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2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일은 주마다 교육제도와 직업 체계에 차이가 있지만, 노인수발 관련 직업에 종사하려면 최고 연령기준(17세)과 최저 연령기준(45세∼50세)을 충족시켜야 하고 일정 수준의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노인수발 직업군에는 수발보조인력(Pflegehilfskraft), 노인수발보조사(Altenpflegehelfer), 노인수발사(Altenpflegerln), 전문수발사(Pflegefachmann) 등이 포함된다. 저마다 교육 수준과 처우도 다르지만, 현장 경력과 교육을 통한 직업상승의 기회가 보장된다. 2017년 “노인수발(요양) 직업에 관한 법”의 제정으로 요양보호사, 보건위생 및 환자간호사, 어린이환자 간호사의 교육과정을 통합하였다. 이에 2020년부터 3년제 통합교육이 시작되어 2023년부터는 이들을 ‘전문수발사’라 칭할 예정이다. 한국의 요양보호사는 초창기 독일의 노인요양보호사처럼 나이나 학력 등 자격요건에 제한을 두지 않고 지정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교육만 이수하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간호’와 다르고 자격요건이나 처우도 낮은 상황이어서 요양보호사로서의 직업적 자긍심을 갖기 어렵다. 본 연구는 독일의 노인수발(요양) 인력 양성 제도 변화를 분석하여 전문화와 다양화라는 두 가지 방향이 한국 장기요양보호 인력 양성제도에 어떤 정책적 시사점과 방안들이 있는지 제안하였다.
        7,000원
        22.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젠도르프의 헤른후트 공동체의 역사와 초기 모라비안 선교사들의 사역과 사역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헤른후트 공동체는 20여년간 226명의 모라비안 선교사를 세계 오지에 파송하여 광범위한 선교사역으로 괄목한 만한 업적을 남겼다. 모라비안 선교신학적의 특징은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의 강조, 성령의 역사에 대한 강조, 선교 중보기도, 공동체 선교, 타문화권 선교, 자비량 선교, 소외된 자들을 위한 선교, 토착화 선교 등이다. 모라비안 선교의 선교신학적 평가는 개신교 내에서 타문화권 선교의 각성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과 총체적 선교와 공동체 선교를 시행한 것이다. 모라비안 선교는 존 웨슬리와 월리암 케리에게 영향을 주어 근대 선교 세기의 부흥을 가져오 는데 일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교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모라비안 선교에도 사회 정의에 대한 무관심, 상황화의 결여의 문제점들도 있었 다. 모라비안 선교가 한국 교회의 선교의 발전을 위해 주는 의미는 단순한 선교 열정의 회복, 선교 중보기도, 공동체 선교와 연합 정신, 자비량 및 비즈니스 선교 등의 시행이다.
        9,000원
        25.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선교는 한반도의 과거사청산에 성패가 달려 있다. 남과 북의 과거사 이해는 상당한 차이가 있고, 서로 간 적대세력으로 존재함에 북한선교의 배경사가 상존하기 때문이다. 동유럽의 붕괴는 한반도 통일의 미래과제를 낳았다. 한반도의 통일 이후에 과거사 청산의 자료와 과제 그리고 방향을 제시해 주는 곳이 동유럽과 독일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과거사 청산은 군부와 경찰 그리고 정보당국의 비협조로 어려웠다. 그럼에도 독일은 앙케트위원회를 통해 가장 이상적으로 과거사를 정리하였다. 하지만 폴란드와 한국 근·현대사의 과거사 청산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집권자의 지속적인 압력과 과거사 청산의 방해공작이 어려움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범적인 두 나라의 과거사 청산을 연구함으로 한반도의 통일과 북한선교의 배경사가 되는 과거사청산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난 한반도의 과거사청산의 바탕으로 북한선교와 통일의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8,100원
        2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troduction The fashion business is known as one of the major industries that is suffering from rising concerns about the consumption of its product, which led to a reorganization of the fashion supply chain to become more sustainable three decades ago. The interest in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demand for sustainable marketing activities is gradually growing in the fashion industry due to the negative image and press it receives. Within the luxury fashion segment, the three main themes that are recognized to contribute to sustainability are exclusivity, craftmanship and limited production. However, luxury brands are increasingly shifting their attention and commitment towards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to be incorporated in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Yet, the majority of consumers has little understanding or misunderstands the concept of sustainable fashion and marketing, which leads to a gap between attitudes towards sustainability and actual behavior. As a result, fashion brands are trying to leverage their brand by making sustainability a key marketing strategy to raise awareness about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cultural issues. Extant research has not explored this recent trend to understand how consumers evaluate fashion brands with a sustainable marketing communica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luxury brand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uxury and mass fashion brands can utilize sustainable marketing contents in social media communication to reach their target group and enhance their equity with sustainability associations. Theoretical Development Associative network models of memory have served as a fundamental framework for a wide range of studies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transfer of associations. According to associative network theory, brand knowledge is represented in form of an associative network of memory nodes connected to each other. Nodes are activated when cues, such as advertising, are presented. Mere exposure to cues was shown to be sufficient to active associations and