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많은 사람들이 불멸에 관심이 있지만, 죽은 이의 불멸은 사회과학에서 지금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다. 본 연구에서는 죽은 이들의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에 따라 불멸지각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도 덕적으로 악한 사람, 선한 사람 및 도덕성과 연관되지 않은 인물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도덕성 판단, 마음지각 및 불멸지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으로 선한 인물에 대한 불멸의 지각정도가 악한 인물 또는 중립적인 인물에 대한 불멸의 지각정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물의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은 불멸을 지각하는 정도 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도덕적으로 선한 로봇, 악한 로봇 및 도덕성과 연관되지 않은, 기능적 로봇에 대한 글을 제시하고,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 및 불멸지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로봇의 도덕성판단과 마음지각이 높을수록 로봇의 불멸을 지각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도덕성 판단과 마음지각이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에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변인으로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4,300원
        2.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히브리 선율』 집에 들어있는 바이런의 초기시가 영혼과 하느님 의 불멸성에 대해 어떠한 종교적인 고찰을 보여주고 있는가를 다룬다. 종교시는 1810년대에 출간되어 시인의 이전 작품 『한가한 시간들』에서 보이는 자연의 항구성을 전개시켜 인간의 영혼과 전능하신 신의 영역까지 다루고 있다. 바이런 은 『히브리 선율』 중 다섯 편의 시를 통해서 인간 영혼의 불가침성을 암시해주 고 있으며 이는 그의 후기시와 여러 수상록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시인의 확고한 믿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바이런의 초기에 나타난 종교적 명상의 씨앗 들은 시인을 1813-1814년에 지은 작품과 1823-1824년에 사이에 지은 『천지』라 는 작품을 토대로 성상파괴자라고 혹평했던 당대 비평가들의 태도가 왜곡되었 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히브리 선율』이라는 작품을 통하여 이 러한 당대의 비평시류에 반대되는 다양한 예증들을 통하여 바이런이 이들과 상 반되는 종교적 시각을 드러냄을 보여주고자 한다.
        5,400원
        4.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study of courtly love poetry, which is one of the oldest literary conventions, I attempt to read both Yeats and Shakespe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love, and art has been a motif on which the poets of all ages have speculated. Perfect love between lovers fades with time and deep furrows on the tender face of the young beloved take place because of an inexorable time. Against such an irresistible time, artists make creative efforts to preserve the lover’s beauty in their works. In Sonnets, Shakespeare feeling nervous about the youth’s beauty ending just in his own lifetime, intends to write poems to keep the beauty eternal. As the poet admires the young handsome man, he wants to make his beauty and friendship with him everlasting in his poetry. In his Sonnets the poet neither deals directly with the destructive time nor shows the paradoxical will against it. Simply adapting to the powerful time and accepting the weakness of man, the poet wishes that beauty will live for good. Meanwhile, as modern poet Yeats started with romantic lyrics and wrote many love poems reflecting the traditional conventions. Yeats accepts certain conventions such as the woman as goddess, Muse and aesthetic object (Cullingford 20). As a presence in real life, the woman extolled by the poet throughout his whole life cannot escape the influence of time. Saddened by the fact that his love is forgotten from the memory of people, the poet chooses to remain the last to write poetry for her. And he shows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destructive time and portrays time as a positive influence that deepens the beloved’s nobleness. As mentioned above, though two poets’ responses to time are different, there seems to be an agreement in their poetry as to the fact that love and beauty can be made eternal through art and poetry. These great poets confirm the truth that the immortality of art goes beyond time.
        4,600원
        5.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1916년 발표된 「라이프니츠 모나드론의 전개」에 나타난 라 이프니츠의 모나드론에 대한 T. S. 엘리엇의 계보학적 탐구의 중요성을 점검하는 것이다. 라이프니츠의 형이상학에 대한 순수하게 논리적인 러 셀의 접근에 비판적인 엘리엇은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이 출현하는 이 론적, 그리고, 특별히, 신학적 배경에 예리하게 주목한다. 엘리엇은 라이 프니츠의 모나드 개념에 대한 사상적 시원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 개념을 손꼽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 개념과 근대 원자론 이론을 통합하고 있는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는 비물질적이고, 분리 불가능하며, 영원하다. 하지만, 모나드론의 바탕에 자리하고 있는 라이프니츠의 과학 적 지향과 신학적 지향 사이에는 해결될 수 없는 균열이 존재하며, 영 혼 불멸에 대한 기독교적인 믿음을 회복하려는 그의 “야심에 찬” 기획 은 궁극적으로 실패했다고 엘리엇은 결론 내린다.
        6.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 S. 엘리엇의 초기 시 「불멸의 속삭임」과 윌리엄 워즈워드의 「어린 시절 회상으로 부터의 불멸의 암시」에서 서로 공통적인 요소가 발견된 다. 엘리엇은 형이상학파 시인들의 남겨놓은 불멸의 유산을 전통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불멸성을 설명하였고 워즈워드는 어린 시절 기억을 통하여 천국에서 막 태어난 신성한 자취를 신성한 불멸성이라고 찬양하였다. 본 논문은 낭만주의적 불멸성을 어린아이가 바로 태어난 이후에 지니고 있는 불멸성을 “생후 불멸성”이라고 모더니즘적 불멸성은 17세기 시인들의 죽음의 흔적을 통해 그리고 그 흔적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얻어내는 불멸성을 “사후 불멸성”이라고 지칭하고 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결국, 왜 엘리엇은 전통과 불멸성을 동일시했고 왜 워즈워 드는 어린 시절에서 신성을 찾으려했는지를 각각의 시대의 사상을 통해 증명해 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