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감각기관을 통해 지각하는 1초 미만의 시간은 자극이 지속되었던 지속시간 이외의 요소인 비 시간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거리 정보가 풍부하여 크기 항상성이 유지될 경우, 대상의 지속시간을 항상성 있게 지각한다는 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거리 정보를 제한한 실제 환경에서 크기 항상성과 시간 지각 항상성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의 양안 단서와 단안 단서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고안하였다. 참가자들은 크기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었으며, 크기 착시가 발생하여 물리적 크기를 정확하게 지각할 수 없었다. 실험 1에서는 관찰 거리별 참조 자극과 시험 자극의 물리적 크기를 동일하게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물리적 크기가 동일했음에도 불구하고 관찰 거리가 가까운 자극을 더 크게 지각하였으며, 자극이 더 오래 지속 되었다고 지각하였다. 실험 2에서는 관찰 거리별 참조 자극과 시험 자극의 망막상 크기를 동일하게 통제하였다. 관찰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극의 물리적 크기는 커졌으나, 모든 자극의 지각된 크기가 동일하였다. 그 결과 모든 관찰 거리 에서 대상의 지속시간을 항상성 있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거리 정보가 제한되었을 때에도, 시간 지각이 대상 의 지각된 크기에 영향을 받음을 보여준다. 또한 풍부한 거리 정보가 존재할 때, 관찰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대상의 지속시간을 항상성있게 지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300원
        2.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에 유입된 남한 미디어는 북한 사회변화의 주요한 지표가 된다. 국내 언론 보도 및 탈북민들의 증언을 통해 폐쇄된 북한 사회에서도 남한 영상물을 시청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는 북한 내외 부정보 확산 현상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의 여부다. 북한에서 외부정보를 접한 북한 주민의 의식과 사회현상 더 나아가 북한체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문제이다. 본 연구는 김정은 시대에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북한 내 외부정보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인식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의식변화 추이는 남한과 남한 사람, 북한 정권에 대한 인식, 민주주의와 인권 등의 세부항목별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북한에서의 남한 미디어 이용실태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한 통일과정에서 북한주민의 ‘마음 얻기’를 위한 미디어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8,3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패션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소재와 세탁 등의 전문적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소비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QR코드 적용 시 요구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를 조사하였다. 타 연령대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아 비대면 정보교환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20대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현행 라벨을 통한 의류제품의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서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불충분한 정보제공, 전문적인 용어 사용, 세탁 기호의 불확실함이 불만족의 요인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QR코드는 패션제품의 관리 정보제공의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웃도어, 패딩, 정장 등의 고관여 의류 상품과 신체에 닿는 언더웨어류에 대해서 자세한 세탁방법, 사용 및 보관 시 유의사항, 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 했으며 캐주얼웨어, 코트에 대해서는 제품을 활용한 SNS 데일리룩, 제품과 어울리는 다른 상품, 비슷한 아이템의 추천 등 스타일링이나 의복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싶어했다. 따라서 QR코드를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또는 SNS의 연결수단 으로 사용한다면 소비자들의 정보추구 욕구의 충족과 함께 현명한 제품 사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초 연결시대 패션제품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사회인지와 정서 연구들은 주로 얼굴자극을 이용하여 초기지각단계 및 후기인지과정에의 정서 효과를 조사해 왔다. 그러나, 정서의 효과가 정보처리과정의 각 단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와, 정서유형에 따른 효과 양상의 변화 여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대신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에 내포된 행복, 분노, 중립정서가 지각과제와 작업기억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연달아(지각과제) 또는 시간차를 두고(작업기억 과제) 제시되는 두 생물형운동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였다. 지각과제에서는 정서가를 가진 자극 시행의 정확도가 중립정 서자극에 비해 낮아 정서정보가 초기지각처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나, 작업기억과제에서의 기억정보유지에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과제에서 정서유형에 따라 다른 수행 양상이 관찰되었다. 분노정서는 지각단계에서 더 많은 정신적 자원을 요구하여 부하가 증가할 경우 정확도가 낮아지지만 기억유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행복정서의 경우 중립정서가 이어서 제시될 때 이를 행복정서와 유사하게 처리하려는 편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정서 영향을 재확인하였고, 처리 단계별 및 정서 종류별로 다른 양상의 영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 정서정보의 정교한 조작 및 통제를 위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4,600원
        6.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limited knowledge on the potential pattern similarities/differences of trust’s role that may exist in information use obtained through intra- and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addresses this question by investigating how trust leads to information use. Data from 338 intra-organizational and a sub-ample of 158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exchange-relationships showed that trust is an important driver of the utilization of market information in both cases. Trust has no direct relationship to information use, instead has a strong indirect effect through a mediator, perceived quality of information. The effects of trust on the use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intra- and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proved to be similar.
