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low-cost chitosan-containing polysaccharide (CP) composite ZIF-8/CP was designed and prepared based on the difficulty of separating the traditional adsorbent from the water phase. ZIF-8/CP was synthesized through in-situ growth approach. The physical, chemical and structure properties of ZIF-8/CP were determined through a series of characterization methods, including SEM, FT-IR and PXRD. The effects of touch time, pH, temperature, and coexisting ions on adsorption were assessed. In addition, kinetics, isotherms of adsorption and thermodynamics were examined. The data of isotherms for adsorption indicated that the adsorption of ZIF-8/CP on MG was similar to the Langmuir model, with a maximum adsorption capacity of 1428.57 mg/g. Moreover, the kinetic parameters were consistent with the pseudo- 2nd-order equation. Thermodynamic studies (ΔG < 0, ΔH > 0) demonstrated a heat-absorbing and spontaneous adsorption process. Our study reveals that ZIF-8/CP has good adsorption properties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4,2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an optimal fertilization method of Chlorella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growth of green pepper. Chlorella fusca strain was propaga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As for treatment, drenching method (DM), foliar fertilization (FF), drench and foliar fertilization combination (DM + FF), and untreated control (CO) were used. Plant height of green pepper was higher in the CO treatment than in chlorella fertilized treatments. Chlorella fertilization inhibited stem growth of green pepper. Chlorophyll contents of green pepper leaves were higher in the DM + FF treatment. Yields were the higher in DM and DM + FF treatments than in other treatments. Vitamin C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DM + FF treat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Chlorella fertilization could increase the growth, yield, and bioactive substance content of green pepper. The Chlorella fertilization method could be applied to other crops. By applying this technology to the farm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income and supply healthy and safe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to consumers.
        4,000원
        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폐쇄형 식물공장에서 시금치 수경재배시 세가지의 인공광이 생육, 광합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가지 광 처리구는 적색 (660nm), 청색 (450nm) 및 녹색 (550nm) LED를 사용하여, R660 / B450 = 4/1 (RBL), R660 / B450 / G550 = 5/2/3 (WWL); R660 / B450 / G550 = 1/1/1 (WL) 비율로 혼합하였고, 동일한 광도로 설정하였다 (PPFD = 190 μmol‧m-2 ‧s-1). 생육조사결과 초장, 엽수는 WL이 가장 적었다. SPAD, 순광합성율, Fv/Fm, LAI, 근권부 생육은 RBL이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줄기, 잎, 뿌리의 생체중, 뿌리의 건물중은 세가지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조적으로 WL의 칼륨의 함량은 WWL과 RBL 가운데 가장 높았지만, 반면 칼륨과 철의 함량은 RBL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C 함량도 시험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질소와 옥살산 함량은 WL이 가장 높았고, 용해성 고체와 비타민C 함량은 RBL이 가장 높았다. 옥살산, 질소 함량은 WWL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RBL의 옥살산 함량은 WL와 WWL과 차이가 없었다. 모든 처리구에서 Salmonella, E.coli.는 감염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RBL이 시금치의 생육에 적합하지만, 적색, 청색과 적정하게 혼합된 녹색광은 시금치의 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4,000원
        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breed a very early maturing varie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n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2015-2017. The new variety of Italian ryegrass, ‘Green call 2ho’ is a diploid variety with green in leaf color and has semi-erect growth habit in late autumn and erect growth habit in early spring, ‘Green call 2ho’ was in heading date as a early-maturing variety April 24. Also ‘Green call 2ho’ was narrower by 2 mm in flag leaf width, longer by 2.5 cm in flag leaf length and shorter by 3 cm in plant height than those of the control variety, ‘Florida 80’, respectively. ‘Green call 2ho’ was also thicker by 0.33 mm in stem thickness and strong in winter hardness. Dry matter (DM) yield (11,688 kg/ha) of ‘Green call 2ho’ was 7% higher than that of ‘Florida 80’.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rude protein (CP)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Green call 2ho’ were 61.3 %, 9.8 % and 98.2, respectively which are 2.6, 0.6, and 8.4 %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of ‘Florida 80’, respectively.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f ‘Green call 2ho’ were 34.9 and 58.5 % which are 3.3 and 2.7 % lower than those of ‘Florida 80’, respectively.
