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including proximate, amino acid, vitamin, mineral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pollen grains collected by Apis mellifera bees, for use as a health food. The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was estimated at 26.14% and 3.49%, respectively. Eighteen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green tea pollen, including 8 essential amino acids and 10 non-essential amino acids. The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proline and aspartic acid accounting for about 33.3% of total free amino acids.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C was the highest value of 35.7%, followed by B3 and B2 among the detected vitamins. The predominant minerals were potassium (790.32 mg/100g), followed by phosphorus (707.52 mg/100g) and sulfur (302.67 mg/100g), whereas copper, zinc and sodium were detected as minor elem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accounted for 33.8% at 500 μg/mL extract and 2.55 μg/mg, respectively.
        4,000원
        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 production from approximately 1.7 million colonies owned by around 21 thousand beekeepers was almost 36 thousand M/T in Korea. Pollen has used as a food and medicine from before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Korea. Pollen grains such as acorn (Quercus acutissima), actinidia (Actinidia arguta) and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re popular in the markets in Korea. But stiff pollen wall hindered dissolution of polysaccharides and lowered extraction efficiency. In the present study, we measur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from the pulverized and lyophilized green tea pollen grains inoculated with 6 kinds of fungi to confirm the husk removal effe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green tea pollens was highest in lyophilized pollen medium inoculated with Armillaria mellea, and was lowest in pollen inoculated with Lentinula edodes.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lyophilized poll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efined pollen and the pulverized pollen in green tea pollen germinated with A. melle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lyophilized green tea pollens germinated with A. mellea was 1.4-fold higher than that extracted with water.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 showed that the lyophilized green tea pollen grains germinated with A. mellea had the highest and that germinated with L. edodes was lowest in antioxidant activities. The lyophilized green tea pollen grains germinated with A. mellea was 2 to 4 times higher than that extracted with water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Many germinated cells were formed around pore of green tea pollen inoculated with L. edodes, while those were formed at the end of hyphae derived from green tea pollen grains inoculated with A. mellea.
        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xport strategy due to an analysis of USA and Japan consumer's perception and willingness-to-pay for flower tea. For that,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on flower tea compared with leaf tea such as green tea. We also analyzed the willingness to purchase and pay for it. The reasons of drinking of flower tea for USA consumer are 'flavor'-followed by 'taste', and for Japanese consumer 'relaxation'-followed by 'flavor' in order. Both of them consider 'quality', 'safety'- and 'origin' in order when they purchase flower tea. USA consumers have a willingness-to-pay of about 8.3% and Japanese consumers have a willingness-to-pay of about 29.1%. Based on tho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roces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export of flower tea.
        4,000원
        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장뇌삼엽차의 추출물보다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이 장뇌삼엽차와 발효장 뇌삼엽차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의 항산화 활성은 비슷하였다. SOD 유사활성도 측정에서는 대조군인 vitamin C와 비교할 때 모든 군이 SOD 유사활성도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의 조건에서 1 mg/mL의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아질산염 소거능이 장뇌삼엽차, 발효장뇌삼, 장뇌삼, 발효장뇌삼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H 6.0의 조건에서는 모든 군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eLa cell에서 시료 중 장뇌삼과 발효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30%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는 각각 약 24%, 22%로 분석되었다. MCF-7 cell 발효장뇌삼과 장뇌삼엽차의 추출물이 1 mg/mL의 농도에서 27% 이상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비슷하였고, 장뇌삼 추출액이 21%로 가장 낮았으며, 발효장뇌삼엽차 추출액이 70% 이상으로 나타나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각 시료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mposition of catechins, theaflavins and alkaloids in leaves during processing to fermented black tea, which is produced by withering, roll breaking, and fermentation of Korean Yabukida tea plant. In addition, we determin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lack tea. The average moisture content in fresh leaves was 70.85%, which dropped to 3.07% in fermented black tea at the last stage of production. When the leaves were analyzed by HPLC, seven types of catechins, four types of theaflavins and three types of alkaloids were identified. The levels of catechins, theaflavins, and alkaloids were then evaluated after being processed into fermented tea. From these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level of theaflavins, which determines the property of the tea,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is effect resulted from the change in EGCG, ECG, EGC, EC during the process of fermentation. We also found that the maximal amount of theaflavins was created after 1-2 hours of fermentation. Thus, our results imply that the best condition for producing fermented black tea would be to ferment for 1-2 hours.