facilitate association transfer. While brands are continuously attempting to make use of associative power to leverage brand equity, extant research has provided compelling reasons to accept that association transfer can also result in brand dilution when a retrieval of conflicting or negative associations occur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luxury brands consisting of very unique associations and being different from mass brands in many regards, managing the brand’s associative network is a crucial task in order to send the right signals to consumers and maintain exclusivi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cial media communication of different sustainability dimensions affects brand attitude and how it ultimately impacts behavioral outcomes in an attempt to build brand equity for mass and luxury fashion brands. Method and Data The hypotheses are tested with 273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experiment. They were first asked to state their involvement with the category fashion. Subsequently,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a brand post either for the mass or luxury brand including claims related to one of the four sustainability dimensions or no claims for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 2 (brand: mass or luxury) x 5 (sustainability dimensions: none, 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factorial design. The measures that followed included attitudinal as well as behavioral constructs related to the brand, sustainability as well as social media use. Analysis of covariance is applied to test for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Summary of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social media communication of a sustainable brand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 findings indicat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ss and the luxury brand used for this study. The mass brand exhibits the potential to leverage associations with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owever, the results only reveal a marginally significant higher purchase intention when cultural sustainability is communicated compared to when the brand does not provide any sustainable associations. In contrast, the luxury brand suffers from significant brand dilution across all four sustainability dimensions resulting in a decline in purchase intention. Key Contribu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sustainability communication exerts a diverging influ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brand that is involved. This study suggests that mass brands are able to benefit from sustainability communication in an attempt to leverage brand equity. However, for a luxury brand this type of associations rather presents a liability that might dilute the br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brand managers. Since mass brands are currently increasing efforts into sustainable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might be a promising investment. However, luxury brands are advised to carefully manage the communication of salient content related to sustainability as it might harm the invaluable and unique associations inherent in a luxury brand.
        29.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시행중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중 주야간보호서비스에 대한 적합한 개선방안의 정책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중 주야간보호서비스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의 정책제안은 다음과 같다. 주야간보호서비스 문제점으로는 첫째, 대상자 선정에 있어 등급자별 차등 수가 문제, 둘째, 프로그램 서비스 질 문제, 셋째, 주야간보호 서비스 전달체계 문제 그리고 넷째, 재정의 안정적 확보 문제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첫째, 인건비와 운영비를 분리 지급, 둘째, 수가 정액제, 셋째 미이용일수 수가 적용 확대, 넷째 월 한도액 현실화, 다섯째, 불필요한 행정업무 축소, 여섯째 단독 센터 추가 인센티브 도입을 제안하였다.
        6,900원
        3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풍경식 ‘자연’에 펼쳐진 무대에서 연주되는 모든 음악으로 정의될 수 있는 19세기 독일 정원음악 은 도시의 산업화로 독일 도처에 정원이 들어서면서부터 탄생된다. 이에 시민들은 도심의 좁고 밀 집된 실내공간에서 이루지 못한 ‘감성적 활동’을 자연에서 음악활동으로 시도하여 정원음악이 보급 된다. 당시 가벼운 작품들로 구성된 정원음악으로는 심포니, 접속곡, 춤곡, 합창, 민요 등이 선호되 며 정원악기로는 플롯, 기타, 리라기타, 에올스하프, 하프, 타악기 그리고 관악기그룹 등이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즉흥적 표현들', 풍부한 음향 그리고 감상적 선율 등으로 정원음악의 다양한 특징들이 표현되어진다. 이런 정원음악은 19세기 독일 시민들의 생활공간으로 확장되어진 정원문화의 결과물 로 자연의 시각적 그리고 음악의 청각적 소통을 잠재로 한 개인의 ‘생활정서음악’이자 타인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오락음악’으로 사회적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19세기 독일 정원은 정원 그 자체의 의 미와 그에 따른 공간이 정원의 기능성을 높이면서 독일 시민들의 음악문화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 하여 자연이라는 공간에서 기대할 수 있는 ‘문화적 소리’를 담아낸 정원음악의 보편성을 성립시킨다.
