국외는 8개의 주요 분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연구 영역별로 출현빈도와 관계강도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외부터 살펴보면 Cluster1은 “원격탐사 기술/자료 활용(분류, NDVI, LAI, 산림, 온도 등)”, Cluster2 “항법기술(회피, 추적, 편대비행, 자율, 협조 등)” Cluster3 “비행기술(안정, 조종, 궤적, 추적 등)”, Cluster4 “원격탐사 기술/자료 활용(분류, NDVI, 온도 등 )”, Cluster5 “비행 성능(연료, 모터, 형태 등)”, Cluster6은 “무인항공 기술/산업 동향”, Cluster7 항법관련 알고리즘/센서(정찰, 회피, 인식 등)”, Cluster8 UAV SAR(대형 무인기, 레이더 등)로 나눌 수 있다. 2013년 이전에는 Cluster2, 5, 7, 8 영역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기체개발 및 항법기술과 관련한 기초 연구가 이에 해당된다. 14년부터 현재 까지는 Cluster1, 3, 4, 6에 해당 되는 연구로서 원격탐사 기술, 자료 처리 및 활용에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내의 결과를 살펴보면 Cluster1은 “무인항공 기술/산업 동향”, Cluster2는 “원격탐사 기술/자료처리 (RGB, DEM, DSM 등)분석”, Cluster3 “비행성능(조종, 비행, 엔진 등)”, Cluster4 “기체 성능(연료, 모터, 형태 등)”, Cluster5 “원격탐사 기술/자 료 활용(분류, NDVI, 온도 등 )”, Cluster6 “항법기술(알고리즘, 회피, 객체 등)”, Cluster7 “원격 조종(안테나, 지상조정, 항로 등)” 로 분류되었다. 국외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영역으로 클러스터링 되었지만 연구 주제를 파악할 수 있는 핵심 단어의 출현 시기와 단어들 간의 관계강도, 다양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국내는 UAV 기술 현황, 활용성을 주제로 한 기초연구 의 비중이 높았지만 국외의 경우 UAV 원격탐사 기술 통한 자료 수집 및 분석에 관한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경·생태 분야와 관련한 연구 영역은 국외는 Cluster1, 국내는 Cluster5에 해당되며 출현 단어를 살펴보면 Canopy, Classification, Forest, LAI(Leaf Area Index),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emperature, Tree, Atmosphere 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단어는 최근 주목 받은 연구 주제로서 UAV 광학센서 기술의 고도화와 영상처리기술 의 발전으로 기존의 공간정보에서 얻을 수 없었던 자료 획득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연구 동향에 따라 국내 에서도 최근 관련 논문이 증가하는 것은 향후 연구되어야 할 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경·생태 분야에 있어 효과적인 UAV 이용 방안과 한계점 제시를 위한 1단계 연구로서 국내·외 UAV 관련 연구동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환경·생태 분야에 활용도가 높은 기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향후 다양한 UAV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한 데이터 수집·분석·검증 과정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다.
        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진양호 댐 지역을 대상으로 수달의 서식지환경 및 행동 행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2006. 7~2012. 7월까지 수달의 주요 서식지로 예상되는 총 6개소의 지점 (댐 둑을 중심으로 댐 내 5개 지점과 댐 밖 1개 지점)을 대상으로 식생 및 어류상 조사와 이동통로에 무인 열감지 장비를 이용하여 년 중 24시간 촬영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달의 이동시간과 특성을 월별 및 시간대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생은 총 65종으로서 목본류 33종과 초본류 32종이었고, 어류상은 총 4목 9과 3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댐 내에서 서식하는 5개체는 지속적으로 댐 내에 서식하며 먹이 활동 후 다시 댐으로 들어가는 횟수를 년 중 121회, 댐 밖으로 나가는 횟수는 122회로 나타났다. 수달은 먹이공급은 댐 밖에서 하고 보금자리 이용은 댐 안에서 하는 것으로 댐 지역은 수달의 안전한 보금자리와 충분한 먹이가 있는 서식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달의 서식환경과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친자연적인 공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로 자연생태계 현황, 과도한 이용과 공원시설물 조성에 따른 훼손 및 주변생태계의 영향 등 환경생태 현황을 정밀하게 조사분석하여 친자연적인 공원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 공원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현황 조사, 분석, 생태적 평가, 공원관리계획 수립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 단계에서는 일반적 개황, 자연환경, 자연생태 등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생태적 평가에서는 조사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식물생태계를 유형화한 비오톱유형, 야생동물 서식처, 자연경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리계획 수립에서는 친자연적인 공원관리를 제안하고자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양호한 생태계 및자연경관 보존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생태계 및 자연경관 보존계획에서는 생태계 및 자연경관보존지역, 생태계 보호지역, 생태계 복원지역(이용가능)을 지정하였고, 훼손지 복원 및 복구계획에서는 훼손된 숲생태계 유형에 따라 식생복원 목표로 제안하였다.
