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ridin E, a constituent of Podostroma cornu-damae, has excellent medicinal properties and exhibits powerful anticancer effects. However, being a poisonous mushroom, P. cornu-damae is difficult to find in its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only a limited amount of roridin E is isolated from P. cornu-damae. We isolated roridin E from mycelial culture medium of P. cornu-damae and examined its effects on five breast cancer cell lines. The purity of the isolated roridin E was 96%. It exhibited anticancer effects on all five breast cancer cell lines, with an IC50 of at least 0.0006 mg/L.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nvestigation of effects of roridin E isolated from the mycelium of P. cornu-damae mushrooms on five breast cancer cell lines. However, safety issues should be investigated and addressed in future studies before roridin E is used in clinical settings.
        4,0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lture characteristics of Cryptoporus volvatus, whichis grow naturally in Korea, to determine the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its cultivati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ycelia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condition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artificial cultivati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hyphae of Cryptoporus volvatus KACC52303 included an irregular and uneven surface and a fuzzy or cotton-like texture. Under the microscope, its microstructure showed pre-chlamydospore formation, but no clamps were seen. The appropriate culture temperature was found to be a medium/high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25–30oC, and the optimal pH was found to have a wide range from weakly acidic (pH 4) to neutral (pH 7). In the optimal nutrient source experiment, hyphal growth was shown to be fair in a mixed medium with 2.5% dextrin as the carbon source and 0.1% yeast extract as the organic nitrogen source. Among the various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inorganic salts tested, the fastest hyphal growth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leucine, acetic acid or gluconic acid, and KCl or KH2PO4, respectively. The column test showed that the best mycelial growth occurred in a mixed medium of 80% pine sawdust, 10% rice bran, and 10% corncob sawdust.
        4,0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란달걀버섯은(Amanita javanica) 국내에서 산림법으 로 보호받고 있는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이나, 중요한 산림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집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노란달걀버섯 NIFoS 1267 균주를 이용하여 PDA 배지 상에서 물리적 요인(온도, pH, 광)과 화학적인 요인(염분, 중금속, 농약)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물리적 환경은 온도가 30oC, pH가 5-6, 암조건으로 배양이었을 때 노란달걀 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요인으로서 염분은 2.0% 농도 조건까지 버섯균주의 균사 생장이 가능하였다. 50 ppm 농도의 중금속 이온 환경에서 비소(As) 이온은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카드뮴(Cd)와 납(Pb) 이온은 균사 생장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 산림에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농약의 경우, Abamectin 첨가 배지에서는 노란달걀 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나 Acetamiprid, Emamectin benzoate, Thiacloprid가 첨가된 배지 환경에서는 균사 생장이 모두 다 저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서 노란달걀버섯의 인공재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갓과 대의 색택이 백색인 백색느타리 신품종『백선』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적온은 28~31 o C이고 버섯발생온도는 22 o C, 버섯생육온도 20 o C로 ‘미소’보다 균사생장적온이 높으며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가 유사하며, 발생형은 다발형태를 나타내었다. 병재배시 배양기간은 30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4일, 생육일수는 4일로 총재배 기간은 38일이 소요되었다. 형태적 특성에 있어 갓직경은 32.5 mm, 대직경 9.1 mm, 대길이 91.4 mm로 ‘미소’에 비하여 가늘고 긴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갓색도(L)는 84.2, 대색도(L)은 83.4로 ‘미소’에 비하여 밝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시 1100 ml병에서 185 g을 나타내었으며, 농가실증재배시 A(평택) 184g/1100 ml, B(여주) 178 g/850 ml으로 대조품종 대비 40%이상 증수 되었다. 대의 물리성은 탄력성, 응집성, 씹음성, 깨짐성이 각각 80%, 57%, 720 g, 57 kg을 나타내었다. DNA다형성을 비 교 분석한 결과 UFPF1, UFPF3, UFPF4의 primer에서 교배모본인 ‘GMPO20410’와 ‘MGL2205’의 DNA의 밴드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품종 간, 균주 간의 밴드 차이가 있 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신선도는 4 o C에서 28일 저온저장 시 8점으로 신선한 상태였으며, 4 o C저장 후 상온보관 시 5점으로 식용 가능한 상태로 대조품종인 ‘미소’ 보다 저온 및 상온보관 시 신선도가 우수하였다.
