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types of thermal breakers applied to structures to prevent thermal bridges were identified.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apartment houses with standard floor structures to which a thermal breaker was appli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rmal cross-blocking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total heat and equivalent U-value through the wall. (1)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anti-condensation performance, when “가” grade insulation was applied, the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by about 1K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thermal breaker. The TDR value increased by about 0.06 to 0.07. When "나" grade insulation was applied, the minimum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by about 1K, and the TDR value increased by about 0.05~0.06. (2)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otal heat and U-equivalent,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heat by 38.5~44.9% and U-equivalent by 38.5~45.0% for the "가" grade insulation to which the thermal breaker was applied. In addition, the "나" grade insulation to which the thermal breaker was applied can reduce total heat by 38.9 to 43.6%, and reduce the Uequivalent by 38.9 to 43.7%.
        4,0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 accelerated weathering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ariation of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rvice life. A widely used class 1 thermal screen (matt georgette + polyethylene (PE) foam + chemical cotton + felt + matt georgette) was selected as the target thermal scree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that reached the target thermal screen specimen (60 x 60cm) was 5mW/cm2. Thus, the ultraviolet irradiance was set to 5mW/cm2, and the exposure periods of accelerated weathering conditions on the specimens were set to 0, 282, 847, and 1412h. The radiation exposure periods of the weathering conditions for 0, 282, 847, and 1412h indicate the amount of ultraviolet accumulation for 0, 1, 3, and 5years, respectively. In the accelerated weathering test, the target specimens that completed each exposure phase were subjected to the hotbox test to analyze their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s. Consequently,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multi-layer thermal screen was estimated to degrade rapidly after approximately two years. In the accelerated weathering condition, a quadratic function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he expected service life, since it adequately described the variation in thermal insulation of the thermal screen according to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degraded by 5, 10, 20, and 30%, the expected service lives were 2.5, 3.3, 4.5, and 5.5years, respectively.
        4,000원
        3.
        201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ffice building more than 3,000㎡ of the total floor area sh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based on government's recommendation. In this study, the new composite panel with structural function is conducted to check the thermal conductivity for application of exterior wall. The thermal transmittance was calculated by dynamic analysis to consider the thickness of insulation only per locations based on design criteria. The simulation program for the analysis was used TRISCO Radcon module, which has a function of a steady-state 3-dimensional heat transfer analysis.
        3,000원
        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ical models of composite floor systems with various thickness of phase change material and sizes of circular spacers were developed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In order to perform a heat transfer analysis, thermal properties of steels were determined and those of phase change material were estimated from experiment results. In additio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composite floor systems with respect to different thickness of phase change material and sizes of circular spacers was predi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analysis,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vertical furnace fire test results of equivalent conditions. As a result, available thicknesses of phase change material and sizes of circular spacers were proposed to satisfy the thermal insulation criteria of Korean Standards.
        4,000원
        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허니컴 패널의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경계행렬식을 유도하였고, 이를 전달행렬법에 적용하여 허니컴 패널을 적용한 차음패널에 대한 해석 이론을 정립하였다. 또한, 허니컴 패널을 선박용 차음패널의 표면재로 적용하여 차음성능을 분석하였고, 철판을 표면재로 적용한 기존의 선박용 차음패널과 차음성능을 무게 당 감음량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허니컴 패널의 차음성능이 0.35 mm 철판에 비해 STC 기준으로 2dB 높게 나와 허니컴 패널을 적용한 차음패널의 차음성능이 철판을 사용한 차음패널에 비해 무게 당 감음량을 고려할 시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허니컴 패널을 표면재로 사용한 차음패널의 면밀도가 철판을 사용한 차음패널에 비해 약 5.2 kg/㎡ 가볍게 나타났고, 이는 약 31.7 % 무게 감소를 의미한다.
        4,000원
        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졸-겔, 용매치환, 표면개질, 상압건조 공정과 계면활성제에 의한 템플레이팅(templating) 공법 및 소결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모노리스와 메조포러스 실리카 모노리스를 각각 합성하였다. 제조된 두 종류의 실리카 모노리스는 균열이 없이 비교적 투명하였으며, 매우 높은 기공율(92-94%) 및 비표면적(800 - 840 m²/g)과 수 십 nm 수준의 기공 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면개질을 적용한 실리카 에어로겔 샘플이 스피링백 효과로 인하여 메조포러스 실리카 모노리스에 비해 더욱 미세하고 균질한 나노 기공 구조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그 단열 성능도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합성된 두 종류의 실리카 모노리스를 중간층으로 적용한 복층 창유리의 단열성능을 측정된 모노리스의 열전도도와 이론식을 근거로 조사한 결과, 기존의 상업적으로 응용되는 공기층 삽입 복층 창유리에 비해 우수한 단열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업용 온실의 보온성능 및 광투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피복방식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토마토 재배용 실험온실의 세 가지 피복방식에 대한 보온효과 및 광투과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과 관행 이중피복온실의 관류열손실량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기온이 비슷할 때 피복재와 보온커튼 사이의 온도가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더 낮게 나타난 것은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의 경우 나비식 천창의 틈새로 인한 환기전열손실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에서 나비식 천창을 사용할 경우 틈새 환기전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중피복 온실과 관행이중피복온실의 관류열전달계수에 대한 온실 실험결과와 모형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모두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측정된 관류열전달계수가 타당성 있는 값임을 보여주는 것이며 향후 온실의 난방 설계시 직접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이 비록 일중피복온실보다는 광투과율이 낮으나 동일한 이중피복온실인 관행이중피복온실보다 광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보온을 위해서 이중피복을 설치할 경우에 광투과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기주입 이중피복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주입 이중피복온실에 비해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 내부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로량이 큰 이유는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 내부표면온도가 훨씬 낮기 때문에 피복재에서의 포화습도가 작아져 내부공기의 절대습도와의 차이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ncrease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building is applied to the concrete was compared with plain concrete. As a result, the indoor surface at the outside temperature of 4.69∼7.32 ℃ temperature conditions showed a difference of up to 1.10 ℃, the lowest 0.54 ℃, indoor temperature is up to 0.95 ℃, 0.63 ℃ lower results showed a minimum.
