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아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지속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사립유치원 2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60명(실험집단30명, 통제집단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12주동안 주 3-5회 유아 1인당 56회 실시 하였다.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의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염현경(1998)의 한국형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KPDSS)를 사용하여 집단 간 사전·사후·추후 검사 결과에 대해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후 검사의 점수에서 사전 검사의 점수를 뺀 증가분을 t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 중 ‘비난·공격적 상황 접함’ 상황과 ‘불안·좌절감 경험’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 집단 유아의 경우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경험한 10주 후에도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013.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유치원 인근 숲에서 자유로운 탐색, 오감각으로 체험, 생태강사와 함께 놀이를 중심으로 한 자연체험 활동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광주시 N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6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생태강사 1인과 함께 16회에 걸쳐 자연 체험활동을 실시하였고, 녹화자료의 전사, 사진, 연구자의 기록, 메모, 유아들의 작품 분석 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초기 유아들은 숲과 활동에 대한 낯설음과 두려움을 나타냈고, 점차 자연과의 교감을 경험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적극적인 탐색활동을 통한 다양한 표현활동과, 숲 속에서 친구와의 다양한 경험을 나타냈다.
        3.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8명을 실험집단(19명)과 통제집단(19명)으로 하여 13주 동안 유아 1인당 주 2~3회, 총 31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일과운영에 맞추어 활동하였다. 그 결과,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201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S병설유치원 만5세 28명, 통제집단은 D병설유치원 만5세 28명이며, 연구도구는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취학 전 유아용 또래유능성 척도와 한은희(2009), 이나영(2008), 교육인적자원부(2006) 등의 관련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총15가지 협력활동이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또래유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유치원에서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ity residents' preference to experiencing activities for Green Touris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fall, 2006. The sum of 515 copies was analyzed. Residents of Daegu city preferred 'health/leports experience' and 'traditional food experience', among theme experiential activities. While present providing experience programs are rural-life experiences, which are convenient for provider aspect. By the result of cross-table analysis,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gender & age. Men preferred 'health/leports experience', while women preferred 'traditional food experience'. The mean values of preference by 14 experiencing activities showed high at 'health experience', 'traditional food experience', 'leports experience', which represents health & wellbeing trends. By the result of t-test & ANOVA, there also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gender & age.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y age group. Three factors were categorized. 'traditional/wellbeing/health experience', 'nature-play experience' and 'life-culture experience' were th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