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청소년의 다양한 비행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이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들은 이들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집중을 해왔던 반면 이 요인들을 한 모델안에서 함께 고려하여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존의 범죄원인론 중 자아통제론과 자아존중감이론,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해체이론, 그리고 일상생활이론 등을 가지고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개인적 수준에서 자아통제력과 자아존중감, 가족적 수준에서 가족의 화합정도와 부부의 갈등정도, 학교상황에서는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과 학교생활만족도,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유흥업소의 범람과 지역의 무질서, 그리고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력에 대한 인식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청소년비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폭력비행 재산비행 지위비행, 성비행을 측정하였다. 1,122명의 서울시내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성별, 교급별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볼 때 model에 포함된 모든 변수들이 어느 정도는 모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자아통제와 가족통합정도, 학교에 대한 불신, 지역사회무질서, 유흥업소의 범람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교급별 분석결과를 보면 남녀학생모두에게 자아통제력은 비행을 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흥업소의 수는 남녀학생 모두에게 영향을 주고 있지만 지역무질서는 남학생의 비행에만 영향을 준다는 차이를 보였다. 자아통제력은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에게 더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몇가지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7,800원
        3.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하여 적용하는 과정에서 부모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원장으로 근무하는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6명과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21일부터 2017년 11월 7일까지 부모와 협의한 일정에 따라 가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가족 프로그램의 구성과 프로그램 전개의 두 단계로 이루어졌고 총 9회기의 프로그램 전개는 다시 사전단계(지역기관 탐색하기, 관련도서 찾아보기, 주제와 관련된 궁금증 알아오기)와 본 활동 단계(도입, 전개, 마무리)로 이루어졌다. 이상과 같은 절차를 통해 연구자의 참여관찰, 참여교사저널, 연구자 메모, 부모질문지 및 면담 등의 다면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 분류, 관련짓기의 순환적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유치원 가족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은 첫째,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고, 둘째,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향상되었으며, 셋째, 단위 가족에 국한된 것이 아닌 다른 가족들과의 유대와 연합을 통해 현대의 개인주의, 인간소외를 극복하는 협력과 화합의 장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한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를 비롯하여 유치원 구성원 전체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고찰하여 유치원 가족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
        4.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영조대의 하동 안계 마을의 학자 하대관의 가문계승의식과 향촌사회활동을 알아 본 것이다. 시기는 1748년부터 1758년까지 10년에 걸친 기간이다. 하대관의 글이 오로지 이 시기에 걸쳐 남아 있기도 하지만, 이 시기의 그의 활동이 1759년 가을부터 전개되는 종천서원 시비의 배경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문집의 분석을 통해 볼 때, 하대관은 부친으로부터의 가학을 통해 자랑스러운 선조들의 업적을 알게 되어, 그의 학문은 선조들의 전통과 남명학을 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그의 학문은 향당에서 충절과 효행, 경의를 중시하는 성격을 갖는다. 그는 영남남인 외에도 기호 남인과의 교류를 강화하여 자신의 가문과 진주 사족들의 위상을 높이려고 했다. 『겸재집』 간행, 족보편찬, 교육과 교화활동, 부당한 조세징수 반대, 『진양지』 간행 등은 모두 이러한 그의 사상을 반영한다고 할 것이다.
        5.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갈등이 어떤 관계 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으로 처리한 결과, 농촌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 활 갈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와 생활 갈등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에 따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생활 갈 등과 긴밀한 관계를 나타냈고, 남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 갈등 사이에 사회적 지지 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농촌 다문화가족 한국인 남편의 생활 갈등을 줄이기 위해 한국인 남편을 위한 다양한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