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일로올리고당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표준 화된 시험법을 마련하여 다양한 제형의 제품에 적용하고 자 하였다. 최적화된 시험법을 마련하기 위해 초음파 처 리 시간, 산 가수분해 시간 및 농도를 검토하여 전처리 방 법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HPLC-UVD를 이용하여 시료 중 의 자일로올리고당을 분석하였다. 분석 시 1-phenyl-3- methyl-5-pyrazoline (PMP)으로 유도체화하고, photo diode array (PDA)가 장착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Nanospace SI-2)를 사용하였으며, 칼럼은 Cadenza C18 (4.6 × 250 mm, 3 μm)이었으며, 이동상은 pH를 6.0으 로 맞춘 20 mM 인산완충용액과 아세토니트릴을 78:22 비 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0.5 mL/min 유속으로 254 nm 로 하여 분석하였다. 건강기능식품 등 시험법 마련 표준 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밸리데이션을 수행하고, 표준화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유통 중인 건강기능식품 대 상 품목에 대해 시험법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표준화 된 시험법은 자일로올리고당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품질 관리에 대한 신뢰성을 더 높일 것으로 본다.
        4,200원
        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식품첨가물 분석법에서 합으로써 분 석되는 락색소를 laccaic acid A, B, C, E 4가지 성분으로 분류하고 개별적으로 정량 할 수 있는 분석법을 확립하였 다. Natural red 25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비슷한 laccaic acid A와 B를 1차적으로 분취한 후 2차로 A와 B를 분리 했다. 같은 방식으로 C와 D를 1차, 2차에 걸쳐 각각의 개 별 표준품으로 사용하였다. 락색소 불검출 시료 3가지 시료 (햄, 토마토 주스, 고추장)를 확보하여 0.05-107.2 μg/mL 범 위에서 결정계수(r2) 0.995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3 가지 시료에서 정밀도와 정확성을 측정한 결과, 일내 정 밀도는 0.2-12.3%, 정확도는 90.6-112.7% 범위 내에서 확인 되었으며 일간 정밀도는 0.3-13.3%, 정확도는 90.3-113.0% 범위내로 확인 되었다. 락색소를 사용하는 식품과 사용 금 지 식품에 대해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사용 가능 식품에서 는 91.6-114.9% 범위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사용 불가 식품 의 경우 92.5-113.5% 범위의 회수율을 보였다. 락색소의 검 출 한계는 3가지 시료에서 검출한계 0.01-0.15 μg/mL, 정량 한계 0.02-0.47 μg/mL로 확인되었다. 락색소의 4가지 성분중 laccaic acid A와 C에 대한 측정 불확도를 산출한 결과, laccaic acid A의 측정 불확도는 13.65±0.39 mg/kg(신뢰수준 95%, K=2), laccaic acid C의 측정 불확도는 4.19±0.39 mg/kg(신뢰 수준 95%, K=2)로 비교적 낮은 측정불확도 값을 산출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 락색소의 개별 분석 과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해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법을 확립으로 식품 중 잔류물질 기준규격 설정 및 관리에 참 고 자료가 될 수 있고, 향후 매트릭스 효과에 따른 laccaic acid 개별 분석과 개별 활성 및 독성시험 연구의 근거 지 표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300원
        3.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rapid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and optimized to determine gluten content in bread. Existing gluten quantification methods were inappropriate for bread with high gluten content because they were optimized to analyze shallow gluten content.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first method of quantifying the gluten content in bread was developed by modifying the gluten analysis method in cereal grains. Heat-stable gliadin was selectively quantified for gluten quantification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liadin peaks were separated using an Agilent SB-C8 column.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ere measured for validation. The calibration curve of gliadin had high linearity (R2 = 0.9996), and LOD and LOQ were 0.03 and 0.10 g/100 g,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2.49% and 1.54%, respectively. Recovery ranged from 90.73% to 93.87%, with RSD values less than 2.06%.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LC method for quantifying gluten in bakery products is efficient, reliable, and reproducible.
