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solemn and serious uniform, military uniform can be differentiated easily from any other clothing in the aspects of color, material and style. Inspired by military uniform, fashion designers have been applying military uniform elements into modern fashion design in recent years, which helps to bring military uniform from the trench onto international fashion runway. The primary method of this research is theory analysis method and exampling study method. Based on the collected materials of modern military uniform, this paper takes the fashion and cultural study theory of the famous American scholar Susan B. Kaiser as the leading theory to analyze four subject positions embodied in military uniform, including nation, rank, gender and time and space. By analyzing the subject positions embodied in military uniform, it shows the rich cultural connotation of military uniform and the function of various small details. Meanwhile, by giving specific examples, this paper explores the influences of military uniform on modern fashion design in respect to color, style, material, pattern and accessory. Through the conduct of this research,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military uniform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described in the fashion and cultural theory of Susan B. Kaiser, in addition, designers can be inspired by every specific object around them, which shows the talents of designers.
        4,000원
        3.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논증한 에피스테메와 “인간의 사 라짐”에 근거하여 모더니즘과 엘리엇의 시의 본질을 재평가하고자 한다. 에피스테메는 역사적이지만 비-시간적인 선험으로서, 어떤 특정한 시대에 특정한 담론들이 가능한 조건으로서 작동한다.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 말까지 지속되었던 근대의 에피스테메 내에서 인간이란 개념은 생물학, 경제학과 언어학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 개념은 철학의 영구 적인 주제가 아니라, 근대 과학의 발전에 기반을 둔 역사적인 해설이거나 역사적으로 구성된 허구에 불과하다. 푸코는 근대의 에피스테메가 갑자기 변화하면, 인간이란 개념도 쓸모없어지며, 따라서 근대 주체인 인간도 사라진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푸코의 에피스테메와 근대 주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론에 근거하여, 모더니즘을 “새롭게 하기”라거나 “재현의 위기”라거나 “내면 탐구”라는 문학적 운동에 불과한 것이 아니 라 새로운 시대의 에피스테메이며,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엘리엇의 시는 근대 주체인 인간의 죽음과 새로운 인간의 출현을 그려내고 있다는 것 을 밝히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