        4,000원
        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yster mushroom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edible mushrooms in Korea. The ‘Santari’ cultivar bred in this study, which belongs to the species Pleurotus pulmonarius, is a new oyster mushroom cultivar for bottle culture. It was bred by mating monokaryons isolated from ‘GMPO20404’ and ‘Hosan’.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antari’ mycelial growth was 26–29℃ on PDA medium, and the temperatures for primordium formation and for growth of the fruit body on sawdust medium were 22℃ and 20℃, respectively. It took 34 days to complete the spawn run, 3 days to form primordia, and 3 days to finish fruit body growth in the bottle culture. The fruit body pilei were round in shape and brownish, whereas the stipes were long, thick, and white. The yield per bottle of ‘Santari’ was 172 g/1,100 mL, which was 43%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cultivar (‘Hosan’). The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the stipe tissue were 87%, 82%, 193 g, and 16 kg, respectively. These physical property values of ‘Santari’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cultivar, except for the cohesiveness.
        4,000원
        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tari’ is a new variety of oyster mushroom for bottle culture. It was bred by crossingmonokaryons isolated from ‘DM11732’ and ‘Chunchu-2h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26~29°C on PDA medium, and that for the primordia formation and the growth of fruiting body of ‘Mantari’ on sawdust mediawas 18°C and 16°C. It took 32 days to finish spawn running, 4 days to finish primordia formation, and 3 days to finish fruiting body growth in the bottle culture. The fruitcharacteristics: the pileus was round and gray-black in color, and the stipe was long, thin, and light gray in color. The yield per bottle was 179 g/900 ml and was 5%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variety (Chunchu-2h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ruit body were as follows: springiness, cohesive,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the stipe tissue were 96%, 76%, 160 g, and 15 kg, respectively.
        3,000원
        10.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asic mycelial culture conditions for Poria cocos growth. According to colony diameter and mycelial density, suitable media for mycelial growth were Malt yeast extract, Potato dextrose agar, Yeast extract agar, and Yeast malt aga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between 25 and 35oC, and the optimum pH value was between 4 and 7.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fructose and yeast extract. The optimum C/N ratio was about 10 to 1 with 2% glucose. Other minor components for optimal growth were thiamine-HCl and nicotinamide as vitamins, acetic and lactic acid as organic acids, and MgSO4·7H2O and FeSO4·7H2O as mineral salts.
        4,000원
        1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uricularia auricula-judae is an edible mushroom, which is known as wood ear, free ear, black ear mushroom, and free jelly fis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mycelial culture conditions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According to colony diameter and mycelial density, the media for suitable mycelial growth were PDA and MCM.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25~30oC.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mannose and malt extract, respectively. The optimum C/N ratio was in the range of 10 to 1 with 2% glucose. Other minor components for the optimal growth were thiamine-HCl and biotin as vitamins, succinic acid and lactic acid as organic acids, and MgSO4·7H2O and KH2PO4 as mineral salts.
        4,000원
        1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β-glucan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꽃송이버섯의 농가재배활성화를 위하여 푸른곰팡이 내성균주를 선발하고자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생장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생장이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하고자 교잡육종 균주에 대한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6951 (T. viride)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후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6952 (T. spp.)