        4,000원
        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camelliaside B의 표준정량화를 위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DAD)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동백나무 종자에 함유된 주요화합물은 MS/MS 분석, UV 흡광도, 화합물의 유지시간 등을 통해 얻은 결과에 바탕을 두어 camelliaside B를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의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Camelliaside B의 HPLC 분석법에 대한 특이성, 정확성, 정밀도 및 정량한계 등을 검증하였다. Camelliaside B 분석을 위해 표준화된 HPLC 분석법은 0.99% 이상의 상관계수(R2)로 높은 선형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Camelliaside B의 회수율은 100.42-108.00%였으며, 검출한계 (LOD)와 정량한계 (LOQ)는 각각 0.084㎍/㎖, 0.254㎍/㎖였다. 동백나 무 종자 지표물질 (camelliaside B)의 일중 정밀도는 각각 0.09-0.16 RSD였으며, 일간정밀도는 0.123 RSD였다. 표준화된 분석법으로 지역별로 수집한 동백나무 종자의 camelliaside B의 함량은 0.279-2.05㎎/g 으로 다양하였다. HPLC 분석법으로 확인한 모든 매개변수는 기능성 원료 인정을 위한 제출자료 작성 기준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HPLC 분석법은 동백나무 종자 추출물 유래 건강 관련 기능성 제품 또는 의약품 개발의 첫 단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호로파종자식이섬유 중 4-hydroxy- L-isoleucine에 대한 분석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최적분석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시료 채취량, 전처리 용매 및 이동 상 용매 조건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HPLC-PDA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4-hydroxy-L-isoleucine를 분석하였다. 분석 시 사용한 컬럼은 Capcell Pack UG120 C18 (Shiseido, 4.6×250 mm, 5 μm)이며, 유도체 시약으로 OPA를 선정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에 대해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 등의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5- 100 μg/mL 농도에서 결정계수(R2) 0.9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수율은 91.7-96.4%이었고, 정 밀성은 0.5-1.1%의 상대표준편차(%RSD)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은 호로파종자추출물 중 4-hydroxy-L-isoleucine 분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착색료로 사용허가 되어 있지만 아직 분석법이 개발되지 않은 철클로로필린나트륨의 최적 분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철클로로 필린나트륨은 HPLC-PDA (390 nm), Inertsil ODS-2 column, 1% 초산을 함유한 메탄올-물(80:20, v/v)을 이동 상으로 분석할 때 가장 우수한 분리능과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UPLC/MS를 통하여 철클로로필린나트륨의 주유 도체를 확인한 결과 철 클로린 e4(Fe-chlorin e4)와 철 이소클로린 e4(Fe-isochlorin e4)가 피크의 주요 구성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최적 분석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 회수율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량선의 R2은 0.9999, 검출한계는 0.1 mg/kg, 정량한계는 0.3 mg/kg로 나타나 직선성, 검출 한계, 정량한계가 모두 우수하였다. 정확도는 일내분석 93.9~100.8%, 일간분석 99.3~104.95%로 나타났고, 정밀 도는 일내분석 2.0~5.4%, 일간분석 4.6~7.7%로 나타났 다. 회수율은 수용성 식품(캔디)과 지용성 식품(샐러드드 레싱)에서 각각 93.3~104.4%(RSD 0.3~4.3%)과 82.6 ~114.9%(RSD 1.2~2.0%)로 나타나 국제표준화 기구(ISO) 의 기준에 적합하였다. 본 연구는 식품 중 함유된 철클 로로필린나트륨을 분석하고 그 유도체를 확인한 결과로 향후 공인분석 방법으로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reliable and selectiv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io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ntiprotozoals (selamectin, doramectin and fenbendazol) has been described. HPLC separation of active constituents was achieved on various C18 columns using methanol, acetonitrile, 0.1% phosphoric acid, acetic acid and distilled water as mobile phase, with UV detection at 243, 245 and 224 nm. The analytical procedure has been successfully identified. The method was validated for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repeatability and intermediated precision. All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R2 of 0.9999) within the concentrations ranges (0~200, 0~200 and 50~400 μg/mL). The accuracy and repeatability showed 99%, 100%, 100% and below 0.4%, 0.5%, 0.6%, respectively. The precision tests conducted for 3 days in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with standard also revealed below 3.5%, 2.4% and 2.7%. The method has also been applied successfully to monitor post-market 5 veterinary products of which active ingredient are selamectin, doramectin and fenbendazol. There were no non-compliant products.
