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교수효과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현황을 알아보고 더 효율성 있는 학교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 학교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교장의 수업지도성 및 교수효능감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규명하 는 데 목적이 있다. 그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배경변인(성별, 담당학년, 교직 경력)에 따라 저학년, 교직 경력 20년 이상의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수업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장의 직접적인 수업지도성인 수업개선과 수업평가를 잘 할수록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문화일수록 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장의 수업 지도성은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조직문화 역시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조직문화를 통해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점도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의 교수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교장의 수업지도성을 제고하고 유익한 학교조직문화를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를 만드는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9,800원
        2.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nalyses the determinants of schoolchildren’s food preferences,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child/parent, school and locality factors, using multilevel modelling. Urbanisation, location in a poorer neighbourhood, having a school lunch and some specific parental practices positively affect the range of foods and vegetables liked by children.
        4,000원
        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5 개정 교육안의 핵심 키워드는 ‘역량강화’와 ‘생활화’이다. 이는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을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 인재 양성에 두고, 교과 활동이 학교 내의 활동으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능력을 적용하고 발휘하는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개발지침을 마련하였던 것이다. 특히 교육 개정안의 음악 교과를 보면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성과 창의성을 개발하며, 음악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안목을 키움으로써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는 교과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성과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교과 역량 함양에 역점을 두고 교과 교육과정 내용을 확정하여,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음악정보처리 역량, 자기관리 역량 등으로 음악 교과 특성을 반영한 교과 역량을 고시하였다. (교육부, 2015b) 교육 과정에 나타나는 ‘생활화’라는 용어는 2007년 개정안부터 꾸준히 강조되어 2015년 개정 안까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예술 교육은 다른 교과와 달리 아름다움의 체험이 학교 현장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늘 이어지도록 되어왔다는 견지에서 보면 ‘생활화’라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현장에서는 이미 실행되어 왔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생활화 영역은 음악 교과 활동이 음악 고유의 음악적 능력과 감수성을 발달시키는 음악 활동으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일 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음악적 상황에서 자신의 음악 능력을 적용하고 발휘하여 음악을 삶에서 향유하는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영역이다.(장은언 2013) 그러나 현실은 아직 교육목 표로 제시한 ‘생활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현장감 있는 실천 방안들이 정책 입안자들에게서 나오지 않고, 오히려 열정 있는 현장 교사들의 교실 적용으로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카펠라는 생활 속에서 누구나 가지고 있는 목소리를 통해 노래하면서 서로의 소리를 듣고 맞추어가는 경험을 통해 생활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향유하는 체험을 제공한다. 함께 소리의 크기와 모양을 맞추어 가는 밸런스와 블렌딩, 정확한 음정들의 조화, 화음을 통해 만드는 하모니, 아름다운 음색의 조화, 강약과 이완을 조절하는 다이내믹 등의 과정을 통해 소리의 아름다움을 체험함으로써 감성이 풍요해지는 삶을 누리게 만든다. 본 연구는 학교 예술을 활성화시키고 음악교육의 생활화를 실천하는 방법으로써 아카펠라 합창의 당위성과 유용성, 그리고 적용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5,400원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n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classes. Through 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explore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PCK.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group discussions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pare classes of five primary 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K and PCK.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 teacher's PCK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ith varying focus and emphasis. The features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CK a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teach secondary teach content, teachers value pedagogical knowledge (PK) content knowledge (CK). The primary school PCK requires mor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to subject areas. PCK be without content knowledge, and the teacher's PCK is subject-specific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PCK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ways to set up professional exchange or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provide supplementary in-service training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4,200원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성 관련 역량 중 공동체역량을 중심으로 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의 경험 가운데 이를 진작시키는 요인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동체역량의 하위 요인을 규칙준수, 봉사활동인식, 공동체의식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였으며,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1차년도(2013년) 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2수준 다층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 HLM)을 설정하 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의 공동체역량 수준 차이는 상당 수준 학생 수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수준 투입변수인 부모-자녀 상호작용, 부모의 학업적지원은 공동체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일관되게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생 수준 과정변수인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교 동아리활동, 운동시간은 모두 학생의 공동체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시험 부담감의 경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 수준 과정변수인 교사열의, 교사성 취압력은 공히 학생의 공동체역량과 관련이 있었다. 교사열의는 규칙준수와 봉사활동인식, 교사성취압력은 공동체 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교폭력 정도는 봉사활동인식을 제외하고 규칙준수, 공동체의식에 공통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6,600원
        6.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은 중국으로의 귀환 이후 시행된 兩文三語정책 아래 소수 민족의 중국어 교육은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다. 비중국어권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더욱 효과적인 중국어 학습의 기초 단계를 학습하게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었다. 홍콩대학은 홍콩교육국의 연구 과제를 수주한 이후, 학교에서의 방과 후 중국어 학습을 지원하게 되었다. 중학교에서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최근 일년 동안은 소학교까지 확대하였다. 본 연구는 「閱讀促進學習」(R2L)이라는 교수법 이 비중국어권 소학교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를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연구 초기에는 연구대상들의 작문 문제가 어디에 근거하였는지를 측정하였고, 「閱讀促進 學習」(R2L)이론에 근거하여 교육 설계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20개의 소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반 년간에 걸친 교육에서의 예측과 한자, 어휘, 구절과 전체 문장을 점층적으로 확대 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신장시킨 후,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를 통해 이 학습법 시행 이전과 이후를 검토하여, 「閱讀促進學習(R2L)이 어떻게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 연구 이후, 홍콩에 거주하는 비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그들 이 홍콩 사회에 더욱 융화되어, 구직을 하는데 조금 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4,600원
        7.