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다음 보다 많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6426 (T. harzianum) 균주에서는 꽃송이버섯 균사가 생장하고 있던 부분까지 모두 덮어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 특이하게도 구례에서채집선발한 균주인 JF02-06 균주에서는 다른 균주에 비해푸른곰팡이 포자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되어 다소 푸른곰팡이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남산림자원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균주 중 생장 및 자실체 발생이 우수한 모균주를 선발하여 교잡을 실시하여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송톱밥배지에서 JF02-47, 49, 50 균주의 균사생장량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잡육종 균주의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TS1, 5.8S와 ITS4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enebank에 등록된 다른 꽃송이버섯 균주와 높은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꽃송이버섯의 포자 및 균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포자의 크기는 장경 6µm, 단경 5µm의 물방울 모양으로 확인되었고,균사에서 3가지 형태의 꺽쇠가 관찰되었다. 균사의 폭은3µm이며 꽃송이버섯 균사의 특징으로는 약 50% 정도꺽쇠에서 균사가 뻗어나가는 특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균사의 생장 속도는 0.507µm/min이며, 2차 균사는0.082µm/min의 속도로 생장하다가 모균사와 평행을 이루는 시점에서는 모균사의 생장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생장하였다. 꺽쇠발생은 약 5시간 동안 균사 내부 전해질의이동이 관찰된 후 작은 꺽쇠를 형성하였다. 약 3시간 후격막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로부터 2시간 후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꽃송이버섯의 푸른곰팡이 저항성을 확인하고, 교잡균주의 유전 다양성 및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하여 꽃송이버섯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버섯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4,200원
        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porus umbellatus (Syn. Grifola umbellata) is a sclerotium forming mushroom belongs to family Poly-poraceae of Polyphorales, Basidiomycota. The sclerotia of P. umbellatus have long been used for traditional medicinesin China, Korea and Japa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artificial sclerotial production of P. umbel-latus. Here, we investigated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 umbellatus and its symbiotic fungus Armill-aria mellea. We also evaluate the favorabl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for sclerotial formation in dual culture betweenP. umbellatus and A. mellea. The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P. umbellatus were 20°C and pH 4, while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A. mellea were 25°C and pH 6. The carbon sources for optimal mycelial growthof P. umbellatus were fructose and glucose, while carbon sources for favorable mycelial growth of A. mellea were alsofructose and glucose. The nitrogen sources for favorable mycelial growth P. umbellatus were peptone and yeast extract,while optimal mycelial growth of A. mellea were obtained in peptone and yeast extract. When P. umbellatus and A. melleawere dual cultured on carbon sources, sclerotia were induced on basal media supplemented with glucose, fructose andmaltose at pH 4~6, while nitrogen sources inducing sclerotia were basal media supplemented with peptone and yeastextract for 60 days at 20°C under dark condition.
        4,000원
        1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행연구로서 꽃송이버섯 배지내 LED 조명색에 의한 푸른곰팡이 생육억제 효과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blue 처리구에서 푸른곰팡이균의 포자발생량이 매우 높아 꽃송이버섯 배양에 부적합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 28일 후 LED 파장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균사생장 특성과 LED 파장 색상별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red 파장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red 파장 범위에서 광량을 달리하여 균사생장 조건을 확인한 결과, 광량 세기가 낮은 1.41 μmol/m2S 처리구에서 우수한 균사생장을 나타내었다. 계대배양 실시 여부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에서는 실험 전 1회 계대배양을 실시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지조성을 달리한 톱밥배지내 LED 광량별 균사생장은 미송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미송 톱밥배지에서 LED red 2.11 μmol/m2S의 광량을 처리하였을 경우 84일 배양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경우 red 파장 2.11 μmol/m2S 광량에서 84일 이상 미송 톱밥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꽃송이버섯 배양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이의 균사생육에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 최적온도는 25℃, pH는 6~7범위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하였다. 배지원 선발로 무기염류종류와 농도는 MgSO4·7H2Os 0.05%, KH2PO4 0.1%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하였고, 탄소원은 흑설탕 2%첨가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질소원은 콩가루를 0.3~0.5%로 첨가하였을 때 목이버섯의 균사생육이 제일 양호하였다.
        4,000원
        1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1,100㎖ 배양용기의 뚜껑종류 및 크기에 따른 배양중 이산화탄소농도변화, 수분함량, 유리당,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기존의 비통기성 무스폰지 뚜껑구가, 상하 천공과 하 천공 모두에서 천공 구멍이 작을수록, 또한 상대비교는 하 천공구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배양중 이산화탄소 변화는 배양 뚜껑 종류와는 관계없이 배양 경과 6~11일경 이산화탄소발생량이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뚜껑종류별 느타리버섯(1100㎖병)의 수량은 상하 뚜껑 천공의 19~38㎜천공에서 11.4~23.8%로 증수되어 폭넓게 수량이 좋았으며, 하 천공에서 26~47㎜천공 뚜껑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6.5~17.9%가 수량이 증수되었다. 또한 빠른 균사배양속도를 고려하면 상하 33㎜천공 뚜껑에서 기존 무스폰지 뚜껑보다도 23.8%의 높은 수량으로 제일 양호하였다.