        4,000원
        9.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장뇌삼 엽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장뇌삼 잎의 성분분석 및 장뇌삼 엽차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흰쥐에게 장뇌산삼 엽차를 7주간 공급한 후 혈청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장뇌삼 잎의 수분은 19.14%, 조회분은 6.64%, 조지방은 0.82%, 조단백질은 11.03%, 조섬유는 11.47%, 탄수화물은 62.37%를 나타내었고, 무기질 중에서는 칼륨이 2,111.38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장뇌삼 잎에서는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170.48 mg/100 g의 탄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렉틴 함량은 5,540 mg/100 g으로 분석되었다. 전자공여능으로 측정한 항산화활성은 장뇌삼 엽차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장뇌삼 엽차를 500 ppm로 처리 하였을 때에는 45%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활성은 pH 3.0 보다 pH 6.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H 6.0에서 250, 500, 1,000 ppm 농도로 처리했을 때 각각 23.47, 32.84, 51.41%를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를 7주간 급여하며 장뇌삼 엽차를 병행 투여하였을 때 식이섭취량은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과 장뇌삼 엽차를 병행 투여한 실험군 모두가 정상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장뇌삼 엽차 급여군은 약 6.4% 감소하였다. 체중 100 g당 간의 무게는 3.11±0.29 g인 정상군에 비해 4.82±0.08 g인 고지방 급여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장뇌삼 엽차 병행급여군도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액 중 총 지방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서 66.2% 증가하였으며 장뇌삼 엽차 급여 시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8.0%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혈액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서 66.6% 증가하였으며, 장뇌삼 엽차 공급 시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액 중 중성지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서 172.5% 증가를 나타내었고, 장뇌삼 엽차 공급군은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7.3% 감소하였다. 혈액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로 36.4%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장뇌삼 엽차를 병행급여하였을 경우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장뇌삼엽차의 항산화활성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 등을 통해 장뇌삼엽차의 개발 및 산업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었으며 추가 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re were royal proprieties of tea ritual mainly for the purpose of serving envoys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offering of a new product to the Deity. There were Buddhist proprieties of tea ritual representing religious ideals of each sect of Buddhism. And Confucian tea ritual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book entitled Kare (a family code of decorum) written by Chuja. Besides these there, were Taoist proprieties of the ritual.
        4,000원
        11.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ndings of the historical study of the proprieties of Korean traditional tea ritual, based on documents, are as follows. 1. The proprieties of tea ritual for the Imperial Sanctuary and the Buddhist proprieties of tea ritual for Buddha was celebrated during the Silla dynasty. 2. The proprieties of tea ritual during the Koryo dynasty developed in various types, such as the propreieties of tea ritual for the Imperial government, Buddha, Confucians.
        4,000원
        12.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전통차의 제조기술 개발과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다류 (쌍화차, 생강차, 율무차, 현미차, 유자차, 홍차, 녹차) 7종에 대한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다류의 관능평가를 위한 표준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차종류에 따라 마시기에 가장 알맞은 온도범위를 조사하였든 바, 7종의 다류 모두 60℃-70℃ 범위가 최적 음다 온도로 나타났다. 최적온도는 일반적으로 다류 제조회사가 권장하는 농도가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차종류에 따른 품질묘사는 주로 맛, 냄새, 입속의 감촉, 뒷맛 등에 대한 표현이 45종이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하여 8명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으로 구성된 관능검사파넬을 이용하여 차종류별 풍미묘사분석(flavor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차종류별 주요 풍미요소를 정리하여 풍미묘사분석방법을 수립하였고 차종류별 대표적인 시중제품과 순수한 추출물 및 원료들을 시료로 하여 총 29종의 flavor profile을 비교하였다. 이들 결과를 정량적 묘사분석법으로 도해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4,800원
        13.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re-extraction conditions of ethanol from catechin in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a five level and two variable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lvent ratio to sample content (1, 4, 7, 10, 13 mL/g) and extraction temperature (-20, -10, 0, 10, 20℃) on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yield, epigallocatechin (EGC), epicathchin (EC),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epicatechingallate (ECG), total catechin and caffeine. ANOVA results showed that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of estimated models for dependent variables were ranged from 0.9054~0.9778, while R2 of caffeine were estimated 0.8770. The optimum ranges for the maximized extraction including yield, EGC, EC, EGCG, ECG, caffeine and total catechin were 4.5~7.5 mL/g in ratio of ethanol to sample and -8~8℃ in extraction temperature. The actual values of yield, EGC, EC, EGCG, ECG, caffeine and total catechin, respectively, at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35.02%, 13.31%, 3.978%, 19.11%, 4.29%, 5.30% and 40.68%
        1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수집 보존 중인 재래종 차나무 유전자원 238 계통의 작물학적 특성 및 품질관련 성분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재래 유전자원을 활용한 육종소재용 우수 모수 선발 및 고 기능성차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수집 차나무 유전자원 238 계통을 대상으로 작물학적 특성 중 맹아기의 조만성을 비교한 결과 조생종이 20%, 중생종이 43%, 만생종이 37%로 조사 되었으며, 엽 생장특성 중 엽폭은 19.8-75 mm의 범위를, 엽장 35.5-160 mm, 엽면적 660-8,400mm2 , 엽록소 함량(SPAD) 51.3-82.3로 비교적 변이의 폭이 넓게 조사되었다. 2. 국내 수집 보존 차나무 유전자원의 품질관련 성분검정을 수행한 결과 총질소의 함량 범위는 4.18-6.07%,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범위는 2.87-4.58%, 데아닌 1.64-2.66% 범위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은 각각 11.54-15.07% 및 2.82-4.23% 범위로 존재하여 유전자원 간에 함량의 다양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3. 국내 수집 재래 유전자원을 활용한 육종소재용 우수 모수 선발을 위하여 차나무 유전자원 238 계통을 대상으로 품질관련 성분 검정을 수행한 결과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4.2% 이상인 자원 4계통, 데아닌 함량이 2.5% 이상인 자원7계통, 카테킨 함량이 15%이상인 자원12계통, 카페인 함량이 2.75% 이하인 자원 12계통 등 총 35계통의 유망자원을 선발하였다.