        201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based consultations on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English teaching competence. Twenty nine pre-service teachers in groups of four or five received two rounds of consultations on their micro-teaching demonstrations from two native English instructors. The consultation procedure was three steps: preparation, micro-teaching observation and feedback. The self-evaluation checklists and micro-teaching evaluation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o find how much improv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icro-teaching had been ma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ltations help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ir English teaching competence in general. The comments written by the consultant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ir micro-teaching observations were examined qualita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ltations enabl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ali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ir teaching behavior. Also, the observation of peer teaching and group discussion helped them to gain useful teaching skills and insights on what a good English lesson should be like.
        5,700원
        10.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를 안다는 것은 읽기와 쓰기가 기초가 된다. 때문에 한자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중요한 임무이다. 한자는 중국어를 기록하는 문자이며, 매 글자는 자음을 가지고 있어 읽기가 되며, 현대 중국어의 언어 특질인 단음절로 되어 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據形標音』의 본질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 한자는 또한『以形示義』의 특질을 가지고 있다. 곧, 한자의 형음의는 단음절을 그 속에 감추어서 『據形標音』과 『以形示義』의 특징들이 서로 결합되어 한자를 음과 의로 구성된 의음문자 (意音文字)로 만들기 때문에 형과 음, 의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질 수 없다. 때문에 교육적 관점에서 본다면 한자에 포함된 형음의 세 요소는 한자교육의 목적이며, 1개의 한자를 학습한 이후에 새로운 한자의 형음의가 대뇌 속에서 서로 긴밀한 연결 고리를 가진 것으로 구조화되어야 한다. 자형을 보면 자음을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자음과 자의를 알면 자형을 쓸 수 있어야 하며, 형음의를 완전히 습 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이론 가설은 70년대 스웨덴 쿠텐버그 대학에서 제기한 현상지도작성법(Phenomenography)을 이용한다. 이 이론은 인류가 현상과 사물의 접촉의 대 한 경험과 이해를 묘사하고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이 학설은 최근 관찰변이 (Variation)로 발전하였으며, 학습과 관계되는 관련 특징들을 분별하고 판단하려 는 쪽으로 확대되고 있다. (Marton & Booth, 1997) 이 학설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한 학교의 소학교 2학년 학생들을 2개의 교 실로 나누고, 구분된 두 학급에 같은 내용을 교수하였다. 이 두 반의 학습 능력은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이 두 반의 교수자는 다른 사람이었다. 연구의 초점은 교수자가 그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을 실천하는 과정과 학생들이 도달하는 최종의 학습 목표의 성취 기준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관계였다. 우리는 처음에 두 교사를 나누어 서로 다른 공간에서 교수를 하게 하였고, 두 번째 실험에서 교사들 이 동일하지 않은 교수법을 사용할 때의 학습 성취기준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6,000원
        11.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싱가폴은 사회 언어 환경의 변화로 인해 2004년과 2011년 두 차례의 대규모 중 국어 교육상 변화가 있었으며, 이는 “적게 가르치고 많은 것을 학습하자”에서 “즐 겁게 학습하고 실제 생활에 잘 적용하자”라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필자가 생각 하기에 이는 교수 전략상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나, 싱가폴에서의 중국어 한 자 교육의 핵심 문제인 “무엇을 학습하는가”(자종의 문제), “얼마나 학습하는가” (자량의 문제), “어떻게 학습하는가”(자서의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본문은 2007년 싱가폴에서 출판된 『小學華文』12권의 교재 중 핵심 단원 부분과 방과 후 독서 수업교재로 사용되는 『記憶像一個箱子』, 보충 교재인 『新朋友』, 『新天地』, 『新列車』등의 대표적 독해 읽기 자료, 중국어 신문인 『聯合早報』중의 국제, 국내, 교육 기사를 중심으로 한자의 빈도수를 조사하고, 이러한 네 종의 자료를 이용하여 코퍼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이를 자종, 자량, 자서, 누적률, 누적빈도율 등의 방법으로 각 읽기 독해 자료의 통계를 작성하고,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 다. 이를 토대로 현재의 싱가폴 소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에서 학습하는 한자 가 현재 싱가폴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사용현상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어떻게 하면 싱가폴에서 사용되는 초등학교용 한자 학습 교재가 더욱 특색화, 과학화, 합리화, 시스템화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 면서, 『어린이용 고빈도 한자표(兒童高頻字表)』를 제시하여 이를 교재에 실제 사용 할 것과, 다시 이를 학습의 순서에 따라 『어린이 상용한자표(兒童常用字表)』를 제작하여 이를 “滾動式” 한자교육법과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욱 흥미롭게 한자를 학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이것이 싱가폴 교육부가 큰 목소리로 주장하고있는 “즐거운 학습”이라는 교육이념과 “실제 생활에 잘 사용하 자”라는 교학법 주장에 부응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6,700원