        4,000원
        1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느타리버섯 850㎖ 배양용기의 뚜껑종류 및 크기에 따른 배양중 이산화탄소농도변화, 수분함량, 유리당, 키친 함량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배양중 이산화탄소 변화는 배양 뚜껑 종류와는 관계없이 배양 경과 8~9일경 이산화탄소발생량이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뚜껑종류별 이산화탄소누적 농도는 뚜껑 크기 29~41㎜를 비교하였을 때 상하천천공은 6.5~4.0%, 하부천공은 9.0~6.5%로 하부천공이 이산화탄소농가 높게 측정되었다. 수분변화는 구멍크기가 클수록 배지 내 수분 보유량은 감소하였다. 유리당과 키친의 변화는 상하천공보다 하부천공에서 유리당 및 키친량이 많았고, 수량은 상하천공 23~33㎜, 하천공 29㎜에서 각각 15.8~21.2%, 20%가 증수되었다.
        4,000원
        1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버들송이버섯의 균사 생육 최적조건을 구명하여 액체종균을 제조하고 또한 톱밥종균의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고, 선발된 종균에 대한 종균 접종량을 설정하여 병재배에 적합한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버들송이버섯의 톱밥종균은 미송톱밥(70%)+밀기울(30%)의 비율, 포플러톱밥(80%)+옥수수가루(20%) 조건으로 배합할 때 균사 생육이 양호하였다. 액체종균에 대한 영양원 선발 및 첨가량은 백설탕 1.0~1.5%, yeast extract 0.7g/ℓ, 콩가루0.1.7g/ℓ, 무기물은 MgSO4·7H2O 0.3g/ℓ, KH2PO4 0.5g/ℓ, K2HPO 1.2g/ℓ가 최적 조건이었다. 이때 선발된 배지의 접종량은 액체 및 톱밥종균을 25㎖/850㎖과 20~25g/850㎖로 접종 할 때 자실체 발생이 양호하였다.
        4,000원
        19.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나무버섯 병재배(1,100㎖)에서 배양기 내 통기성이 팽나무버섯의 균사생장과 버섯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병 내의 통기성은 배양병 뚜껑에서 천공의 상하 위치와 구경 크기로 조절하였고, 통기성 처리의 효과로는 배양병 내 이산화탄소 농도, 수분함량 변화, 키틴 함량, 유리당 함량, 자실체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팽나무버섯 균사배양 중 대수기 정점에서의 배양병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조구인 비통기성 무스폰지 뚜껑과, 천공 크기가 작은 뚜껑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았다. 팽나무버섯 균사 배양체 내유리당 함량은 구멍 크기가 47mm로 상하로 천공된 뚜껑을 가진 병에서, 그리고 구멍 크기가 26~33mm로 하부만 천공 뚜껑을 가진 병에서 가장 많았다. 키틴 함량은 26mm 크기의 구멍을 하부에만 천공한 뚜껑을 가진 병에서 가장 많았다. 한편 뚜껑에서 천공의 위치가 상하 양쪽이고 천공크기가 42㎜~47㎜인 배양병에서는 수분 감소가 많아 발이가 불량하고 자실체 생산량도 적었다. 결론적으로 팽나무버섯 병재배 용기 1,100㎖ pp병에서 최고의 수량을 나타낸 배양병에서의 뚜껑은 상하 천공으로 19㎜ 구멍과 하부만의 천공은 26㎜ 구멍을 내고 통기성 스폰지를 넣은 것으로, 이 때 자실체 생산량은 대조구보다 6~9% 증가하였다.
        4,000원
        20.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dible mushrooms have been used and researched as medicinal ingredients. They improve immunity and contain excellent anticancer components with large amounts of minerals such as iron, calcium, and potassium. Due to this reason, it has been hailed as a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Especially, β-glucan, known to be contained in Ganoderma incidum Karst, Coriolus versicolor, and Phellinus linteus, was reported to inhibit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by activating immune function (macrophages, natural killer cells and T-cells). In addition, mushroom polysaccharides dissolve in water but are undigested ingredients, resulting in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 as well as staying of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n the stomach for a long time. As a result, they induce increase of T-cells and NK cell that attacks cancer cell and has effect on the discharge of body's waste products, blood purification, and constipation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report the culture characteristics of Sparassis crispa as to the medium growth compositions, yeast, and elicitor treatment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highest β-glucan production in mushroom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