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provides an analyses the implications of China’s constitutionally proclaimed notion of “Community of Shared Future for Mankind” (CSFM), which reveals the stance of the PRC party in promoting so-called “Chinese wisdom” and a “Chinese solution” to address common issues in global governance and in pursuing China’s global leadership in President Xi Jinping’s “New Era.” The author explores the possibility for China and the West of reaching a normative consensus in terms of standards set by the CSFM vision and human security in light of the current global pandemic. The author advocates pursuing a pragmatic, problem-solving approach to international engagement with China without advancing a particular political agenda based on broad ideological presumptions, namely by encouraging and facilitating China’s further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treaties. This approach may establish an increasing convergence and resonance of local and nonlocal norms to reach a normative consensus and, ultimately, to influence treaty performance incrementally and gradually.
        4,9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마을교육공동체를 발생배경/지역과 학교의 의사 결정 권한/양적 추이, 세 측면에서 비교한 연구다. 연구결과 한국은 자연 발생적 인 반면 미국과 일본은 교육과 사회문제의 대응 방편으로 마을교육공동체가 도 입됐다고 할 수 있다.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핵심 축이라 할 수 있는 지역과 학 교의 의사결정 권한은 미국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일본, 한국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중학교에서 교육체제 내의 ‘지역’이 갖는 결정권은 거의 없었다. 세 나라의 마을교육공동체 양적 추이는 증가하는 공통성을 보였는데 이는 마을교육 공동체의 효과성와 필요성을 입증하는 각 나라의 요구를 보여준다. 이에 따른 결 론은 첫째, 한국의 자발적 태동은 마을교육공동체의 무한한 잠재력과 사회 동력 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해준다. 둘째, 마을교육공동체의 도약을 위하여 지역과 학교의 의사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교육체제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지역자원의 연계와 마을교육공동체의 성장을 돕는 정부의 맞춤형 지원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넷째, 마을교육공동체의 자생력을 갖추기 위하여 구성원들의 집단 성찰과 학습을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7,800원
        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나이지리아 보코하람 소요사태를 다루는 과정에서 나이지리아 현 대통령 소령(rtd) 마하무두 부하리(mahamudu buhari)와 직계 전 대통령 굿럭 조나단(jonathan)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나이지리아는 공정한 분쟁 분담이 없는 적이 없었다. 사실, 독립 후 10년 동안 어떤 나이지리아도 분쟁이 없었던 적이 없었다. 몇몇 쿠데타와 총파업 그리고 내전으로 나이지리아 사람들은 의견과 불신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가장 비참한 비극들 중 일부를 경험해야 했다. 나이지리아에서의 갈등이 지금처럼 필요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는 얘기가 흥미롭다. 굿럭 조나단 지도부는 2015년 5월 취임한 무함마두 부하리 전 총리와 비교할 때 같은 노력과 협조를 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두 나이지리아 지도자가 협력하는 것을 돕거나 방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굿럭 조나단은 약하고 우유부단한 지도자로 인식되어 보코하람의 폭동을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했다. 무하마두 부하리는 나이지리아 국민과 국제사회가 보코하람 반란을 타개할 큰 희망과 기대를 안고 취임했다.
        6,100원
        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2002년 개최된 《제4회 광주비엔날레 초청 국제 워크숍–공동체와 미술》에 참여 한 한국 작가들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90년대 말 이후 한국에서 대안적 미술 실천을 진행했던 작가들의 인식의 변화를 추적한다. 이 워크숍은 전지구화된 세계 속에서 미술과 사회의 관계, 미 술제도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시도하는 대안적 주체들의 상호 교류의 장으로 기획되었으며, 한 국 작가들은 워크숍의 과정을 통해서 자신들의 위치를 재맥락화하는 경험을 갖게 되었다. 그들 이 경험한 지역은 신자유주의와 국민국가의 개념 속에 복속된 지역이 아니라 혼종성과 이질성 속에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지역이며, 이를 통해 공동체의 의미를 재발명하고, 세계와 연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비판적 예술실천의 가능성을 재발명하고자 했다.