        6,600원
        31.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에서의 사회통합 정책과 상호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았고 2000년 PISA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연구 이후, 사회통합의 새로운 동력을 찾고 모든 아동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진 취학 전 교육기관의 개혁,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상호문화교육 강화 정책 및 독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취학 전 아동들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정책과 상호문화교육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제 막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시사점들 중에서 중요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육기관은 일반 아동과 이주배경 아동을 위한 공동의 교육장소로서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회통합을 위한 장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되도록 한다. 둘째, 상호문화교육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인위적으로 꾸며진 상황이 아니라 실제상황에서 삶에 필요한 내용을 배울 수 있도록 실제상황에서 핵심 주제를 찾고 실생활과의 연관성 하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편성한다. 셋째, 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부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들 자신의 상황과 자녀교육의 전문가로서 대우해 줌으로써 주체적으로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다. 또한 다문화 부모들이 우리나라에서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이들을 지역사회에 통합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모들의 교육역량을 강화한다. 넷째, 유아기관 종사자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효과적인 상호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단 기간의 연수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내실있는 계속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들이 불공정과 불평등 상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과정에서 편견에 대한 의식화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반 편견교육을 실시한다.
        8,600원
        32.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In the contemporary business environment, fashion companies ought to cope with fundamental changes marketing communication has conventionally been performed. In response to shifting socio-demographic, environmental and market-related conditions, gradually new forms of fashion promotion have evolved (Fill, 2006). Nowadays, the global fashion industry experiences a reduced dependence on mass media advertising and an enlarged reliance on dialogic, relationship-oriented and digitally grounded communication methods (Chitty, Barker, Valos & Shimp, 2012). Against this backdrop, it is irrefutable that social media technologies have been remarkably transforming the ways in which modern-day fashion communication is practiced (Brennan & Schafer, 2010; Funk et al., 2016; Dillon, 2012; Saarinen, Tinnilä & Tseng, 2006). The competitive and widely saturated apparel market is facing an era of intensive proliferation of brands, an epoche of awe bombardment of advertisements, which makes a well-though-out communicational strategy ever more imperative, particularly in a cross-cultural context (Dillon, 2012). Yet, studies that analyze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in relation to traditional means of fashion communication are scarce. Even though, empirical introductions start being made to this explicit issue, considerable research deficiency subsists in the realm of cross-cultural fashion communication and social media optimization. Therefore, the rationale of this paper at hand is to contribute to balance out this research gap by providing evidence from four countries.
        4,000원
        33.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ers around the world are increasingly categorized by parallel needs and similar longings which lead to an ever-more homogeneous global market (Chan, Li, Diehl & Terlutter, 2007; van Ittersum & Wong, 2010). The acceleration of global consumer assemblies has concurred with the occurrence and upsurge of global citizens and consumer cultures (Gao, Mittal & Zhang, 2015). Yet, many researchers still claim that cultural differences have to be considered to grasp buying customs of global (fashion) consumers (Tahmid, 2012). The rationale of this paper is to balance out this research gap and to contribute to the current debate of global vs. local (Cleveland, Papadopoulos & Laroche, 2011; Askegaard, Arnould & Kjelgaard, 2005; Arnett, 2002) fashion consumer lifestyle segments with joint or divergent dominant apparel purchase motivations. Motivational factors influencing apparel purchase behavior can be separated into rational, emotional (perceptional) and patronage motives (Diamond, 2005). In the main, Sproles & Kendall´s consumer characteristics approach (1986) provided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the present study of fashion consumption motivations (fashion referred to as apparel & clothing), partially modified to suit the peculiarities that mold fashion consumption. The total of 23 motivations is made up of 15 multi-item scales and 8 single items that complement the fashion-specific range of motivational drivers. Especially referring to fashion purchase motivations, countries like Germany and Austria (despite their prosperous market economies) have so far been markedly neglected and even for France, although universally recognized as the leading country for fashion, in-depth research on motivational parameters shaping individual shopping activities is scarce. Likewise, investigations on American (a nation with intense spending capacity) fashion purchase motivations are extremely seldo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reefold and expressed through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important lifestyle cluster characterized by central fashion motivations? (2) Can representatives for each cluster be found in all countries? (3) Are there country specific differences which point to either global or local fashion consumer segments? The predefined set of fashion consumption motivations was put to test via an online quantitative consumer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elineated in three languages, using a translation-back translation procedure and was thoroughly pre-tested. Altogether, 693 non-student individuals (482 females, 211 males; from 18 to 87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e survey, equally distributed across countries, ages and gender among the four nations (despite the fact that quota sampling was used). Subjec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total of 23 fashion consumption motivations on a 7-point Likert scale.