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인 개똥쑥을 배지 재료로 활용하여 느타리 재배를 위한 적정 혼합비율을 설 정하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균사생육과 균사밀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육은 배양 23일 후 개똥쑥 5% 첨 가된 배지에서 12.7 cm였고, 대조구인 포플러톱밥+미강 (8:2)배지에서는 12.5 cm로 개똥쑥 첨가배지와 균사생육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 보다 균사생육이 느렸으며, 개똥쑥 70%에서는 2.1 cm로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개똥쑥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개똥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의 직경은 대조구보다 개똥쑥 첨가에서 높았지만, 갓의 두께는 대조구에서 조금 높았다. 대의 두께는 개똥쑥 15%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길이는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지만 대조구보다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개똥쑥 10%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개똥쑥 5%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19 g/850 ml였고, 개똥쑥 5%에서 122 g/850 ml으로 가장 높았고, 개똥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감소되었다.
        3,0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optimum mixing ratio of Korean cultivation Salvia miltiorrhiza forproduction of functional oyster mushroom. Mycerial growth was slow at addition of Salvia miltiorrhiza, and significant differenceby increase of Salvia miltiorrhiza. Yields of fruiting body show the highest to 139.5g/850ml of medium which are addition 5g/bottle of Salvia miltiorrhiza but rapid decrease by increase of Salvia miltiorrhiza. Diameter of pileus and thick of stipes were higherat addition Salvia miltiorrhiza than those of the controls. Thick of pileus and length of stipes were the highest at addition 30g, and20g and 30g of Salvia miltiorrhiza. The L value of stipes were the highest at addition 20g and 50g of Salvia miltiorrhiza and theL value of pileus were the highest at addition 30g of Salvia miltiorrhiz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alue andthe b-value.
        3,000원
        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자생하는 옻나무톱밥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여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옻나무톱밥이 10%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생장량이 가장 빨랐고, 옻나무톱밥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 속도는 조금 빨랐다. 자실체 수량은 옻나무 톱밥 20% 첨가시 150.2 g/850 mL으로 대조구 보다는 조금 낮았다. 갓의 직경과 대의 두께는 옻나무 톱밥에 10% 첨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의 길이는 옻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가장 길었다. 대와 갓의 경도는 옻나무 톱밥 10% 첨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옻나무 톱밥 첨가 배지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의 L값은 옻나무 톱밥 10% 첨가에서 가장 높았고, 갓의 L값은 옻나무 톱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000원
        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섯 재배는 자동화된 공장처럼 관리되고 있다. 배지를 만들어 서 수확하는 1배치의 생명 주기가 2개월 안에 종료되며, 이러한 배 지를 만드는 작업이 보통 1일 2회 내지 3회 정도 농가별로 진행하고 있어서 3회 기준으로 볼 때 1년에 1,095(3배치 * 365일)배치를 반 복하는 것이다. 즉 1,095 배치에 대하여 각 배치당 생산량의 차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많은 생산량을 가진 배치의 생장 환경을 기 준으로 하여 다른 배치의 생장 환경을 조정한다면 생산량의 확대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개념에 기반을 두어 진행한 것이 본 연구이 며 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하여 개념을 실현하였다. 버섯 생장 환경 수집 대상은 온도, 습도, CO2 뿐만 아니라, 배지의 습도, 오염 정도 등이 있으며 수집 방법으로는 일부는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자동으 로, 일부는 작업일지를 통하여 수동(예를 들어, 오염 정도, 폐기량 등)으로 이루어진다. 수집된 데이터는 누적되어 보관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볼 때 즉 최대 생산량을 가진 배치의 과거 수집된 생장 환경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데이터의 보편성을 위하여 약 60회(임의로 설정) 이상의 배치를 분석하여 최종 판단하는 것이고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자동 분석 정보 가 도출되며, 이를 기반으로 수동으로 담당 전문가(버섯 연구소 담 당자)가 분석한 결과에 최종 의견을 넣은 보고서를 작성하여 해당 농가에 제공하는 것(버섯생장분석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적용은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와 새송이에 적용하였 지만 모든 버섯 생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