        6,400원
        6.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Jeju Island, Korea, a demonstration complex for smart gri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and feasibility of five fields, such as ‘smart place’, ‘smart transportation’, ‘smart renewable’, ‘smart power grid’, and ‘smart electricity service’. The demonstration of the efficiency and feasibility of this technology ended in May 2013 and now the second stage projects are proceeding to expand the scope of the above fields. Also, Dae Kyung Engineering Co., Ltd., one of the professional engineering businesses in Jeju Island, is steadily expanding its green industry domain in the ‘smart renewable’ and ‘smart transportation’ fields by establishing consortiums with major companies. I would like to introduce how a small and local company’s passion for a ‘green’ technology led to establishing ‘green’ communities and inducing changes in the world through developing ‘green’ technologies. A case of ‘Gapado (Gapa Island)’ which is a small island belonging to Jeju Island is quite relevant example of this kind of change and experience. Gapado has become a green island and dreamt about making the world greener through the networks with other islands and local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In the future, the International Green Island Forum Corporation will hold forums on environment and green technologies regularly and build networks with local governments at home and abroad and businesses which aim at supporting ‘green and carbon-free islands’. Through this, the forum will contribute to conserving islands’ unique ecology and culture and pursue development in island areas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realizing where no carbon is emitted. We are looking forward to seeing people all around the world who dream green islands, and eco cities join forces with us.
        6,000원
        7.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방화, 세계화의 심화로 국제사회 및 국가간의 상호의존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개발협력의 역할과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또한 글로벌 시장의 개방과 경쟁이날로 심화되고 선진국 위주의 시장확대, 성장이 한계에 다다름은 물론 OECD DAC 가입등 외교적 국격향상에 따라 대개도국 국제개발협력 확대에 대한 내외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이러한 대외환경의 빠른 변화는 정책 및 국제공조의 강화 등 거시적 수준의 변화뿐만 아니라 국제개발협력의 방법론의 미시적 수준의 변화를 동시에 요구한다. 이에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오픈 이노베이션의 가치를 검토 하였고, 특히 교육분야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의 운영사례인 ALCoB을 분석하여 향후 국제개발협력 방법론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600원
        8.
        200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chan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has resulted in a new gap, a digital divide between countries that can easily access ICT and digital information, and countries that lack accessibility of emerg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Realizing the gap of digital divide through education, Korea launched a collaborative program called ‘APEC Cyber Education Network (ACEN)’ in 2001, targetting two economies: Indonesia and Thailand. This program provided workshops via ACEN Internet Volunteers (AIV) for training of the teachers’ capacity for economies’ beneficiary in the education of ICT. In 2003, this program has evolved into APEC Learning Community Builders (ALCoB) Internet Volunteers (AIV) program, and has continued until 2008. In this paper, we report our 8 years of experiences in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Indonesia through volunteers, and show the implications of a successful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to overcome the digital divide between countries.
        4,600원
        9.
        2008.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라인을 통해 세계는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으며 모든 영역에서 세계화 정보회는 국제적인 흐름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 속에 국내외적으로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인적역량 개발을 위한 국가 간 교육협력활동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형태의 교류활동 모형이 등장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기반 활동들은 이미 다국적 기 업들의 교육 훈련을 위해 오래전부터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도 도입되어 우리의 전통적 교육현장의 모습도 시공간을넘어서서 다양하게 바꾸어가고 있다.온라인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국제교육협력과제활동을 수행하는 구성원들은 어느 한사람의 일방적인 지식 공여로 타자들의 지식 습득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참여자들이 때로는 교수자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학습자가 되는 위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의미를 형성해 나간다. 또한 그 과정에서 참여지들은 협력적으로 지식을 구축하는 사회적 학습과정을 경험한다.본 연구는 이러한 온라인 학습공동제 활동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협력과제 수행활동을 통해 아이디어를공유하고 자신의 생각을 팀의 목표에 부합하도록 조율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행모델을개발하고 개발된 모텔을 과제 수행사례에 적용하였다. 수행모댈은 첫째 전체 과제 활동의 관리와 수행측면을 총괄하는 원리 둘째 원리를 토대로 구성된 수행단계와 단계별 활동 셋째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작업공간(웹 지원체제)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모델을 국제교육협력과제에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활동과정과 및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향후 필요한 몇 가지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5,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