        4,000원
        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추위에 강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수행되었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그린콜은 2배체 작물로 엽색은 녹색이며, 월동전 초형은 반직립형, 봄의 초형은 직립형이다. 그린콜은 4월 25일경에 출수하는 극조생종 품종이고 지엽폭이 8 mm, 지엽길이는 24.9 cm 이며, 출수기의 초장은 96 cm로 플로리다 80호 보다 5 cm 정도 짧다. 줄기 두께는 플로리다80호 보다 0.14 mm 굵고 이삭 길이는 플로리다 80호와 대등하다. 그린콜의 건물수량은 11,592 kg/ha로서 대조품종인 플로리다 80호에 비하여 약간 높았다. 상대적 사료가치는 그린콜이 96.7인데 비해 수입종인 플로리다 80호는 89.8로 다소 높고 가소화양분총량 (TDN)이 60.8 %로서 플로리다 80호에 비해 2.1% 높았고, 산성세제불용섬유 (ADF)와 중성세제불용섬유 (NDF)는 각각 35.5 및 58.9 %로서 대조 품종 보다 약간 낮았다.
        4,000원
        1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청과용 그린 파파야 무가온 생산시 육묘기간이 생육 및 수량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Red lady’ 품종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육묘기간은 3 개월부터 13개월 까지 6처리로 하였으며 2015년 4월 15 일 무가온 하우스내에 정식하였다. 육묘기간에 따른 정식 전 파파야 묘의 초장, 마디수, 생체중 등은 육묘기간이 긴 묘일수록 높았으며, 13개월 육묘에서 가장 생육이 좋았다. 첫 수확일수는 육묘기간이 짧아질수록 길어졌으며 13개월 육묘에서 137일(8월 18일)이 소요되었고 3개월 육묘에서 184일(10월 2일)로 가장 길었다. 과일특성은 육묘기간이 짧았던 3개월 육묘에서 과장과 과경이 가장 작았으나 나머지 처리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량은 육묘기간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상품수량 역시 육묘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13개월 육묘에서 가장 많았으며(3,172kg), 다음이 11개월(2,247kg) 및 9개월(2,357kg) 이었다. 7개월과 5개월에서 각각 1,942kg 및 1,787kg 이었으며, 3개월 육묘에서 1,443kg 으로 가장 적었다. 특히 7개월 육묘 이하에서 상품수량은 1,942kg 이하로 크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 청과용 그린 파파야 무가온하우스 재배시 수확기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11개월 육묘가 유리하겠으나, 경영비 등을 고려한다면 9개월 정도 육묘가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나무 표준수확량을 산출하기 위해 하동 차나무재배 지역별 재배방법 및 환경적 요인에 따른 고급수 제차 생산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급수제차 생산시기별 생산량을 조사하여 차나무 표준수확량을 산출 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은 고급수제차 재배지역(정금리, 입석리)과 티백 혼용 재배지 역(부춘리)을 선정 후 생육특성 및 수확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급수제차 수확 위주의 차밭 지역인 정금리와 입석리에서 신초장, 엽장, 엽폭 그리고 수확량이 높은 편이었다. 3개 지점의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정금리 지역(2,408.3kg/1ha), 부춘리 지역(752.2kg/1ha) 그리고, 입석리 지역(1,224.1kg/1ha) 순 으로 수확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고급 수제차 생산을 위한 차밭 중에서도 비배관리와 수형관 리를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차밭의 경우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차밭과 비교 하였을 때 수확량에 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 우전 채엽시기 보다 세작 채엽시기에 생산량에서 차이가 많 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체적으로 관리작업이 잘 이루어진 정금리 차밭이 입석리 차밭보다 고급수제차 수확량이 약 1.5배 높게 나타났으며, 티백 원료생산 목적의 부춘리보다 2배로 높게 나타났 다. 2014년 3지역의 차나무 수확량은 1,461.6kg/1ha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통해 차나무 재 배지역의 재배방법 및 환경적 요인에 따라 고급수제차 생산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200원
        14.