        1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is one of the stage results of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China’s Primary School Chinese Teaching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 key project of Ministry of Education in 2009, included in the National Education Science "Eleventh Five-Year Plan"( Project approval No. DHA090170). The research mainly includes data statistics and analysis of a literacy diagnostic test survey for primary school entrance students so that it provides a scientific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betwee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nd different editions of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of Chinese literacy, such as editions from People's Education Press, Jiangsu Education Press,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Southwest Normal University Press, Jingshan Press, and for exploring different versions of words, quantities, orders, and ways of verifying the new idea of literacy education “Harmony and Order” that best fit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regions.
        1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gapore changing social language environment has brought about two major reforms to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namely “teach less and learn more”and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The objective is to motivate pupils to learn more and encourage the capable pupils to help the weaker pupils in the learning process.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at this reform is just a breakthrough in teaching strategies, but the core problem is not resolved. The primary school Chines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has not been resolved which include 3 basic aspects like word types, word content and word order. In this thesis, the author focuses on word frequency survey taken from the following: (1) 12 core units in the primary school Chinese text books from the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2) Reading books which are widely used by Singapore primary school “Memory is like abox”. (3)The front page of the auxiliary publications including "New Friends", “New World ", "New Train ”. (4) The front page of the Singapore Chinese newspaper "Lianhe Zaobao" which includes international, domestic and educa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word species, the amount of words, word order and coverage of the four databases, statistics are compiled, analyzed and researched. It’s noted that the current Chinese language literacy teaching in Singapore primary schools is not so adequate. The literacy teaching materials in Singapore can be made more adequate by making them more featured, more scientific , reasonable and systematic. The author proposes the creation of two unique charts relevant to the Singapore children. Firstly "children’s high-frequency words” chart to be used for literacy teaching materials and secondly“ children’s common usage words” chart to integrate with literacy teaching using' rolling strategy' and put it into the lesson plan design process, so that learning is made more interesting .This goes hand in han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ion "making learning interesting and more relevant” .
        1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major task for the teacher is to engage students in three kinds of learning: learning of language, learning through language, and learning about language (Halliday, 1979). Therefore, in order to help students learn and use language effectively, teachers themselves need explicit knowledge of language, and need to be aware of what students are trying to achieve and learn. There have been many classroom research investigations into this issue with respect to the role of the first language (L1) in facilitating learning (Osman and Hannafin 1994; Johnson 1997). Classroom-oriented research has led to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great complexity of both the language used and the learning process. Classroom language can be investigated systematically and no longer needs to be regarded as “an impenetrable black box” (Long 1983 a, 1983 b). Transcripts, coded data and frequency counts can show how classroom interaction develops as it is a dynamic phenomenon (Allwright and Bailey 1991). Marton and Booth (1997, p.107) described learning as ‘a way of coming to experience the world in a certain way, and different ways of experiencing will lead to different learning outcomes’. Marton and Tsui (2004) linked classroom discourse to learning, coining the term “space of learning”: “The second premise is that language plays a central role in learning: that it does not merely convey meaning, it also creates meaning. An understanding of how the space of learning is linguistically constituted in the classroom is best achieved through investigating “classroom discourse”. This research observed and collected data from two different primary four classes taught by two teachers of the same school on the same topic on Chinese words. Multiple data from multiple sourc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he difference usage of discourse in the classroom could bring about different learning outcomes.
