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채벌레는 우리나라에 6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시설작물에서 직접적인 섭식 피해 이외에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를 매 개하는 간접적인 피해도 유발한다. 그동안 총채벌레 방제는 살충제에 의존해 왔는데, 이는 농업환경에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고 해충의 저항성을 유발시켜 더욱 방제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내성 회피를 위한 물질을 탐색하였다. 실내검정으로 약용작물 67종의 추출물을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처리하여 가장 효과가 우수한 목단피를 선발하였다. 목단피 추출물을 처리 후 1일차에 100%의 살충효 과를 보였다. 또한, 목화진딧물은 3일차 83%, 복숭아혹진딧물 3일차 97%, 점박이응애 1일차 100%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고추 포트 검정에서 꽃노랑총채벌레 방제가는 1일차 77.6%, 2일차 40%의 효과가 나타났다. 현재 추가적으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 있으며, 총 채벌레 방제에 본 추출물을 활용한다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utan Cortex Radicis extracts and paeonol, a major component, on rabbit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oxane (TX) B₂ formation. Moutan Cortex Radicis methanol and butanol layers (100 μg/mL) showed the weak inhibitions, and water layer (100 μg/ mL) had no effect on the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hereas, hexane and EtOAc layers potently inhibited the collagen (3 μg/mL)-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ith the IC_(50) values of 10.9±1.0 and 31.5±0.8 μg/mL, respectively. Paeonol isolated from the hexane-acetone layer specifically inhibited the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ith the IC_(50) value of 113.1 ± 0.9 μM, whereas it had little effects on the other agonists such as AA-, thrombin-, A23187- and thapsigarg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s. Paeonol also potently inhibited the collagen-induced TXB₂ formation in rabbit platele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eonol may inhibit rabbit platelet aggregation by interfering with an essential step in collagen-induced platelet activation and TXA₂ formation. Paeonol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an antiplatelet agent.
        3,000원
        3.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pplication of PCR analysis on the herbal medicine Moutan Cortex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was evaluated by the comparison of the gene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DNA sequence with Paeoniae Radix (Paeonia lactiflora Pallas) following development of specific primers. Moutan Cortex and Paeoniae Radix were distinguished through the PCR analysis based on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PCR) from nuclear ribosomal DNA region. The 294 bp PCR products both of Moutan Cortex and Paeoniae Radix was amplified by MIF1 and MIR1. And a Moutan Cortex specific 225 bp PCR amplification product was amplified by MIF2 and MIR1 primers. The 225 bp sequence could be successfully amplified from Mortan Cortex of dried herbal preparations. PCR analysis based on ITS (ITS-PCR) may be an efficient tool for the discrimination of Moutan Cortex.
        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utan cortex, the root bark of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Paeoniaceae), has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alges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 investigated a methanol extract of Moutan cortex for neuroprotective effects on neurotoxicity induced by amyloid β protein (Aβ) (25-35)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Exposure of cultured cortical neurons to 10 μM Aβ (25-35) for 24 h induced neuronal apoptotic death. Moutan cortex inhibited 10 μM Aβ (25-35)-induced neuronal cell death at 30 and 50 μg/ml, which was measured by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Moutan cortex inhibited 10 μM Aβ (25-35)-induced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i),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were measured by fluorescent dyes. Moutan cortex also inhibi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 μM Aβ (25-35), which was measured by HP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utan cortex prevents Aβ (25-35)-induced neuronal cell damage by interfering with the increase of [Ca2+]i, and then inhibiting glutamate release and ROS generation. Moutan cortex may have a therapeutic rol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Alzheimer's disease.