        5,200원
        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학회 업무 관리, 학술정보 관리를 학회가 어려움 없이 처리하도록 지원하고자, 학회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학회 학술정보 유통체제 전 과정을 온라인화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KISTI-ACOMS(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KISTI-학회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2001년부터 학회에 무상으로 보급하여 왔다. 최근 KISTI-ACOMS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회의 요청이 더욱 확대되고 있어, KISTI는 많은 학회의 특성들을 의견수렴하여, KISTI-ACOMS의 표준화를 목표로 보완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KISTI-ACOMS를 기반으로 구축한 한국환경생태학회의 학회논문투고관리시스템의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시스템에 필요한 기능 및 명세를 기술함으로써 한국환경생태학회의 개선된 온라인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제시한다.
        4,000원
        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 ecology(topography structure. land-use, flora, plant community structure, wildbird) in 10 uninhabited islands(i.e. Kei island, Hadon island, Sangdon island, Daewa island, Hwanggang island, Naebi island, Oebi island, Prickly castor-oil tree island, Tongin island, Yuk island), Namhae-gun, Gyeongsangnam-do. Moreover, It has suggested ways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ecology status by classifying the type of environment ecology about the degree of use and damage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environment ecology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opography structure survey, the survey site altitude was ranged within 1m~25m, otherwise, the radient was classified the rock area(.i.e. slope of less than 5˚ the dead level) and the slope area where is steep slope. Moreover, there was showed evenly a variety of aspect. Land-use were divided the field(Kei island), dry native grasslands(Hadon island), naturalized grasslands(Sangdon isl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Dacwa island, Hwanggang island, Naebi island, Yuk island), the rock area(Oebi island, Prickly castor-oil tree island, Tongin island). As the results of flora survey, the number of plant species were 30~115 species and the naturalized species were found 2~12 species in each site. The result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The dominant species were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were in upper tree layer, furthermore, it were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Prunus sargentii, Celtis sinensis, Morus bombycis, ect. in cannopy tree layer. In shrub layer, the dominant species were Rosa multiflora, Rubus crataegifolius, Parthenocissus tricuspidata, etc. The status of wildbird bird, had been found 42 species 938 individuals, especially, there were Bubo bubo kiautschensis(natural monument No. 324) and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natural monument No. 326). According to these synthetic results, we are able to classify the 5 types of environment ecology such as the natural coast forest that composed of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Daewa island, Hwanggang island, Naebi island, Oebi island, Tongin island, Yuk island), the field in vegetation area(Kei island), vegetation succession area of fallow field type(Hadon island), vegetation damage area by the forest fire and disturbance elements(Prickly castor-oil tree island), dominant naturalized species grassland by grazing cattle(Sangdon island).
        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more scientific, quantitative methods and procedures of environmental investig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human environment during the establishment of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special facilities using environmental accounting.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velop a method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on the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 and reuse of shellfish seeding areas through the use of environmental accounting based on EMERGY evaluation. The result was applied to marine environment policy in order to evaluate the real wealth of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economy for both the present phase and the proposed developed phase. Using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EMERGY indices between the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scenarios, cost benefit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ree different scenarios: (1) construction of a new sewage treatment plant, (2) relocation and recovery of the shellfish seeding area , and (3) relocation and re-seeding of shellfish area and construction of a new sewage treatment plant. Cost-benefit ratios of the three scenarios are 1.88, 0.94, and 1.38, respectively.
        8.
        200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acroeconomic minimodel was simulated to analyze the effect of global exchange on the Korea's economy. The simulation results illustrate some of the consequences of public policy and some insight into current world problems. All computer simulation runs made under various conditions suggest that the Korea's system in the near future may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favorable availability of outside resources, while the national power and assets may be declined by indigenous environmental stock depletion. The borrowed capital allows the temporary money stock to increase and the national assets to grow faster and a little higher, as using up the environmental resources more quickly. Later, when the debt is paid off, the foreign exchange holdings may not go so high.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ver 75% of total economic production should be invested to th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Therefore, the economic structure of Korea should be transferr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9.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the key concept, both in economic policies and in environmental management. On the basis of an systems ecology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s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activity using the EMERGY evaluation. The total EMERGY use(7,730 E20sej/yr) in Korea is 81 percent from imported sources, fuels and goods and services. The ratio of outside investment to attracting natural resources is already large, like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Continued availability of purchased inputs at a favorable balance of EMERGY trade, currently about 2.85 to 1 net EMERGY, is the basis for present economic activity and must decrease as the net EMERGY of purchased inputs including fossil fuels goes down. EMERGY yield ratio and environmental loading ratio were 1.23 and 20.30, respectively. The population level is already in excess of carrying capacity. Its carrying capacity for steady state on its renewable sources is only 2.2 million people, compared to 45.9 million in 1997. EMERGY sustainability index is therefore less than one, which is indicative of highly developed consumer oriented economies. Until now the development of a country has been achieved by the economic growth, but it can be sustained in the long run by the use of renewable resource systems, the efficiency of energy usag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an ecological-recycling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