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

        41.
        2017.07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vapor adsorption kinetics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were investigated i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ranges of 10 to 40℃ and 32 to 75%, respectively. Water vapor was initially adsorbed rapidly and then reached equilibrium condition slowly. Reaction rate constant for water vapor adsorption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ependency of water activity followed the Clausius-Clapeyron equation. The net isosteric heat of sorp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water activity. Good straight lines were obtained with plotting of 1/(m-m0) vs. 1/t. It was found that water vapor adsorption kinetics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was accurately described by a simple empirical model, and temperature dependency of the reaction rate constant followed the Arrhenius-type equation. The activation energy ranged from 50.90 to 56.00 kJ/mol depending on relative humidity. Arrhenius kinetic parameters (Ea and k0) for water vapor adsorption by vacuum-dried jujube powder showed an effect between the parameters with the isokinetic temperature of 302.51 K. The information on water vapor adsorption kinetics of vacuum-dried jujube powder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 for storage and processing of jujube.
        42.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in unripe and ripe jujube cultivar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nd chemical constituents including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lthough, the weight, diameter and soluble solids of Zyziphus jujuba fruit were increased with the progress of ripening,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were decrease during ripening. The highest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5 ㎎/㎖) and reducing power (at 1 ㎎/㎖) in fruit were 81.75% (Bokjo, unripe) and 0.80 (Mudeung, unripe),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in unripe fruit of Mudeung was 62.50 ㎍/g. A linear correlation (r=0.911) was shown betwee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43.
        201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ppearanc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native jujube (called Yak jujube) and Bokjo jujube were compared in this study.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native jujube had smaller size, lower hardness, and higher contents of sugar,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dietary fiber, and calcium cont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Bokjo jujube. Therefore, native jujube is softer and sweeter, with higher general nutrient content, despite being smaller than that of Bokjo jujube.
        44.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멀칭자재가 제초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절감하고 대추 유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부터 2013년까지 4종류의 유기 멀칭자재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멀칭재료(볏짚, 왕겨, 톱밥 및 우드칩)는 2012년에 대추 유목이 심겨진 토양위에 처리되었다. 2012년 모든 멀칭재료별 잡초 발생 억제율은 96~98% 범위에 있었다. 2013년에 잡초 발생 억제율은 볏짚멀칭 처리구에서 7%, 왕겨멀칭 처리구에서 60%, 톱밥멀칭 처리구에서 27% 그리고 우드칩멀칭 처리구에서 79%이었다. 2013년 잡초 발생 억제율은 2012년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대추 유목의 생육은 우드칩멀칭에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왕겨멀칭에서 가장 저조하게 나타났다.
        45.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도라지를 이용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였으며,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즙, 대추추출물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제조하고 각각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분석하였다.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는 3.90∼4.15이었으며, 산도는 1.2에서 1.5 사이를 나타내었다. 당도를 측정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은 값(9.33 °Brix)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의 경우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85.05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흑도라지 사과주스 B가 41.23 mg/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당산비 수치의 경우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6.9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와 황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높았다.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향미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D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706 ㎍/mL)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제조를 위해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주스, 대추추출물을 2:4: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46.
        2014.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드레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드레싱은 생대추를 박피, 제심하고 스팀 블랜칭, 마쇄하여 퓨레를 제조하고 이의 첨가량이 0, 10, 20, 30, 40, 50%가 되게 간장, 식초, 올리고당, 올리브유, 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드레싱의 색도 중 L*값은 대추퓨레 10%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대추퓨레 첨가구들이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a*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대추퓨레 첨가구 간에는 첨가량에 따라 수치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였고, b*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산도는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 50%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점도는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에 비례하여 점도가 증가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항산화능의 척도인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드레싱의 색, 냄새, 맛, 질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가 보다 좋게 평가되었고, 모든 평가 항목에서 대추 퓨레 30%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로써 대추퓨레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드레싱의 항산화능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한 대추퓨레의 첨가량은 30%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7.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macrophage에서 대추잎 분획물(Zizyphus jujuba leaf fractions; ZLFs)의 항염증 효과를 살펴 보기위해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1, 10, 100 μg/mL 농도 범위에서 염증매개물질인 NO, PGE2, 염증성 cytokine(TNF-α, IL-1β 및 IL-6) 생성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ZLFs(ZLWF, ZLEF, ZLBF)는 처리 농도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NO, PGE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분획 용매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ZLWF< ZLBF< ZLEF의 순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ZLEF은 100 μg/mL 처리 농도에서 NO, PGE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가 LPS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보다 우수하거나 비슷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추 잎 분획물 중 가장 뛰어난 염증 억제제 후보물질로 확인되었다.
        48.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추 분말의 첨가량을 0~20%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 항산화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pH는 6.69~6.16 범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p<0.05), 수분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추 분말을 첨가할수록 퍼짐성과 손실률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p<0.05), 손실률의 경우 5~15% 시료 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한편 명도(L*)는 대추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a*)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황색도(b*)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0~20%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경도와 DPPH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일부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소비자 선호도 검사 결과, 5% 첨가군이 대부분 높은 평점을 받았지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이 측정되지 않아, 생리적 활성과 관능적 품질을 고려하면 첨가농도로 5~10% 사이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52.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not on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te of addition of dried jujube to Yakju (0, 0.5, 1.0, 1.5, 2.0 percent) but also to examine the quality changes in jujube Yakju during its storage (for 75 days at 35℃).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total acidity,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and alcohol contents of the Yakju right after its fermenta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jujube that was added, the lightness of the jujube Yakju changed from 93 to 94, its redness decreased, and its yellownes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jujube Yakju that was fermented with 1.5-percent dried jujube had high sensory evaluation (selection rate) scores for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It had no significant changes in pH and total acidity during its storage after its heat treatment. Its soluble solids contents tended to decrease with its heat treatment and to increase in its storage period. With respect to its color changes during its storage, the higher the ratio of the jujube that was added, the longer the storage period was, the lightness (L) and redness (a) decreased and the yellowness (b) increased. The polyphenol contents depended on the rate of addition of the dried jujube, but were not affected by the heat treatment and storage period. The organic acids in jujube Yakju were citr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and acetic acid.