        15.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과의 저장안전성 및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가루녹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루녹차 1, 2, 3% 첨가량에 따른 수분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기공크기와 팽화율은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
        16.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녹차의 채취시기별 주요 화학성분과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데아닌,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항산화 및 라디칼 소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중작 37.16 mg/g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세작 24.65 mg/g, 대작 23.28 mg/g, 우전 19.55 mg/g 순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는 대작이 350.83 mg%으로 중작 270.36 mg%, 세작 256.88 mg%, 우전 220.8
        18.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 유래의 미생물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후발효차의 주요성분과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후발효차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에서 각각 ethanol 추출물(, 33.5 g/100g)이 가장 높았으나, 1년 저장한 시료에서는 ethyl acetate 추출물(, 39.5 g/100g)이 다른 모든 추출물보다 가장 높았다. 후발효차의 catechin류는 EGC, GC, catechin, catechol 및 EGCG가 검출되었으며, 열수 추출물에
        19.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ices of domestic green tea products are relatively expensive and price differences within products of the same levels of quality are various. Also, there is no basic criteria on evaluation of green tea quality. To group 43 commercial green tea products into several part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es, this work was done by use of 8 chemical constituents which were analyzed by NIR system. The principal component and cluster analyses revealed 8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d 16 products that had low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The second group included 5 products having high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but lower ash contents. The third group included 13 products showing medium values of 8 constituents. The IV group included 4 products having higher contents of moisture, free amino acids, and theanine. The V group included 1 product showing higher moisture but lower catechins contents. The VI group included 2 products that had higher moisture and catechins contents, but lower free amino acid and theanine contents. The VII group had higher moisture and catechins contents. The VIII group had higher ash and vitamin C content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in flavor evaluation of green tea quality did highly positively correlate with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0.956**),~;theanine~;(0.981**),~;and~;caffeine~;(0.793**) , but negatively with the contents of ash (-0.884**) . The catechins used as for functional ingredients did correlate with contents of caffeine(+) and vitamin C(-), respectively.
        20.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재배 산약 제품의 가공 이용방법개발의 일환으로 산약, 당귀, 대추 등 혼합약재를 이용한 고형차 개발시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산약, 당귀, 대추의 각 약재별, 추출시간별, 약재 혼합비율별 총 추출수액, 당도, 엑스함량을 조사하고 과립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악, 당귀 및 대추의 각 약재를 130℃ 조건에서 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 약재의 총 추출 수액, Brix당도 및 엑스함량 모두 대추가 가장 높았고, 당귀, 산약의 순으로 나타나 산약의 단독이용보다는 흔합약재의 이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다. 2. 혼합약재 이용시 130℃조건에서 추출시간을 8시간과 12시간으로 달리 하였을 때 총 추출 수액의 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그러나 Brix당도 및 엑스함량은 12시간 추출이 8시간 추출보다 각 1.17%, 1.80%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산약, 당귀, 대추 각 약재의 혼합비율별 총추출수액, Brix당도. 엑스함량을 조사한바 산약 : 당귀 : 대추가 30 : 40 : 30 (750g : 1,000g : 750g)의 비율로 혼합된 약재에서 가장 높았으며, 40 : 30 : 30 (1,000g : 750g : 750g)의 비율로 혼합된 약재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4. 엑스 20%, 포도당 70%, 유당 10%로 배합한 것이 외관상 양호하였다. 5. 과립 굵기는 직경 1.5mm로 하는 것이 제조, 건조가 능률적이였고 제형이 우수 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