        2015.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establishing and overseeing ASIAPARC Federation in March of 2016 in Jeju Island Korea, it will be essential for us to learn aspiration, network, purpose, values, goals and strategies from 42 years experiences of EUROPARC Federation as our partnership organization such as practicing exchange programs and joint conferences. We also believe we can add one more principle, ‘Initiating Island Resilience’, into the three principles of the Jeju Declaration of 1) Scaling up Conservation, 2) Nature-based Solutions, and 3) Sustainability in Action through the opening of a "Green Growth Organization" of the Jeju Declaration of WCC 2012.
        4,000원
        1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관리형 옥상녹화에서 보수성을 높일 수 있는 식재지반을 조성하기 위해 친수성 중합체인 hydrophilic polymer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Hydrophilic polymer의 농도는 각각 인공배합토 100kg을 기준으로 0%(대조구), 1.0%, 2.5%, 5.0%, 10% 등 총 5가지로 구성하였다. 가로 1.0m, 세로 1.0m, 높이 0.3m로 자체 제작한 실험구에 2013년 5월 20일에 각각 10반복의 식물을 정식하였으며 식재기반 내 토양용적수분함량을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현재 이용되는 수종인 눈향나무, 황금줄사철나무 등의 목본류와 잠재종으로 가능성이 높은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등의 사초류를 중심으로 식물생육을 측정하였다. 토양의 hydrophilic polymer의 농도에 따른 토양용적수분 함량은 강수량과 상관없이 2.5%이상의 hydrophilic polymer 처리구에서 97%~98%로, 100%에 가까운 토양용적수분 함량을 보였다. 강우 후 27일 동안 토양용적수분함량이 대조구에서 50%~60%를 보인 반면, 1.0%의 hydrophilic polymer 처리구에서는 70%~80%로 약 20%가 증가되었다. 식물생육을 조사한 결과, 황금줄사철나무와 통보리사초는 2.5% 처리구에서 가장 생육이 좋았고, 눈향나무는 1.0% 처리구, 좀보리사초는 0%(대조구)에서 생육상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hydrophilic polymer 1.0% 처리구와 2.5% 처리구에서는 모든 식물이 생존하였으나 5.0%와 10.0%의 처리구에서는 식재 후 3개월 이내에 모두 고사하였다. 이는 hydrophilic polymer 배합비는 수종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함을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4,000원
        16.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논토양에서 돈분액비의 시용이 화본과 및 두과 녹비작물의 생육과 양분공급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화본과 녹비작물과 두과 녹비작물을 파종하여 돈분액비 시용유무에 따라 biomass 및 양분공급량을 조사하였다. 파종된 화본과 녹비작물은 호밀(Secale cereale L.)과 청보리(Hordeum vulgare L.)이었으며, 두과 녹비작물은 자운영(Astragalus sinicus L.)과 헤어리베치(Vicia villosa roth)이었다. 돈분액비를 투입함에 따라 녹비작물의 biomass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돈분액비 무시용구 대비 돈분액비 시용구의 biomass 증가율은 청보리(154%) > 호밀(138%) > 헤어리베치(45%) > 자운영(41%)순으로 높았다. 녹비작물의 양분공급량도 biomass와 마찬가지로 돈분액비를 투입함에 따라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돈분액비 무시용구 대비 돈분액비 시용구의 N, P2O5 및 K2O 공급량은 각각 205∼220, 109∼197 및 166∼184% 범위이었다. 돈분액비를 투입함에 따른 녹비작물의 biomass와 양분공급량 증가율은 전반적으로 두과 녹비작물보다 화본과 녹비작물에서 매우 우수한 경향이었다. 특히, 화본과 녹비작물의 증가된 양분공급량은 두과 녹비작물에 비해 약 3배 정도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돈분액비 시용에 따른 양분이용효율은 화본과 녹비작물(호밀 및 청보리)이 두과 녹비작물(자운영 및 헤어리베치)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green growth policies of Korean public corporations and proposes some potential improvement ideas. A set of twenty global green trends are first elicited by using classified macro trends of environmental changes. The green trends are categorized into four key issues based on whic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efforts are compar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reports of Korean public corporations are then throughly analyz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ir strategic green tasks in relevant to the global green trends. Finally, we suggest some potential government policies for enhancing the existing green growth businesses of public corporations.
