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진 하중을 받는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구성 절점에 대한 신뢰성 지수를 구할 수 있는 지진 재해 신뢰성 평가 방법을 전력 송전 네트워크 시스템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전력 송전 시스템에 대하여 절점과 링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절점인 변전소의 지진 취약도 곡선은 변전소 구성 기기의 개별 취약도 곡선으로부터 구하였다. 입력 지진 모형으로서 점 지진원 모형을 사용하였고, doubly truncated Gutenberg-Richter 관계식과 감쇠공식을 적용하였다.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전력 송전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뢰성을 평가한 결과 한국의 전력망에 대한 지진 재해의 효과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22.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해안에서 정치망 어구의 고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닻가지(fluke)가 하나인 스톡형닻(A형), 닻가지 2개가 한 방향으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B형), 닻가지 2개가 좌우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C형) 세가지의 모형을 제작하여 들의 종류(펄, 모래, 모래펄)와 닻줄의 길이(수심의 2배, 2.5배, 3배, 3.5배, 4배)에 따른 모형별 장력, 파주력, 파주력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력과 파주력은 저질별로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으로 작아진다. 닻줄의 길이에 따라서는 닻줄이 길어질수록 장력과 파주력이 커지는 현상을 보였고, 닻의 종류별로는 B형이 가장 크고, A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닻가지의 단위면책당 파주력은 닻줄이 짧을 때는 A형이 가장 크고, 길 때는 A형과 B형이 거의 비슷하며, C형은 모든 길이에서 A형과 B형에 비하여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3. 파주력계수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이며, 닻의 종류별로는 A형이 가장 크고, B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정치망 고정용 닻의 성능은 조류방향이 항상 일정한 어장에서는 A형이 우수하며, 이상조류가 발생하는 어장에서는 B형이 어구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24.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Hall형묘와 묘쇄의 파주력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질 뻘에서 착의 최대파주력계수는 4.05였고, 묘쇄의 파주력계수는 0.75였다. 저질 모래에서의 묘의 최대파주력계수는 3.95였고, 묘쇄의 파주력계수는 0.66였다. 저질 자갈에서 묘의 최대파주력계수는 3.61이었고, 묘쇄의 파주력계수는 0.72였다. 2. 모형묘와 착쇄의 파주력계수는 저질에 따라서 상용파주력계수의 0.3~0.6배 였고, 안전파주력계수와는 거의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다만 자갈에서는 안전파주력계수보다 1.4~1.8배 높았다. 3. 풍력과 저질에 따른 각 종 파주력 곡선도를 작성하여 한계파주력을 설정하여 활용하면 선박의 안전운용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4,000원
        26.
        202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monitor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due to unplanned release of radioactive materials and the spread to off-site environments, the nuclear power plants (NPPs) conduct groundwater monitoring program (GWMP) in Korea. The GWMP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groundwater flow model reflecting the conceptual site model (CSM) of the NPP’s site. In this study, in order to optimize the GWMP, the existing CSM and the groundwater flow model of the domestic NPPs site was updated by reflecting the latest groundwater level. As part of the CSM improvement, the hydrogeological units were subdivided more detailed from three to six through the review of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PPs site. In addition, major variables that affect groundwater flow, such as water conductivity, have been updated. The groundwater flow model was revised overall as the CSM was improved. In particular, the excavation depth of the structure and backfill area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of the NPP structures was accurately reflected, and the drainage boundary conditions were realistically reflected. To verify the revised groundwater flow model, steady-state corre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groundwater level measured in April, 2021. As a results of the steady-state correction, the standard error of estimate, root mean square (RMS), normalized RM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0.32 m, 1.692 m, 5.608%, and 0.964,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groundwater flow model is reasonably constructed. The CSM and groundwater flow model improv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to optimize the monitoring location of groundwater in NPPs.
        32.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studied the warming effect induced by Photovoltaic(PV) power plants in rural areas during summer daytime using a simple analytical urban meteorological model. This analysis was based on observed meteorological elements and the capacity of the PV power plant was 10 MWp. The major axis length of the PV power plant was assumed to be 1km. Data of the necessary meteorological elements were obtained from a special meteorological observation campaign established for a over a PV power plant. We assumed that the wind flowed along the major axis of the PV power plant(1 km). As a result, the air temperature on the downwind side of the PV power plant was estimated to invrease by about 0.47 °C.