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of the established multi-item scales (with a CA value of mostly above .70). Measurement Invariance (Steenkamp & Baumgartner 1998) across the four countries was assessed. Subsequently, a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Ward algorithm, incorporating all 23 fashion consumption motivations to acqui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sumer segments. Five consumer clusters were extracted through Elbow criteria: (1) pragmatic, socially-conscious, brand loyals (n= 195), (2) sustainable fashion shoppers (n=127), (3) detached fashion disinterested (n=128), (4) passionate, luxury-status fashion-leaders (n= 107), and (5) experiential fashion adventure-seekers (n=136). Country-wise, significant differences are manifested between the consumer segments, X²(12, 693) = 69.12, p=.000. Findings portend that consumers in all research countries can be allocated to one of the five clusters. This condition leads to the clear presumption that global consumer fashion consumer segments do exist. Nonetheless, some national divergences become evident. Particularly if a fashion brand or company intends to address a target group affiliating to the consumer cluster 1: pragmatic, socially-conscious, brand loyals, cluster 2: sustainable fashion shoppers or cluster 3: experiential fashion adventure-seekers, national difference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arkedly, a pragmatic positioning appears to be most auspicious to target American and also French consumers whereas a sustainability and ethnocentric orientation seems to be substantially promising to reach German and also Austrian consumers, demonstrating that a complete standardization of a fashion firm´s positioning through the transnational appeal of dominant consumption motivations seems not yet to be advisable. Further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vailable upon request and will be addressed more thoroughly at the conference.
        3,000원
        3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op country of organic agriculture becomes nowadays well known Germany in terms of technical levels not only in the field of organic plant & animal production but also food processing & marketing. In this paper, 3 main factors which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evolution & development of German organic agriculture in Germany were discussed.First, German Universities such as University of Bonn, University of Giessen, and Hohenheim University established Dept of Organic Agriculture and offers the organic agriculture major in the Master & Ph D course, while University of Kassel established College of Organic Agriculture and offers 23 major courses in various organic agriculture sectors. Furthermore most agriculture colleges in Germany offers some organic agriculture subjects to the students, because organic agriculture is one of the emerging industri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farmers and consumers pay a great attention. There are 50 universities which offer agriculture courses in Korea, nevertheless none of Korean university offers Dept of Organic Agriculture. Second, German federal government established National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in Trenthorst and tried to develop new scientific technology and skills for organic plant and animal production. And these new technical information was transferred to organic farmers through Demonstration Farm which is located in more than 200 sites. Third, Organic Agriculture Extension Service Center such as Kompetenzzentrum Oekolandbau Niedersachen (KÖN) was established in each states from 2002. These Organic Centers offer various advices for organic farmers verified scientifically or and the technical package for conversion farmer too.
        4,000원
        3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조달에 있어 하도급에 관한 부당·위법한 행태들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EU의 정부조달법제 속에서 하도급 공정화에 관한 규정과 그 제도적 의의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펴 우리 법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언에서는 우리 나라 정부조달에 관한 의의와 그에 비례하여 자주 발생하는 하도급 불공 정의 실태를 살피고, 연구의 기본 방향을 개관하였다. Chapter II에서는 EU 정부조달법상 기본원리와 전체 EU 차원의 체계를 살피고, EU 정부 조달규정과 WTO 하의 GPA와의 관계를 개관하였다. Chapter III에서는 EU 정부조달법의 세 기둥이 되는 2004/18/EG, 2004/17/EG 그리고 이 들의 권리구제에 관한 지침(2007/66/EG)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Chapter IV에서는 이들 세 개의 지침상 하도급으로 인한 위법·부당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제도적 내용들을 분석하고, 마지막 Chapter에서 는 각 Chapter의 핵심을 요약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제시한 주요 내용 은 Chapter IV에서 제시되었는데, 첫째 EU법에서는 공적인 손(공공발주 자)이 낙찰자와 하도급자 간의 사법적 하도급 법률관계에 개입하여 양자 간의 불공정 관계를 예방 내지 시정한다는 점이다. 둘째, 낙찰자가 하도 급을 할 의도가 있는 경우, 공공발주자와 체결하는 계약서에 하도급의 비율을 명기하고, 그 이외 부분에 대해서는 낙찰자가 직접시공하는 방식 을 취한다는 것이다.
