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development of Japanese Chinese character variations, and how they fit into the broader study of Chinese characte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rly Japanese kanji and modern Japanese writing systems, as well as the varying approaches of Chinese and Japanese scholars in studying Japanese kanji, we can propose a more fitting classification and naming method better suited to studying Chinese characters. To that end, we take the Wamyō Ruiju Shō (倭名類聚抄) as an example, exhaustively sorting out the situation of variant characters in the manuscript across different eras, and referring to other ancient Chinese dictionaries from the same period. This article introduces concepts like “inherited variants” and “Japan saved variants” to make studying these characters more comprehensive.
        5,400원
        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 phonetic study of foreign dialects is wide and deep, but the study on the history of researches on phonetic aspects of foreign dialects is rare. Even rarer is that on th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With the help of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this paper attempts an exhaustive analysis of the content, method and condition of research on the basis of academic researches on phonetic aspects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Thus, this work is expected to make clear the researches and problems in this field in China so as to facilitate quick references for other scholars.
        4,500원
        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外籍人士表示,學漢語最大的困難莫過於漢字(趙金銘,2006)。學漢字必須一個一個地學,一個一個地記。周健、尉萬傳(2004)提出漢字學習三種現象:1. 漢字學習與漢語學習的正相關顯著,漢字學得好的學生往往也是漢語成績好的;2.儘管反復書寫練習是留學生普遍認同的策略,但優秀學生更多地採用音義符歸納策略或整字策略。3.女生成績優於男生,日韓等漢字學習圈學生優於非漢字圈國家學生。 本研究試從教學語言方面探討。研究員曾在香港兩所幼兒園,分別以英語及粵語為主要的教學語言進行識字教學的研究。本文將探討這兩所幼兒園的非華語學童識字能力的表現。 
        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汉字字形记忆是中文初学者(特别是非汉字文化圈的学习者)必然面对的难题。目前,研究影响汉字字形记忆的文献还不足以指导教学实践。本研究即试图探讨在电脑多媒体辅助教学的情境中,不同的信息输入(如,真人读音和笔画顺序动画)对汉字字形记忆的影响。100 名在美国学习汉语的大学生参与了本实验。被试以班级为单位据所用电脑生词卡种类分四组:无读音无笔顺,有读音无笔顺,无读音有笔顺,以及有读音有笔顺。统计分析结果:有读音无笔顺组的学生对汉字的字形记忆成绩最理想,有读音有笔顺组的学生对汉字的字形记忆成绩最低。本研究试用双重编码理论 (Dual Coding Theory, 参见Paivio, 1986; Clark & Paivio, 1991) 讨论并解释了实验结果,并对多媒体在汉字教学中的作用进行了新的探讨。
        5.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대외한자교육의 상황과 그 속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외 한자교육은 이제 바닥을 벗어나 교육의 효율성을 증가시켜야 하며, 이 때 한자구 형학의 이론과 방법은 외래 학습자의 상황별 채택과 다양화, 즉 현대 과학정보기 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중국으로 온 학생들에게 한자의 형태와 구조의 의도, 구건 조합의 방식과 고금자의의 동이(同異) 등을 체감하게 하고 이를 통해 대외한자교육의 좋은 모범으로서 새로운 교육모델과 교육 방법을 제시해 줄 것으 로 생각한다. 동시에 한자와 중국어 어휘의 의미, 한자와 중국 문화의 밀접한 관계 를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5,200원
        6.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외한자교육은 근래 들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대외 한자교육과 연구 중 에는 아직도 “대외 한자교육의 목적”이 분명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대외 한자교 육은 일정 정도의 맹목성과 피동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문은 대외 한자 교육의 목적을 4가지 방면으로 설명하였다. (1)중국어의 상용 어휘 교육과 결합되 어, 학습자로 하여금 일정 수량의 한자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한자를 정확히 사용 함으로써 중국어의 구어와 문어 사용에 적용하게 한다. (2)한자의 구형적 특성을 이해하여 한자가 기록하고 있는 음이나 자의의 규칙을 이해하도록 한다. (3)정확 한 한자관과 스스로 한자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형성한다. (4)한자의 학습을 통해 한자의 형태 변화와 그 구형적 특성이 중국 사회의 오랜 역사 정보와 중국 한민족의 사물 인식과 사유 방식 등의 문화 요소를 이어 받아 생성된 것임을 이해 하고, 문화 교류의 능력을 함께 배양한다. 본문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위에 서 제시한 “대외 한자 교육의 목적”을 이론화하는 근거를 논하였다.
        4,900원
        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對外漢語初級階段的教學往往以提高口語交際能力為主,認字的認讀與書寫則不是重要環節。但是,近年 的研究顯示,如果能在初學漢語的階段認讀一些漢字則對學習者漢語能力的提高有一定幫助。有鑒於 此,對外漢語初級階段的漢字教學就應該受到應有的重視。本項研究以20名零起點的在港留學生為研究 物件,採用訪談、問卷、測試的方法對漢字認讀的教學策略進行研究。研究結果顯示:結合語境以及網 路練習進行漢字認讀教學的策略有助於提高學生學習漢語的興趣和口語交際能力,並且成為他們繼續學 習漢語的動機之一。
        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 characters may be taught both as components of the mother tongue as well as elements of certain foreign languages. This paper centres on understanding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writing of Han characters as an aspec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mastery of Han characters may be considered a key objective in mother-tongue as well as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China, Taiwan, Hong Kong and Japan, but is only considered as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Korea. However, the written forms taught in schools in the five above-mentioned locations differ markedly from one another. Japan has strict stipulations about written forms of Japanese; the governments of China, Taiwan and Hong Kong adhere to prescribed benchmarks on the written form of Han characters; while Korea only sets requirements on fonts. Although Hong Kong supposedly has a recommended benchmark, differences in written forms can be foun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This leads to problems in teaching and assessment since few teachers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difference in written forms of Han characters found in Hong Kong and elsewhere in South-East Asia. This paper looks at differences in the written forms of Han characters in the five regions mentioned above, and at some of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se differences.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