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floral scents and their relative contents in the floral organ of Nelumbo nucifera. N. nucifera flower,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 is rich in volatile compounds. In this study, the volatile components of N. nucifera flowers were investigated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for each organ of the flower: petals, sepals, pistils, and stamens. In total, we identified 39 compounds, among which aliphatics were major constituents, representing more than 94% of petals and sepals volatiles, followed by sesquiterpenes representing more than 69% of pistils and stamens volatiles. Pentadecane, 1-pentadecene, 8-hexadecyne, 8-heptadecene, and β-caryophyllene characterize the scent of the N. nucifera flower. We identified 24 volatiles in petals and sepals, 25 volatiles in pistils, and 18 volatiles in stamens. Among the monoterpenes, 3-Isopropylidene-4-methylcyclohexene, isoterpinolene, p-Menth-2-en-7-ol, and methyl 2,6,6- trimethylcyclohex-1-enecarboxylate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N. nucifera flow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 nucifera flowers differ greatly in volatile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floral organ of the plant.
        4,000원
        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삼채의 잎과 뿌리로부터 휘발성 화합물과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Headspace GC-M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잎 조직으로부터 18종의 휘발성화합물이 검출되었고, 21종의 화합물은 뿌리조직으로부터 분석되었다. 주요 향기성분은 diallyl disulphide였고, 잎(27.9%)과 뿌리(17.41)에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또 다른 주요 황화합물은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methyl 1-propenyl disulfide과 methyl 2-propenyl trisulfide이 잎과 뿌리에 모두 함유하고 있었다. 전체 46종 화합물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물질군은 황화합물이었다. 황화합물은 엽조직에 6종, 뿌리조직에는 5종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과 polyphenol성 화합물은 잎과 뿌리 조직에서 분석하였다. 잎과 뿌리 조직에서 아미노산은 20종과 19종이 각각 검출되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잎에서 0.134 mg/g, 뿌리조직에서 0.105 mg/g 함유하고 있었다. 총 polyphenol성 화합물 함량은 잎에서 0.28 mg/g, 뿌리에서 1.08 mg/g 함유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삼채의 이용과 효율적인 재배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4,000원
        7.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초나무는 잎에서 총 52개, 열매에서 48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4개 지역에서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E)-2-hexenal, α-pinene, (Z)-ocimene+limonene, estragole, germacrene-d 이였으며, 열매에서는 estragole이였다.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성분은 잎에서만 검출되었고, undecanone 성분은 열매에서만 나타났다. 지역간 큰 차이를 보인 잎의 정유성분은 hexanal, azulene이었고, 열매에서는 (Z)-ocimene+limonene이였다. 초피나무 잎에서 총 30개, 열매에서 27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백양사와 내장사지역의 성분이 α-pinene, β-phellandrene, 1,8-cineole, citronellal이였고, 통도사 지역은 (Z)-3-hexenol, (E)-2-hexenal, α-pinene, myrcene이 주요성분 이였다. 백양사와 내장사에서 채취한 열매의 공통 성분은 myrcene, (Z)-ocimene+limonene, β-phellandrene이였고, 통도사에서는 β-phellandr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이 주성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