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genotoxicity of ambient air in the Krakow area after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NPP) accident and compare with results from Chernobyl fallout. For the detection of ambient air genotoxicity the technique for scr
        4,000원
        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옥상녹화의 식물선정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서 울시의 지원을 받아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조성된 옥상녹화지160개소를 대상으로의 실재 식재에 사용된 식물과 식재 빈도를 조 사, 분석하였다. 대상지에 사용된 식재 식물은 녹화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식물이 식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초본류의 경우 293종, 관목류의 경우 105종, 교목류의 경우 65종의 식물이 식재 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식재에 사용된 수종은 집중적 인 관리를 통해 유지되는 일반 조경 녹지의 식재 수종과 크게 차이 가 없었으며, 장기적으로 볼 때 녹화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경 관 및 기능적 관점을 고려한 식물 수종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라 판 단된다. 부족한 녹지공간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 옥상녹화 조성 지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옥상녹화는 옥상이라는 인공지반위에 녹 지를 도입하는 수준의 개념을 벗어나 생물 서식지의 개념으로 접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설계단계에서 식재 및 관리에 이르기 까지 양호한 식물을 선정해야하며,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화훼장식 소재 이용의 흐름을 파악하여 금후의 트렌드를 가늠해 봄으로써 화훼장식의 유행을 선도할 목적으로, 1998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의 (사)대구서라벌꽃예술협회 전시회 1,195 작품과 월간지 플레르 914 작품에 대해 식물성 소재 중 절화, 절엽, 절지의 종류 및 사용빈도를 조사하였다. 각 품목별 상위 10위의 소재를 보면, 절화류는 국화, 안수리움, 맨드라미, 장미, 해바라기, 용담, 심비디움, 칼라, 나리속, 극락조화 등이고, 절엽류는 아스파라거스속, 엽란, 필로덴드론 셀로움, 드라세나속, 루모라고사리, 잎새란, 몬스테라, 편백, 아이비, 절지류는 버드나무속, 청미래덩굴, 흰말채나무, 삼지닥나무, 노박덩굴, 풍선초, 다래덩굴, 속새, 화살나무, 대나무였다. 사용 빈도가 증가 추세인 식물성 주소재로는 전시회 작품에서 절화류의 국화, 맨드라미, 수국, 심비디움과 절엽류의 드라세나속, 편백, 엽란, 절지류의 속새, 삼지닥나무, 히페리쿰 등으로 나타났으며, 월간지 작품에서는 절화류의 장미, 국화, 안수리움, 심비디움, 맨드라미, 나리속과 절엽류의 아스파라거스속, 이끼, 필로덴드론 셀로움, 파초일엽, 유칼립투스, 절지류의 흰말채나무, 대나무, 노박덩굴, 풍선초, 히페리쿰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훼장식의 식물소재는 지속적으로 개발, 변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품의 표현방법도 다양해 질 것으로 생각되었다.
        4.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s one of important forage crop grass widely cultivated in Korea. Progress in breeding using conventional selection procedure is very slow, since Italian ryegrass is highly self-infertile. Biotechnological approaches, therefor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mproved cultivars for forage crops. In an effort to optimize tissue culture responses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for future genetic manipulations to improve forage characteristics, the effects of culture medium supplements on tissue culture responses were investigated with mature seeds of Korean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seven cultivars as explant tissues.
        6.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leaf, petiole, and internode explants. Highly embryogenic callus was obtained following cultivation on MS basal nutrient supplemented with 2 mg/l 2,4-D. Globular, heart, torpedo and cotyledon shaped somatic embryo were produced from the surface of embryogenic callus. Direct shoot regeneration without intermediate callus formation has been achie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NAA and BAP. The percentage of response vari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auxin and cytokinin treat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he best shoot regeneration response (54.28%) and number of shoot per explant (12.67) were achieved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NAA and 1 mg/l BAP. The regenerated shoot transformed into young plant when cultured into elongation and root induction medium. More than 90% of in vitro propagated plants could survive when transferred to the greenhouse for acclimation. This optimized regeneration system can be used for rapid shoot proliferation and genetic trans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