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1.
        202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이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원강사들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중・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및 수학 학습태도를 향상하려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원에서 수학 과목을 수강 중인 중・고등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은 학습지도> 학급운영> 생활지도≥ 보충지도> 상담지도> 진로지도의 순이고, 학생의 회복탄력성은 긍정성>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의 순이며, 학생의 수학학습태도는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 교과에 대한 태도 >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의 역할수행은 학년과 수강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수학학습태도는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성적이 높을수록, 학원강사가 생활지도, 상담지도, 보충지도를 잘한다고 인식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수학학습태도는 학원강사가 진로지도를 잘하고, 학생의 자기조절 능력 및 긍정성이 좋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raditional in-person classes canceled due to the pandemic, teachers moved classes online, adapting new teaching methods.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if flipped learning conducted through fully online systems improves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Comparing a conventional flipped learning model with asynchronous online before-class sessions to offline during-class ones, this study replaced offline during-class sessions with synchronous online ones and tried to see if a variant form of flipped learning will be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over time. Twenty-two English major students participated in a variant of flipped learning for eight weeks. A pre- and a post-test were administer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adapted from Lee and Pyo (2018)’s four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autonomy, responsibility, creativity, and self-concep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four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in the fully online flipped classroom. Second, two themes, ‘greater work efficiency online’ and ‘a unique group mechanism online’ were found from open-ended questions, and explain well why the online-only flipped learning model is conducive to develop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6,000원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이 성격에 따른 자신의 학습태도 특성을 파악하고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학습지도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청소년 학습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시행하였다. 첫 번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 한 청소년 학습태도 척도의 문항 개발은 1차 문항선정 과정, 2차 문항선정 과정, 문항 검증 과정으로 총 3차의 과정을 걸쳐 진행되었으며 선정과 정을 통해 최종 70문항이 선별되었다. 두 번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한 학습태도 척도 검증을 위해서는 세 가지 방법이 수행되었다. 첫 번째 방법은 남․녀 성별을 통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두 번째 방법은 에니어그램 세 가지 중심에너지 사고형, 가슴형, 배형과 비교 검증하였다. 세 번째 방법은 대학생 회고적 방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기반 한 청소년 학습태도 척도 총 70문항에 대한 검증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7,800원
        4.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학술적으로 논의되던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에 대한 실증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그 개념도 명확해 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 등은 많았지만 두 독립 변인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프로테안 경력 지향성과 무경계 경력,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였다. 경력관련 변인간 관계를 보면 프로테안 경력은 경력개발정책과 긍정적 경력태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무경계 경력은 긍정적 경력태도와 미래 학습 준비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미래 학습 준비도와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효과는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을 위한 의도와 학습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정책을 주관하는 조직내 HRD/HRM 부서의 역할에 따라 근로자의 미래를 위한 학습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500원
        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the college setting. For the aim, this study tried to see if there are meaningful changes i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ver time. With the research aim in mind, an elective university class of 47 students was observed for 15 week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Guglielmino(1977)’s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four characteristics were finally used for this study: Openness, self-directedness, responsibility, and passion for learning.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wice in the 5th and 14th week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A non-parametric test for repeated t-test,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all 4 characteristics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efore and after flipped learning. Second,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students felt positive about their flipped learning since it provided them with great opportunities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ovided.
        8,0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visual images, i.e., static images versus dynamic images,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Eighty-four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One of the experimental groups utilized static images, and the other group, videos as dynamic images in vocabulary learning.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definition or the explanation of each target word in L1. The results of the study manifested that the static image group showed higher scores for the post test than the dynamic image group.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 affective tests demonstrated that the static image group showed an improvement in confidence in language learning and the dynamic image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 of all three areas: interest, confidence, and aroused motivation. The analysis of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showed that many participants in the static image group tended to use pictures as retrieval cues to remember vocabulary.
        6,300원
        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elf-assessment in a classroom setting. The current study adopted Guglielmino’s (1977)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changes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ver time: self-directedness, responsibility,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 class of 24 students enrolled in Current English Practice was observed for 15 weeks, where four self-assessment sessions were administered. After mid-term exam,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self-assessment helped students with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students of a group regarding possibl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rough self-assessment in the course of tim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students felt positive changes in those four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y the implementation of self-assessment in the classroom. Second,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supported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that self-assessment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However, there is a research limitation that the impact of self-assessment cannot be singled out because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in class.