        1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일반초등학교에 입학한 장애아동이 학교에 적응하는 과정과 장애아동을 초등학교에 입학시킨 부모들의 경험,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모들의 경험과 변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 입학 후 1년간의 과정을 거친 장애아동의 어머니 4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세 단계의 심층면담을 대상자별로 진행 하였다. 분석은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로부 터 기술된 내용에서 의미 있는 문장이나 구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일반적이며 추상적인 의미단위를 만들고 주제와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한 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였다. 결과 :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경험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한 초조, 불안, 후회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 아동이 취학 할 학교를 선택함에 있어 고민과 갈등이 있었다. 셋째, 아이가 잘할 수 있을까 하는 염려, 불안감과 두려움으로 긴장의 연속선상에 있으면서도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교사와의 관계에서 대화와 시간의 흐름을 통한 신뢰가 바탕이 되어 가까워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일 년간의 학교생활을 바탕으로 어렵지만 성장해 가는 어머니 자신과 아이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장애아동 부모의 경험과 변화, 어려움을 이해하여 아동의 특성과 취학을 앞둔 아동의 시기적 상황에 맞는 취학 전 학교적응 프로그램(적절한 가족 지원 및 통합지원 작업치료 서비스)을 개발하고 시행하여 성공적인 전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900원
        16.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경우 교사들 스스로 과학개념이나 내용에서 오개념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이 발견된다. 이렇듯 초등교사들이 과학에 부담을 느끼고 과학내용지식에 부족함을 느끼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게 되면, 좋은 수업이나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수업이 되기는 어렵다고 경력교사들은 지적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수업의 전반적인 특징과 초등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에 대한 문제의식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실태를 탐구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등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과학을 가장 선호하다가 고학년이 되면서 과학을 가장 기피하는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동이나 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초등 과학수업에서 hands-on 활동에 머물지 않고 minds-on 활동을 만드는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교사의 과학내용전문성 재교육의 필요성, 초등과 중등 간의 교류의 필요성,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공식적인 입문 프로그램의 필요성, 초등학교 5, 6학년의 경우 교과전담 체제 도입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수업 내실화를 위해 요청되는 초등학교 현직교사 연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4,500원
        17.
        201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English learning anxiety scale for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16 items of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Horwitz, Horwitz, & Cope, 1986)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s for the preliminary test. Then, 177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or the preliminary test.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undertaken, the English Learning Anxiety Scale (ELAS) was reduced to 14 items, which consisted of two dimensions (oral English classroom anxiety, and low self-confidence in English). The main test was given to 573 primary school students from fourth grades to sixth grades in eight different schools in order to confirm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LA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the ELAS is a valid (TLI, AGFI, CFI>.94, RMSEA=.049) and reliable (Cronbach’s α = 0.891) instrument.
        5,700원
        1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초등학생의 눈 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저소득층 학령기 아동의 눈 건강 불평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 7-12세의 초등학생 93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사회·경제적요인, 눈 건강 관련요인을 χ2 검정하였다. 결 과: 최근 1년간 눈검사 여부, 안경착용비율, 교정시력 1.0이상은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낮은 비율을 보였고, 근시 유병률, 원시 유병률, 자동굴절력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가 ``0~-2D``는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결 론: 부모의 사회경제적요인과 눈 건강의 관계를 χ2 검정한 결과 유의하지 않았지만, 유병률과 굴절이상도 등의 비율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아동의 눈 건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저소득층 학령기 아동의 눈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해 정기적인 시력검사와 재보정 기회 제공 등의 중·장기적인 안보건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facade construction of brick masonry auditorium through the Auditorium of Namsan Primary School in 193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The auditorium is located away from the school buildings, and its plane is a chamber of rectangle type with an entrance installed on each of the four sides. 2. The external appearance is Renaissance eclectic style, laid red bricks on the lower wall of the window and having a mansard roof. The front and the rear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projected wall at the center. 3. As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 concrete lower wall was built on the concrete continuous footing, and the brick wall was constructed on the lower wall. The roof is queen post roof truss, and the wall girders were installed on the brick wall. 4. The auditorium has had a number of repairing and maintenance works, which changed the roof and windows outside and the floor, walls, ceiling, etc. inside. 5. The decorative elements of external appearance include lower wall, brick wall, entrances, windows, roof, and dormer windows. The brick wall gives verticality and solidity to the surface of the wall, and the lower wall and wall girders are connected like a cornice of the wall. The surface of the mansard roof and dormer windows express a stable vertically oriented shape.
        4,8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