        3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assic rationalist architecture cam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n architectural discourse in the 1970s. But it has declined since the death of its most representative architects Aldo Rossi and O. M. Ungers. However, the phenomenon to be noted is that a new momentum was brought to the German architectural scene through some remarkable achievements by the disciples of Ungers after 2000. This study aims to read this phenomenon on the topography of german architecture and to catch out what potential it has to create balance in the international architectural debate. It is not the aim to analyze a single architect in detail, but to compare some important architects like Hans Kollhoff, Max Dudler, Eun-Young Yi and Uwe Schröder. And further the study will try to give an overview of how far this phenomenon can change the topography of the German architectural scene. The buildings that have been examined here are Daimler Chrysler Building, Grimm Zentrum, Stuttgart City Library, and Haus Hundertach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ome architects continue the attitude and the architectural languages of O. M. Ungers and develope their own unique architecture. And this phenomenon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todays architectural debate on a global scale.
        6,300원
        3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글은 최근 한국 상법학계에서의 가장 뜨거운 주제 중 하나인 의결 권규제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주식의 본질론은 주식회사의 본질론과도 맥을 같이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주식사원권론이 통 설로 되어 있는 탓인지, 다른 논의를 찾아볼 수 없으며, 1주1의결권의 원칙이 상법상 강행규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독일과 일본의 경우에는 19세기부터 주식의 성질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고, 일본은 사실상 1주1의결권 원칙을 포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복수의결권주식이 적대적 인수합병에 유용하다는 점 때문에 복수 의결권 내지 차등의결권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학계의 분위기는 1주1의결권 원칙을 어떠한 생채기도 내어서는 안 되는 성역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는 불가능한 것인가? 일본에서 주장 되고 있는 정책설은 주식의 본질론을 전혀 염두에 두지 않은 채, 1주1의 결권원칙은 정책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회사의 이익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배분규제의 하나일 뿐이라고 해석함으로써 회사의 이익극대화를 위 하여 또는 의결권 행사의 남용방지를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동 원칙을 고수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재산권은 정당한 사 유가 있는 경우, 그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결권이 가지는 사익성, 즉 재산권적 성질을 강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공익을 위한 차별은 정 당화 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의결권의 인격권적 성질을 배제하고 주식의 순재산권적 성질을 강조했던 주식사원권론 하에서도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는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주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원권부인론은 공익권의 비이기적 성격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결국 비이기적인 성격을 갖 는다는 것은 더 큰 이익을 위해 제한이 가능하다는 해석이 가능하고 따라 서 사원권부인론에 따르더라도 회사의 보다 더 큰 이익을 위해 차별적인 의결권을 부여하는 것이 주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결론적으로 굳이 정책설을 취할 필요도 없이 주식의 본질을 둘러싼 학 설들은 어느 학설을 취하더라도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가 불가능한 것 은 아니다.
        3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relating to Korean fast food among students of the College of Hotel management in Germany and utilize the analyzed data as baseline data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 total of 74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after cooking and tasting seven different kinds of Korean dishes themselves. Exactly 97.3% of students reported that even though they never tried Korean food before, that Korean food is uncomplicated and interesting to cook, very healthy with abundant vegetables and rice, and suits their palate. Regarding the seven dishes of Korean food, the students stated that Gimbab (김밥) is most suitable for fast food and sorted Japchebab (잡채밥), Gunmandu (군만두), Bulgogidubbab (불고기덮밥), Makjeok (맥적), Bibibguksu (비 빔국수), and Musaengche (무생채), in descending order,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Gimbab (김밥) and Gunmandu (군만두) both received the highest scores for being the most preferred Korean food. As students indicated Korean food as a dish they would like to cook again, recommend to friends and familyies, and buy if sold in Germany, this survey suggests that Korean food can be a competitive fast food in Germany.
        4,000원
        40.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ior research considers culture to be a prime determinant of consumers’ attitudes and behavior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s shape consumption behavior of consumers from the same heritage culture. The present research addresses this knowledge gap by examining cultural orientation and relevant consumer outcomes of immigrant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FSU) in Israel and Germany—desire for unique products and fashion consciousness. The results reveal differences in the cultural orientations of those immigrants in Israel and Germany as well as different relational patterns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the proposed consumer outcom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