        7,000원
        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생중심의 다양한 탐구활동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태도와 흥미 신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는 문제풀이에만 치중하는 학생들에게 과정을 중요시하게하고 탐구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수학 교과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신장과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배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실천하였다. 실천과제로는 첫째, 2009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기본학습내용 분석을 통해, 탐구활동 수업을 위한 준비를 하였으며, 둘째, 중1수학 교과의 단원별 탐구활동 계획을 세우고 자료를 수집 재구성하여 다양한 탐구활동 수업 방법을 구안하였고, 셋째, 재구성한 자료를 교수·학습 활동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와 흥미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활동 결과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 긍정적으로 대답한 비율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습의욕을 키우며 스스로 학습하는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 교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변화는 수학에 대한 흥미 신장으로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다.
        4,900원
        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types via smart-phones on vocabulary learning and the attitud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56 college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a competitive and self-paced group (Group 1), a competitive and controlled-paced group (Group 2), an individual and self-paced group (Group 3), and an individual and controlled-paced group (Group 4). Vocabulary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analyses of the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Group 3 had improved most and Group 1 earned the second highest score, indicating that competition can make a positive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test scores between self-paced and controlled-paced groups. In addition, vocabulary learning via smart-phone applications improved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6,100원
        1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코티칭을 활용한 천문 STEAM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천문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초등과학 영재학생들 5-6학년 36명 중 실험집단은 16명, 비교집단은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티칭을 활용한 천문 STEAM 프로그램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이 프로그램은 학습기회의 개방성 영역과 문제 해결 기술 영역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셋째, 학생들은 코티칭이 많은 피드백과 깊이 있는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만족했고, 교사들은 코티칭이 STEAM 수업에서의 전문지식 부족과 평가 및 수업자료준비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STEAM 수업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코티칭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했다.
        4,500원
        1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utilized with 64 students. The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consisted of intrapartum and postpartum care. Results: Th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scores in maternity nursing car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ost-test (t=-5.92, p <.001, t=-7.35, p <.001) and enhance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Conclusion: The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was useful in improving the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um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We recommend for simulation-mixed maternity nursing practicum to increase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4,000원
        12.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5,400원
        1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spect how the portfolio assess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fects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mprovement of motor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of 40 students utilized the portfolio assessment and the control group of 40 students were tested with a traditional assessment. A test paper on learning attitude and a measure on assessment of motor skills was estimated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fter a vaulting horse-rolling instructions were practiced 11 sessions for 4 week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sted with portfolio assessment.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with traditional assessment. Each group took a posttest about learning attitude and motor skill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ost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Second, the motor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ere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4,200원
        1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近年來,越來越多內地學生來香港就讀大學。內地生須面對語言和文化的差異而造成的種種學習上的困難。本論文嘗試從問卷調查、學生的前測和後測的成績比較等方法,分析、探討在香港浸會大學就讀的內地生學寫繁體字的心態及其學習能力,從而在教學過程因應需求微調課程的講授內容,幫助內地學生適應校園生活,儘快融入香港社會。
        1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8학년 '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단원에서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전략의 하나인 게임 활용 수업이 학습자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D중학교 2학년 120명이다. 게임 활용 학습을 실시하기 전에 동질성을 가진 학급을 선택하기 위하여 학기 초 진단평가 결과와 4월말에 실시된 중간고사의 성적을 이용하였으며 진단평가와 중간고사 성적이 비슷한 남학생 4개 학급을 선정하여 두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남은 두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중간고사 성적 상위 20% 학습자를 상위집단으로, 하위 20% 학습자를 하위집단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수업의 적용 및 정리 단계에 게임을 투입하여 10차시의 게임 활용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수업처치 후 과학 태도 변화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내의 상위집단에 비해 하위집단에서 과학 태도면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게임 활용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참여도를 높여 주었다. 이렇듯 게임 활용 학습은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 유도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자료로서 그 시사점이 크다.
        4,000원
        16.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an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the value and the role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ere were two factors defining participating in spo
        5,800원
        17.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style and students learning attitude. To do thi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style was classified into democratic, training and direction, social supportive, pos
        5,200원
        18.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ARCS(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전략을 적용한 STS(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3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표집하여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4주 동안 실험반에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 수업을 처치하였고, 통제반에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ARCS 전략을 적용한 STS수업이 전통적인 수업보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4,000원
        19.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과에 적합한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웹을 활용하여 정보를 교수자, 학습자를 비롯한 여러 사람과 교환하였다. 남녀 공학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에 대하여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 그리고 통제 집단에 대하여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웹기반 수업은 학업 성취 수준별 비교에서 특히 상위 집단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웹기반 프로젝트 수업은 과학 교과에 대한 흥미 유도를 통하여 여학생들의 성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함으로써 과학학습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주었다.
        4,5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