        53.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d-ripe ‘Betatiny’ jujube-shaped cherry tomato fruits via stem maintenance or stem removal were stored at 20℃ for 12 days. Their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parameters like their respiration rate, weight loss, soluble solids content (SSC), titratable acidity (TA), firmness, hue value, aerobic microflora, coliform, yeast and mold count, and decay were evaluated during their storage. The jujube-shaped cherry tomato fruits whose stems were removed lost less weight than the fruits whose stems were maintained during their 12 days of storage. The stem removal lowered the respiration more significantly than the stem maintenance, and the formation of novel tissues at the stem scar that resulted from the stem removal was observed morphologically. The SSC, TA and hue value of the skin color decreased after eight storage days, bu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stem maintenance and removal. The stem had higher microbial counts like aerobic microflora, coliform, and yeast and mold counts. The stem maintenance showed a short shelf-life because molds grew on the attached stem after five storage days. The shelf-life of the jujube-shaped cherry tomato fruits whose stems were removed was about eight days, but that of the fruits whose stems were maintained and that were stored at 20℃ was only about six days.
        54.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jujube and to compare these with those of dried jujub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ried jujube and fermented black jujube extracts were analyzed by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using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superoxide-dismutase-(SOD)-like activity by pyrogallol,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xanthin oxidase. The yield of the fermented black jujube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ried jujube extracts, and that of the ethanol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water extracts.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water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were higher. The EDA valu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and dried jujub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and were about 85% in a 1000 ㎍/mL extract concentration. The SOD-like activ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The SOD-like activity of the hot-water extract from fermented black jujub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extracts.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at pH 1.2 of the hot-water extracts from dried jujub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extracts.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and increased along with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s.
        55.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black jujube (FBJ)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ried jujube (DJ) to improve their utilization as food materials. The moisture contents and brix of the DJ and FBJ were 22.6% and 6.07 brix, and 10.36% and 7.23 brix, respectively. Their L values were 34.78 and 31.82, and the a and b values of DJ were higher than those of FBJ. DJ had a lower water activity level (0.75) than FBJ (0.45), but FBJ had a higher amount of reducing sugar and soluble protein than DJ. The major free sugars in the two types of jujube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their potassium content was highest (about 90%) among minerals. Their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51.0% and 59.83%, respectively, and the major fatty acids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and palmitoleic aid were detected in them.
        56.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turating and dried jujube.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unripe and ripe jujube were found to be 84.66 and 66.45%, respectively, but that of the dried jujube was 31.48%. The crude-fat and crude-ash contents of the dried jujub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maturing jujube.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the unripe, ripe, and dried jujube were found to be 13.51, 27.94, and 61.70%, respectively, and the soluble-protein contents were 0.88, 1.73, and 3.71%. The reducing-sugar content of the dried jujube was 18.82%, higher than that of the ripe jujube. The sucrose contents of the unripe and ripe jujube were 10.15 and 16.66 g/100 g,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dried jujube was 33.46 g/100 g. The major fatty acids that were found to compose jujube were palmitic, oleic, pamit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The myristoleic and arachidonic aci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dried jujube than in the ripe jujube, but the palmitoleic acid content was lower in the dried jujube than in the ripe jujube. The major minerals of jujube were found to be Ca, K, Mg, and P, and the total mineral contents of the unripe, ripe, and dried jujube in this study were 343.38, 584.94, and 331.56 mg/100 g, respectively. The polyphenol contents of the unripe, ripe, and dried jujube were 309.12, 248.80, and 23.34 mg/100 g, respectively, while the vitamin C contents were 610.04, 310.22, and 423.27 mg/100 g.
        57.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추를 이용한 전통식품인 정과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설탕, 과당 및 물의 첨가에 따른 대추정과의 수분함량, 물성, 관능검사를 분석하여 대추정과 제조방법을 최적 조건을 분석하여 대추정과의 제조방법을 최적화하였다. 대추정과의 제조조건에 따른 수분 함량의 변화는 설탕의 양과 물의 양이 증가하였을 때 증가하였고, 또한 과당의 양이 높고 설탕의 양이 낮은 때 수분함량이 높았고, 설탕과 과당의 함량이 높을 때에는 수분 함량이 낮았다. 황색도 b
        58.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추 열매와 잎을 기능성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매와 잎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71.92% 및 41.51%로 나타났으며, 열매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Ca(72.14 and 3,252.09 mg/100 g), K(899.82 and 1,708.12 mg/100 g) 및 P(172.11 and 286.28 mg/100 g).이었다. 열매의 주요 유리
        59.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67, 65.95%이었다. 대추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60.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추의 과실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한 종류인 정과를 접목하고 여러 가지의 전처리 과정을 달리한 대추정과를 제조하고 대추정과의 제조과정 및 최종 제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추정과 제조시 중량의 변화는 당조림공정에서 증가를 보였고, 색도는 당조림공정 후 외부의 명도 L 값은 크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적색도(a)과 황색도(b)는 크게 낮아졌다. 수분함량은 건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