        9.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명 조끼는 익수자의 부력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낮은 해수 온도에서 저체온증에 빠지는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역 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멀 마네킹 실험과 수치적 방법을 적용하여 단열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개발된 팽창형 구명 조끼와 폼형 구명 조끼의 단열성능 및 저체온증 방지 효과를 평가하였다. 단열성능 평가를 위해서 서멀마네킨을 이용하여 열유속 및 열저항을 계측하였으 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구명 조끼의 단열성능을 기존의 제품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저체온증에 빠지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구명 조끼의 종류에 따른 체온 저감 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저체온증 예측모델은 Pennes의 신체 열전달 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실험으로부터 계측한 열저항 값을 이용하여 대류 열전달 조건을 환산하여 계산되었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시된 하는 구명 조끼가 기존 제품에 비해 단열성능이 우수하게 평가됨을 확인하였다.
        10.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ncrease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building is applied to the concrete was compared with plain concrete. As a result, the indoor surface at the outside temperature of 10.4 ~ 22.4 ℃ temperature conditions showed a difference of up to 0.6 ℃, the lowest 0.6 ℃, indoor temperature is up to 0.2 ℃, 0.2 ℃ lower results showed a minimum.
        11.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24MPa 이상 열전도율이 기존 콘크리트보다 2배 감소된 구조용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현장적용 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결과 Plain과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은 경과시간에 따라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 가 나타났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배합의 단위 용적질량은 Plain 대비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가 Plain보다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목표강도 24MPa를 만족 하였으며, 열전도율은 Plain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Plain과 유사하였고, 중성화 저항 성은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이 재령 4주에 Plain과 유사했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Plain보다 중성화 저항성이 저하되 었고, 길이변화율은 Plain보다 전체적으로 증가되었다.
        12.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mproving insulation of concrete, we developed insulated concrete and applied it in the field to reduce amount of energy. As a result, we could get the physical and performance similar to normal concrete's performance and the amount of energy is expected to decrease for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1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climate change have increased consumption of building heating and cooling energy. Furthermore, the study on energy reduction is important. Especially the outer covering of the building has been made of concrete more than 70%. The study is to evaluate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materials.
        14.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설구조물 상부의 단열은 에너지 절약 건설구조물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 건설구조물 최상부는 단열성뿐만 아니라 방수성능도 중요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단열성을 확보한 방수공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일정 단열성능을 확보한 단열 보완형의 복합방수공법이 개발되어 해당 공법에 대한 단열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수성 시험결과, 모든 시험체는 KS 표준 이상의 성능을보여주었다. 단열성 시험결과, 스티로폼 박스가 가장 높은 온도인 25.91℃, 버블시트 박스가 17.28℃, 단열시트 박스가 15.47℃, 단열보완형 방수시트가 24.11℃로 확인되었다. 시트 접합부의 열교현상을 관찰한 결과 열교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단열보완형 복합방수공법은 단열성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설되고 있는 아파트에서 입주자들은 더 넓은 거주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발코니를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국토교통부고시 제2012-745호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에 따라 별도의 대피공간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아파트 대피공간의 출입구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갑종방화문은 차염성능 만을 확보하고 있어 화재시 재실자가 대피공간으로 피난하여 머무르는 경우 갑종방화문의 복사열 및 누설되는 고온 공기의 영향으로 인명안전이 확보되지 못하여 화재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br>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대피공간에 대한 목업 시험체를 제작하여 출입구에 차열성능을 지닌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재안전성 확보 여부를 평가하여 관련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6.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apartment structure and to evaluate and establish standards of thermal insulation defect in order to mak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the thermal performance degradation an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the exterior wall of the existing apartment. Furthermore, it is to predict the part of occurrence of the thermal bridge and condensation at the apartment building structure. On the other one hand, it is also to analyze the degree of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rmal insulation and elapsed time, through the analysis by the workability of concrete.
        1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s approximately reaches 25% of total korea energy consumption. The greatest part in the buildings of the energy consumption is building facade. but a few research projects on concrete comprising more than 70% of outsider of buildings has been tried. This research structural insulation concrete what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 material
        18.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bond performance of insulated concrete sandwich panel systems considering different type of insulation through two-way acting insulated concret sandwich panel mock-up test under wind 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