        3,000원
        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xathiapiprolin은 병원균의 포자형성과 효모성장을 저해하여 노균병을 방제하는 piperidinyl thiazole isoxazoline 계열 살균제로 2015년 국내 사용등록이 요청된 신규약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oxathiapiprolin의 신규등록과 관련해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 마련이 요구되어 농산물 중 잔류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농산물 중 oxathiapiprolin은 acetonitrile로 추출한 뒤 분배효율 향상을 위해 1 N sodium hydroxide (NaOH)를 이용해 염기성으로 조절하여 비해리상태로 만든 뒤 dichloromethane으로 액액분배하였으며 분배추출액은 silica SPE 카트리지로 정제한 뒤 HPLC-UVD로 분석하였다. 개발된 분석법의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는 각각 0.003, 0.01 mg/kg이었고, 대표농산물 5종(고추, 감귤, 감자, 대두, 현미) 중 oxathiapiprolin의 평균 회수율은 86.7-112.7%(상대표준편차, RSD ≤ 10%)으로 나타났다. 이는 잔류물 분석에 관한 CODEX 가이드라인 (CAC/GL 40)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분석법은 국내외 유통 농산물 중 oxathiapiprolin의 안전평가를 위한 잔류량 적부 판정에 있어 공정시험법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꾸라지에서의 Nitrofuran계 대사물질인3-amino-2-oxazolidone (AOZ), 5-morpholinomethyl-3-amino-2-oxazolidinone (AMOZ), 1-ammino-hydantoin (AHD)와 semicarbazide (SEM)의 잔류량을 검사하기 위해HPLC-MS/MS를 이용한 신속한 정량법이 개발되었다. 2-nitrobenzaldehyde (2-NBA)를 이용해 50℃에서 1시간 동안 산 가수분해와 유도체화 과정을 거친 뒤에, 액-액 분배로 정제와 추출을 하였다. 회수율은 음성시료에 3가지 농도 0.5, 1.0, 2.0 μg/kg의 표준액을 첨가하여 평가하였고 평균 회수율은 75.1-108.1% 이었다. 정밀성(%RSD)은 일내 8.7% 이하, 일간 8.5% 이하였다. 직선성은 NBAOZ는 0.2-20 μg/Kg, NBAMOZ는 0.8-20 μg/Kg, NBAHD는 0.2-20 μg/Kg, NBSEM 는 0.1-20 μg/Kg 범위에서 모두 상관계수 0.99이상이었다. 검출한계(LOD)는 NBAOZ 0.06 μg/Kg, NBAMOZ 0.24 μg/Kg, NBAHD 0.06 μg/Kg, NBSEM 0.03 μg/Kg이었고, 정량한계(LOQ)는 NBAOZ 0.2 μg/Kg, NBAMOZ 0.8 μg/Kg, NBAHD 0.2 μg/Kg, NBSEM 0.1 μg/Kg 이었다. 가수분해 및 유도체화 소요시간을 1시간으로 줄여 만든 신속 간편한 이 시험법이미꾸라지 중 nitrofuran metabolites잔류량 분석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산물 중에 있는 제초제 saflufenacil의 잔류량을 검사 하기 위해 HPLC-UVD와 LC-MS를 이용한 정확하고 감도가 좋은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Saflufenacil 잔류물은 acetone 추출, dichloromethane을 이용한 액-액 분배, silica 와 carbon 카트리지 정제를 거쳐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검량선 작성을 위해 0.1~5.0 μgmL−1 범위로 표준품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상관계수(r2)는 0.999로 높은 직선성을 보였다. 0.02~0.5 mg kg−1 처리수준으로 회수율을 실험한 결 과는 80.5~110.2% 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10% 미만이었다. 분석방법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5와 0.02 mg L−1 이었다. 확립된 시험법으로 본청, 부산지방식품의 약품안전청과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실험실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 들을 통해 확립된 시험법은 농산물 중 saflufenacil의 잔류 량 분석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socrati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for routine analysis of deoxynivalenol in noodles was validated and estimate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Noodles (dried noodle and ramyeon) were analyzed by HPLC-ultraviolet detection using immunoaffinity column for clean-up. The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ere 7.5 μg/kg and 18.8 μg/kg,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 showed a good linear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r² of 0.9999 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20 to 500 μg/kg. Recoveries and Repeatabilities expressed as coefficients of variation (CV) spiked with 200 and 500 μg/kg were 82 ± 2.7% and 87 ± 1.3% in dried noodle, and 97 ± 1.6% and 91 ± 12.0% in ramyeon, respectively. The uncertainty sources in measurement process were identified as sample weight, final volume, and sample concentration in extraction volume as well as components such as standard stock solution, working standard solution, 5 standard solutions, calibration curve,matrix, and instrument. Deoxynivalenol concentration and expanded uncertainty in two matrixes spiked with 200 μg/kg and 500 μg/kg were estimated to be 163.8 ± 52.1 and 435.2 ± 91.6 μg/kg for dried noodle, and 194.3 ± 33.0 and 453.2 ± 91.1 μg/kg for ramyeon using a coverage factor of two which gives a level of statistical confidence with approximately 95%. The most influential component among uncertainty sources was the recovery of matrix, followed by calibration curve.