        4,000원
        7.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examines consumers’ onlin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goods and services, applying foraging theory, and explore online information structure perceived by consumers, determining the degree of information overload. Consumers are confronted by nearly unlimited amounts of information when they gather information to make purchase decisions in an online environment.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behavioral pattern of information acquisition to reduce information overload. The available studies are limited by particular conditions under a normative perspective (e.g., cognitive limitation with item specific information only and overemphasis on the quantity dimension of information structure). An improvement may be a holistic approach that allows freedom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cludes an ecological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an interaction between minds and immediate environments (Todd & Gigerenzer, 2007). In other words, to provide a better explanation of information overload phenomenon, the research includes quantity information as well as quality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ructure. This has been overlooked in an information overload paradigm (for example, the question of whether more or less information is better) (Scheibehenne, Greifeneder, & Todd, 2010). Moreover, Xia and Monroe (2005) argued that the majority of research about information acquisition has overemphasized information searching while overlooking information browsing, although both activities occur concurrently during processes of information acquisition. The foraging theory (Stephen and Kreb, 1986), which originated from behavioral ecology, can help explain a continuum of browsing and searching behavior through utilizing the patch framework (Kim & Hantula, 2016). The patch framework provides a different perspective for information structure in terms of the amount of data as a combination of within-patch (searching) and between-patch (browsing), thereby covering the issue of the browse-search continuum to explain issues of amount for information overload. (e.g., Detlor, Sproule, & Gupta, 2003). The current study applied foraging theory into the online behavior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xplored the information structure that consumers establish and consider in their process of information foraging across categories of goods and services (i.e., durables, nondurables, and services). This theoretical integration would proffer some clues for information structure to reduce information overloads through brows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online. The investigations consist of ordinary activities and purchase-related activities online, frequently purchased items and consideration to make purchase decisions, strategic information foraging patterns, and perceived decisional difficulty.
        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기능성 의류제품의 효과적인 정보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연구 중 일부로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과 행동양식에 따라 응답자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 시 활용하는 정보원과 행택에 대한 행동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 경험이 있는 20∼60대 남, 녀 4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은 ‘기능성’, ‘가격’, ‘경험/지식’, ‘브랜드/디자인’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에 따라 응답자들은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 ‘전문적/기능 성 중시집단’, ‘고가제품 선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인터넷을 정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20대, 30대의 회사원과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의 경우에는 행택(Hang-Tag) 을 정보원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문직의 40대, 50대가 주를 이루었다. ‘고가제품 선호집단’은 60대 이상,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판매원을 정보원으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정보제공에 사용된 용어에 대해 설명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이었으며 성능정보 관심도가 떨어지는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오히려 상대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재킷 소비자 유형의 특징과 성능 정보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기능성 의류제품의 성능 정보 제공을 위한 효과적 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300원
        9.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menu labeling is to offer eating environments with improved healthy food selection. Similar to U.S. policies, the Korea government enforces the Special Act on Children’s Food Safety and Nutrition for provision of nutritional labeling in chain restauran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dining services for college students and their interests in health, this study examined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university dining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recogni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for university dining services was lower than recognition of nutrition information for commercial food services. The most common reason cited by students for considering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was customer rights, followed by health maintenance. Students showed a high tendency to use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College students’ motivation for knowing nutrition information of university dining services included health and value interests. Students’ knowledge of nutri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know nutrition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ies directions for developing menu labeling for university dining services.
        4,000원
        1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 information system int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which use the computer are increasing.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formation system helps corporations to improve productivity, customer service and corporate competitive power. SaaS(Software as a Service), which is the developed type of outsourcing in the area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to use standardized and packaged application by hosting from the outside of enterprise. SaaS is not developed yet as much as people's interest about that in the initial stage, but its related technology and service capacity are accumulated after repeated trial and error, and it's ready to activate the industry. In the area of information system, studies on th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were followed. But there is little study 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 in the field of SaaS(Software as a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vides the SaaS with e-SERVQUAL and it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ceived recognition and the usage intention. According to this, variables of traditional research were rejected because SaaS is not developed yet in Korea. But information had a strong effect on perceived recognition. Therefore, business related with in SaaS must have provided a correct information about various applications.
        4,000원
        11.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stomers' perception on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on a family restaurant menu, to examine customers' intention to use the nutrition information when eating out if nutrition information would be provided, and to identify what kinds of nutrient information the customers want. A total of 265 respondents were answered. Female was sixty-six percents, and eighty-four percent of the respondents was less than thirty-five years old. The patrons' perception about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menu showed the level of 2.5 points out of 5 points, which pointed out that family restaurant patrons were not satisfied with receiving nutr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nu. The customers perceived that restaurants had responsibilities for providing nutritional information about menu items. Sixty-six percent of respondents showed a positive intention to the question item about how much the customer would use nutritional information provided on the menu. The customers, who were female (p<0.05), who had a good health status, who showed higher interest on weight control (p<0.01), and who were health-oriented (p<0.01), showed the higher intention to use nutritional information. Nutrient information in which the customers were interested strongly was a fat content, followed by cholesterol content and calori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ends of eating out, preferring family restaurants, and increasing interests in a healthful menu, nutrition information demand in restaurant operations would be increased rapidly in the near future.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at the point of menu choice might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customer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by encouraging proper dietary habits of patrons as well as providing nutritional educ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overnment and restaurant firm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make strategic plans for the futu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