        5.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1 종의 생약 추출물을 선정하여 5 μg/ml의 농도에서 SK-MEL-28 cell 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목단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74.3%의 성장율을 보였다. 활성 물질을 찾기 위하여 목단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hexane 분획과 EtOAc 분획에서 충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mp, UV, IR, 1H-NMR, 13C-NMR 등 각종 물리, 화학적 data로부터 그 구조를 paeonol (1), benzoylpaeoniflorin (2), benzoic acid (3), 2,5-dihydroxy-4-methoxy-acetophenone (4), paeoniflorin (5)으로 동정하였다. 분리한 물질을 human 피부 암세포인 SK-MEL-28 세포주에 대하여 10 μg/ml의 농도에서 SRB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compound 4가 ED50 값이 5.92 μg/ml로 가장 좋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결과는 compound 4가 SK-MEL-28 melanoma 세포주에 대한 새로운 항암 후보 물질임을 제시한다.
        6.
        1998.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단피의 메탄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균작용,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검색하고, HPLC와 GC를 이용하여 페놀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항균작용은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람 음성균보다는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이었다.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의 MIC를 측정한 결과,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는 156-1250/ml, 그람 음성균에는 2500-5000/ml 이었다. DPPH 라디칼에 대한 프리라디칼
        7.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단(牡丹)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비료(肥料)를 선발(選拔)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고자 묘두(苗頭) 2~3 개묘(個苗)의 제천지방재래종(堤川地方在來種)을 공시(供試)하였으며, 10a당(當) 퇴비(堆肥) 2,000kg, 3요소비료(要素肥料)(N-P2O5-K2O=10-10-10), 계분비료(鷄糞肥料) 100kg,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200kg, 2종복합비료(重複合肥料) 100kg, 무비구등(無肥區等) 6처리(處理)를 난괴법(亂塊法) 3반복(反復)으로 하여 1990년(年) 11월(月) 12일(日)에 휴폭(畦幅) 200cm(4열(列)), 주간(株間) 40cm(1주(株) 1본(本))으로 정식(定植)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3월(月) 29일(日)로 처리간(處理間)에 차(差)없이 균일(均一)하였고, 입수율(立手率)은 85%이상(以上)으로 양호(良好)하였으며, 초장(草長)과 엽병장(葉柄長)은 무비구(無肥區) 58cm, 35cm보다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 길었고, 2년생(年生) 줄기의 길이는 13cm보다 2종복합비료(種複合肥料)에서 짧았으나 1년생(年生) 줄기 길이는 무비구(無肥區) 25cm보다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 모두 길었다. 2. 주근장(主根長)은 무비구(無肥區) 25.4cm에 비(比)하여 2종복합비료(種複合肥料) 시용(施用)에서 1.2cm가 짧았고, 그 외(外)의 비료시용(肥料施用)에서 2.4~5.6cm가 각각(各各) 길었으며, 근태(根太)는 무비구(無肥區) 1.3cm 보다 퇴비(堆肥)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에서 가늘었으나, 화학비료(化學肥料) 시용(施用)에서는 굵었다. 3. 모단(牡丹)의 주성분(主成分)인 paeonol 함량(含量)은 무비구(無肥區)에 비(比)하여 3요소(要素)와 2종복합비료(種複合肥料),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에 의하여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10a당 생근중(生根重)은 무비구(無肥區) 840kg에 비(比)하여 계분비료시용(鷄糞肥料施用)은 15%,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는 26%, 3요소 시용(施用)은 17%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특히 퇴비시용(堆肥施用)에서 31% 증수(增收)되었고, 근피중(根皮重)은 무비구(無肥區) 151kg에 비(比)하여 퇴비(堆肥), 계분(鷄糞) 비료(肥料) 시용(施用)은 42~49% 증수(增收)되어 모단(牡丹) 재배시(栽培時) 화학비료(化學肥料) 시용(施用)보다는 퇴비(堆肥) 등(等)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이 효고적(效果的)이었다.
        8.
        199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sirable storage method to major chinese herbal medicine materials, Moutan Radicis Cortex in different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degree. The loss in weight of Moutan Radicis Cortex as influenced by packing materials was the lowest at complete sealing treatment with transparent or black polyethylene film. The rot ratio of Moutan Radicis Cortex during the storage period was not difference between packing materials, transparent and black polyethylene film, but rot ratio of complete sealing condition was lower than punch (ΦJ5mm) on polyethylene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