        4,000원
        13.
        2007.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resolve coelution phenomenon of acetone and acrolein in the HPLC‐based analysis of carbonyls, we attempted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ir separ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carbonyl Compounds is made by DNPH‐coated cartridges. Quantification of carbonyls is then initiated by the formation of hydrazone derivatives that are then separated by HPLC and detected by UV‐VIS spectroscopic detector (at 360 nm). To the course of this experiment, we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three major experimental variables such as 5 temperature (25, 30, 40, 50 and 60℃), 2 flow rate (1.0 and 1.2 mL min‐1), and variable relative composition of mobile phase (among acetonitrile, water, and tetrahydrofuran).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the optimal condition for separation was found at flow rate of 1.2 mL min‐1 and temperature of 32℃ with the mobile phase composition of acetonitrile:water:tetrahydrofuran = 34 : 52.8 : 13.2.
        4,300원
        1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epicatechin gallate를 지표성분으로 선정하고, 품질관리를 위해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칼럼은 Unison US-C18 (4.6 × 250 mm, 5 μm, Imtakt, USA)을 사용하여 0.05% (v/v) trifluoroacetic acid (TFA)와 메탄올을 이동상 조건으로 컬럼 온도는 30 ℃ 에서 유속은 1.0 mL/min 로 검출파장은 280 nm에서 검출하였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CH) 가이드라인(version 4, 2005)을 근거로 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분석하여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11 mg/mL 및 0.33 mg/mL로 나타났으며, 검량곡선은 상관계수값이 0.9999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정밀성 분석결과 도 0.6% 이하로 확인하였다. 또한, 회수율은 99.51 ~ 101.92% 범위로 정확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분석법은 낙지다리 추출물의 지표성분의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1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offee is one of the favorite brewed drink in the world where is distributed in Latin America, Southeast Asia, Southern Asia and Africa. Coffee has an effective antioxidant ability and reported about that.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o establish the method about content of caffeine,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and p-coumaric acid in coffee. Methods and Results : Coffee was extracted with 70% EtOH in room temperature and evaporated at 45℃. All standard and sample extract were melted and diluted with 15% MeOH. Mobile phase was prepared using water with 0.01% phosphoric acid and MeOH. All standard and sample were analyzed with gradient elution (0 min : 15% MeOH, 35 min : 30% MeOH). The chromatograms were monitored at 272 and 320 ㎚. HPLC reported linear equation that based on the calibration curve for each standard compound (caffeine : Y = 1.04e + 004X – 3.21e + 003, R2 = 0.999890. chlorogenic acid : Y = 2.86e + 004X – 8.24e + 003, R2 = 0.999891. caffeic acid : Y = 2.07e + 004X – 1.21e + 004, R2 = 0.999894. p-coumaric acid : Y = 3.24e + 004X – 1.10e + 004, R2 = 0.999897). Standard compounds were determined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retention time of each peak of standard compounds were separated by chromatogram.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at the analysis method of compounds in coffee. In addition, we have confirmed that separation about the retention time of each peak of caffeine and chlorogenic acid in different solvent condition depending on acid buffer. This method can be use to determine standard compound in coffee.