        4,000원
        18.
        2013.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focu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upon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green growth businesses of public corporations and the strategic problems. First, by using classified macro trends of global environmental change, we will examine the related 20 green trends. Green trends are synthesized with four key issues and we will look closely these issues of home and abroad. we analyze the strategic tasks outlined in management performance reports 2011 of public corporations and will look at its relation to global green tren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green growth strategy which is required for public corporations.
        4,000원
        1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정수역으로 알려져 있던 북한강 수계에서 저수온기에 우점한 남조류 Anabaena spiroides 현존량과 이취미 물질인 지오스민 (geosmin)에 대해 조사하고 환 경인자와의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A. spiroides의 증식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1월 말에 A. spiroides가 과다증식하였는데 출현지역은 의암호 내의 공 지천 유입부 부터 하류의 팔당호까지 그 범위가 넓고 하 류로 확산되는 특성을 보였다. 저수온기에 수온 상승과 체류시간 증가 등의 물리학적 수환경 변화가 남조류 A. spiroides의 과다증식에 영향을 미쳤다. A. spiroides 현존 량은 팔당호에서 11,325 cells mL-1로 최대증식을 보였으 며, 수온이 4􀆆C 이하로 내려가면서 A. spiroides 현존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수환경 요인 중에서 수온 하강이 A. spiroides 현존량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자였다. 남 조류의 대사물질로 이취미의 원인물질인 Geosmin은 팔 당호에서 최대 1,640 ng L-1 농도를 나타냈다. 북한강 수 계에서 Geosmin 농도는 A. spiroides와 매우 유의한 상 관관계를 보여 A. spiroides에 의해 이취미가 유발되었음 을 시사하였다.
        4,000원
        2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의 주요해충인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Massee)의 조기 예찰을 위한 새로운 예찰법 개발에 관한 것이다. 토마토 녹응애는 4월경 최초 발생하여 토마토의 아래 줄기부터 감염시키며 엽병을 타고 잎으로 이동한다. 발생이 심할 경우 줄기는 다소 광택이 나면서 녹이 낀 색을 보이며, 잎은 은빛을 띠다가 점차 녹슨 형태를 띠고 잎 끝이 말린다. 성숙된 과실보다 푸른색을 띠는 시기에 피해를 주며 과실에 피해가 보일 경우는 밀도가 상당히 높아야 하기 때문에 과실 피해를 보기란 쉽지 않다. 녹색의 라벨스티커에서 최초로 토마토녹응애를 찾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7.0초로 가장 짧았으며 청색, 주황색, 백색의 경우 각각 17.1, 19.8, 12.3초의 시간이 걸렸다. 투과현미경에 측광을 주었을 때 가장 관찰이 용이하였다. 토마토녹응애는 4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5월 중순 이후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6월 중하순경 최대 발생 양상을 보이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6월 하순 이후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마토녹응애 접종 후 개체군 증가를 보았을 때, 접종 20일 후 하단부 줄기에서 최초로 관찰되었고 60일 후에는 상단부 줄기에서도 관찰되었다. 접종 후 최대의 발생량을 보이는 시기는 줄기의 경우 40일부터 60일까지였으며 잎의 경우는 약 80일 후였다. 라벨스티커는 토마토재배지에서 토마토녹응애의 발생을 예찰하기에 충분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