        3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문 시계열의 분석은 수문자료를 활용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에 필수적인 부분이며, 특히 장기적인 수문량 예측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문 시계열 분석은 전통적으로 하나의 자료계열을 하나의 요인으로 파악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예측해왔지만 시계열 자료가 여러 가지 요인으로 혼합되 어 하나의 자료계열로 나타내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각 요인들을 분해하여 분석하는 방법도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수문 시계열을 다중 성분으로 분해하고 분해된 각 요소를 시계열 모형으로 재구축한 후, 구축된 요소별 시계열 모형으로부터 예측된 값을 합하여 시계열을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국내 댐 유입량에 적용한 후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존 시계열 모형과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한 방법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기존의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자료를 예측한 결과보다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해한 후 시계열 자료를 예측한 결과가 주어진 시계열 자료를 더 잘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4.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 (i.e. 137Cs) related to local wind patterns around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KNPP) were studied using WRF/HYSPLIT model. The cluster analysis using observed winds from 28 weather stations during a year (2012) was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representative local wind patterns.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eight local wind patterns (P1, P2, P3, P4-1, P4-2, P4-3, P4-4, P4-5) over the KNPP region. P1, P2 and P3 accounted for 14.5%, 27.0% and 14.5%, respectively. Both P1 and P2 are related to westerly/northwesterly synoptic flows in winter and P3 includes the Changma or typhoons days. The simulations of P1, P2 and P3 with high wind velocities and constant wind directions show that 137Cs emitted from the KNPP during 0900~1400 LST (Local Standard Time) are dispersed to the east sea, southeast sea and southwestern inlan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s, 5 sub-category of P4 have various local wind distributions under weak synoptic forcing and accounted for less than 10% of all. While the simulated 137Cs for P4-2 is dispersed to southwest inland due to northeasterly flows, 137Cs dispersed northward for the other patterns. The simulated average 137Cs concentrations of each local wind pattern are 564.1~1076.3 Bqm-3.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appeared P4-4 due to dispersion in a narrow zone and weak wind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s, the lowest average concentration appeared P1 and P2 due to rapid dispersion to the sea. The simulated 137Cs concentrations and dispersion locations of each local wind patter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l wind conditions.
        36.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ee meteor-statistical forecasting models - the transfer function model, the time-series autoregressive model and the neural networks model - were tested to develop a daily forecasting model for Jejudo, where the need and demand for wind power forecasting has increased. All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sites in Jejudo have been classified into 6 groups using a cluster analysis. Four pairs of observation sites among them, all having strong wind speed correlation within the same meteorological group, were chosen for a model test. In the development of the wind speed forecasting model for Jejudo,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use a wind dataset at the objective site itself, but the introduction of another wind dataset at the nearest site having a strong wind speed correlation within the same group, would enhance the goodness to fit of the forecasting. A transfer function model and a neural network model were also confirmed to offer reliable predictions, with the similar goodness to fit level.
        37.
        2000.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composing the structure model of national maritime power system by system structural modeling, in this study, the 50 basic factors are selected by survey of the extensive and through literatures on maritime, sea, maritime power and sea power. And the basic factors are classified into 36 component factors by cluster method. The 9 attributes are extrac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method, one of the factor analysis method in system engineering, to component factors. In this study, we define the attributes composing the national maritime power system by integra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existed our studies relating to this topic. Which are showed in Table 2. and we show the structure model of national maritime power system in Fig. 3. In Table 2, the 9 attributes are as follows : the fundamental power of maritime, shipping and port power, naval power, fishing power, shipbuilding power, the power of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dependency on seaborne trade, the protection power of ocean environment and the will and inclination of govemment. Also, in the case of evaluating this system, we conform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interactions among the attributes which have strong interactions in structure model of national maritime power system.
        3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윤성범과 이기혁(1977)의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열발전소의 펌프 비상중단시 냉각수 계통에서 발생하는 서어지거동을 해석하였다. 종래에 무시되었던 기계내부계통으로 부터의 유량, 폐정공기실, 및 공기유출입구, 맨홀, 개수로 및 바다의 영향을 고려하였으며, 이들이 서어지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공기유출입구의 면적에 따른 서어지 제어효과와 공기실의 공기압 변화를 제시하여 실무에의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39.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열발전소에서 비상 가동중단으로 냉각수 배수계통에 발생하는 비압축성 부정류를 해석하는 수치모형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수치모형은 냉각수 기계내부계통, 폐정, 공기실, 관로, 맨홀, 개수로 및 바다 등에 의한 복잡한 흐름에 대해 전체적인 부정류거동을 동시에 해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수치해법으로는 leap-forg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였으며, 간단한 경우에 대한 모형의 검증과 함께, 종래 배수암거 하류단에 적용되덕 고정수위경계조건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