        16.
        201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QuEChERS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diazinon, chlorfenapyr, and lufenuron in Napa cabbage. These pesticides represent three different chemical classes and are commonly used in cabbage production in Korea. The objective of the proposed method is a fast, inexpensive, and easy extraction of pesticides, followed by rapid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involves a microscale extraction using acetonitrile and 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ion (SPE), allowing for time and materials savings. The pesticides were separated and quantified using reversed-phase HPLC-UV at 220 nm. The calibration curves showed good linearity (R2>0.97), and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0.05 and 1 mg/kg, respectively. Intraday and interday recoveries were in the range 97-116% and 101-112% with RSD% ≤9% for concentrations between 0.5-5 mg/kg. Abnormal recoveries and a substantial matrix effect were initially observed for lufenuron, signaling that optimization of lufenuron recovery requires a slight modification of the method.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on cabbage samples sold at local markets, which showed no detectable residues of the target pesticides. The proposed method could thus be used for monitoring these pesticides in cabbage and similar vegetables.
        17.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ralia elata Seemann (AE) has long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diabetes mellitus, anti-arthritic, and anti-gastric ulcer agent in Korea, Japan, and Chin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simple and reliable HPLC/UV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most active anti-hypertensive compound, a 3-O-α-L-rhamnopyranosyl(1→2)-α-L-arabinopyranosyl hederagenin 28-O-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ylester (HE)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shoot extract of AE as a health functional food ingredient. The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of HE was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reverse-phase C18 column at 40°C with H2O and acetonitrile (70:30, v/v) as an isocratic mobile phase at a flow rate of 1.0 mL/min and detection wavelength of UV 205 nm. This HPLC/UV analytical method showed good specificity and high linearity in the tested range of 0.03125-2.0mg/ml with excellen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9999. The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were 12.0 μg/mL and 36.5 μg/mL, respectively.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data from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0.2% and 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ed HPLC/UV analytical method is very simple, specific, precise, accurate, and reproducible and thus can be useful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HE as a functional anti-hypertensive compound in AE extract.
        18.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extraction method-heated ultrasonic extraction wa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for the extraction of major ginsenosides from ginseng extract; this new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official extraction method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s and standard for health functional food. Methods and Results : Ginsenoside compounds were analyzed for 35 minutes by the new HPLC analysis method using a Halo® RP-Amide column. The new HPLC analysis method was validated by the measurement of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of each ginsenosid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2) for the calibration curves of the ginsenoside compounds were over 0.9997 in terms of linearity. The heate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using ultrasonication for 30 minutes at 50℃ yielded higher amount of ginsenosides than the extraction method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owing to the enhancement of extraction efficiency. Conclusions : Compared to the other extraction methods, the heate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yielded a higher amount of ginsenoside Rb1 than Rg1 index compounds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ginseng roots.
        2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al extraction process and HPLC analysis method for the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as a part of the materials standard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food materials from Astragali radix. Five extraction conditions including the shaking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andthe reflux extraction at 85℃ with 30%, 50% and 95% ethanol were evaluated. Reflux extraction with 50% ethanol showedthe highest extraction yield as 27.27±2.27%, while the extraction under reflux with 95% ethanol showed significantly thelowest yield of 10.55±0.24%.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ethods of calycosin-7-O-β-D-glucoside and calycosin asmarker compound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were optimized by HPLC analysis using a Thermo Hypersil column(4.6×250㎜, 5㎛) with the gradient e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as the mobile phase at the flow rate of 0.8mL min-¹and a detection wavelength of 230㎚. The HPLC/UV method was applied successfully to the quantification of two markercompounds in Astragali radix extracts after validation of the method with the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con-tents of calycosin-7-O-β-D-glucoside and calycosin in 50% ethanol extracts by reflux extr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s1,700.3±30.4 and 443.6±8.4㎍ g-1, respectively, comparing with those in other extrac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flux extraction with 50% ethanol at 85℃ is optimal for the extraction of Astragali radix, and the established HPLCmethod are very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marker compounds in Astragali radix extracts to develop the health functionalmaterial from Astragali radix.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