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cuma alismatifolia ‘Chiangmai Pink’는 분홍색 화 포를 가지고 있으며 작은 꽃을 가지고 있다. Curcuma alismatifolia ‘Chiangmai Pink’는 하나의 근경에 2 ~ 5개의 괴근이 연결되어 있으며 C. thorelii ‘Chiangmai Snow’의 하나의 근경에 3 ~ 18개의 괴근이 연결되어 있다. 괴근은 11월에 수확하여 이듬해 4월에 식재하였다. 괴근을 3 ~ 6 개 가지고 있는 ‘Chiangmai Snow’의 개화율은 86%였으 나 15 ~ 18개 가지고 있는 것은 거의 100%를 나타냈다. 괴근 2개를 가지고 있는 ‘Chiangmai Pink’의 개화율은 50%였으나 5개 가진 것은 70%의 개화율을 보였다. C. alismatifolia ‘Chiangmai Pink’와 C. thorelii ‘Chiangmai Snow’는 괴근수가 많을수록 출아일, 화뢰출현기 및 개화 기가 단축되었으며, 초장, 화경장 및 화서장이 증가되었 고, 개화율과 수명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식 재 전 구근의 저장온도는 20oC에 비해 25oC 및 30oC의 경 우 정식 후 맹아가 출현되기까지의 일수가 감소되었다. 또 한 건식저장보다 습식과 상토저장 시에 맹아출현 소요일 수가 크게 단축되었다.
        4,000원
        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most common type of presenile and senile dementia. Human β-amyloid precursor cleavage enzyme (BACE-1) is a key enzyme responsible for amyloid plaque production. We assessed anti-BACE-1 and behavioral activities of curcuminoids from Curcuma longa, curcumin (CCN), demethoxycurcumin (DMCCN), and bisdemethoxycurcumin (BDMCCN) against AD fly models. Neuro-protective ability of curcuminoids was assessed using fly model system overexpressing BACE-1 and its substrate APP in compound eyes and entire neurons. BDMCCN has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toward BACE-1 with 17 μM IC50, which was 20 and 13 times lower than those of CCN and DMCCN respectively. Expression of APP/BACE-1 resulted in the progressive and measurable defects in morphology of eyes and locomotion. Supplementing diet with either 1 mM BDMCCN or CCN rescued APP/BACE1 expressing flies and kept them from developing both morphological and behavioral defec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hydrophobicity appear to play a role in determining inhibitory potency of curcuminoids on BACE-1.
        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assessment was made of beta-site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cleaving enzyme (BACE1) inhibitory, feeding, climbing activities and lifespan of the diarylalkyls curcumin (CCN), demethoxycurcumin (DCCN) and bisdemethoxycurcumin (BDCCN) identified in the rhizomes of Curcuma longa. Based on IC50 values, BDCCN (0.024 mM) was the most inhibitory constituent, followed by DCCN (0.31 mM) and CCN (0.59 mM). Overall the three curcuminoids were significantly less inhibitory than BACE1 inhibitor IV isophthalamide (8.5 × 10-5 mM). The expression of human APP and BACE1 in compound eye of Drosophila melangaster presented rough abnormal ommatidial lattice. Co-expression of APP and BACE1 within the developing nervous system of drosophila showed climbing defects. These transgenic flies kept on media containing 1 mM of CCN and BDCCN were observed to ameliorate eye degeneration, significantly suppress locomotive dysfunctions, and increase media life time, as well as isophthalamide. CCN and BDCCN as human BACE1 inhibitory constituents may be used as potential therapeutics or lead molecules to develop Alzheimer's disease treatment drugs.
        4.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root yield and curcuminoid content of turmeric (Curcuma longa L.), cultivated using mother seed rhizomes (MR) and finger seed rhizome (FR) of different sizes. MR are attached to the stem, and FR are connected to the MR, and are used as a general seed rhizome. Methods and Results: Seed rhizomes of different types and sizes were used: large, medium and small for FR, and large, half-sized, and small for MR. Thes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ultivated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 growth characteristics, root yield, and curcuminoid content did not show clear difference between MR and FR, but suggest that the larger seed rhizomes (above 30 g) could have higher root yields. On average, harvested mother rhizomes (HMR) contained more curcuminoid than harvested finger rhizomes (HFR), while the yield of HFR was higher than that of HMR. The higher weight of harvested root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elevated curcuminoid content. Conclusions: The two seed rhizomes, MR and FR, did not differ in root yield and curcuminoid contents, but larger seed rhizomes may produce better root yields. This suggest that the optimum seed rhizome is larger FR, to produce higher yields and quality in turmeric root production.
        8.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자압축 탈수공정에 의한 색도변화는 재사용 탈수액을 적용한 건조공정에서 원물과 유사한 색도를 나타내었다. 수분 및 수분활성도에서도 유의적 경향이 일치하였다. 탈수액의 농도와 첨가량에 의한 탈수율과 복원율의 변화에서는 탈수액의 농도 차이에 따라 탈수율은 달라졌으며 농도가 커질수록 탈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복원율 역시 탈수액 농도가 낮을수록 완만한 복원율을 나타내었고 탈수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복원율이 높았다. 탈수액의 첨가량에 의한 탈수
        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was examined to detect variation of in vitro cultured 30 rhizomes of Cymbidium goeringii and Cymbidium kanran, with long-term subculture, respectively. Out of 105 DNA bands detected, the 38 were polymorphic with a polymorphic rate 36.1% in the C. goeringii. Out of 126 DNA bands detected, the 58 were polymorphic with a polymorphic rate 46.0% in the C. kanran. The size of the amplified fragments of the two species ranged from about 200bp to 3,000bp. Genetic similarity matrix (GSM) shows from 0.810 to 1.00 with an average of 0.929 in the rhizomes of C. goeringii and 0.786 to 0.984 with an average of 0.915 in the C. kanran. The result indicate that the long-term in vitro cultured C. goeringii and C. kanran supplemented with growth regulators might be promoted in higher polymorphism and increased GSM. Thus, the higher polymorphism rate of in vitro cultured rhizomes might be resulted in long-term subculture and the plant growth regulators supplemented with the culture medium. The results provide as fundamental data to develop a new materials for plant breeding and resources plant.
        1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scanthus, a perennial rhizomatous C4 grass, is a potential biomass crop, mainly because of its high yield potential and low demand for inputs. But, overwintering is the biggest problem for establishment of Miscanthus in the first year after planting rhizomes, particularly in East Nothern Asia, where winter is very cold. In this study, overwintering and freezing tests with Miscanthus rhizom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Experimental Farm St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 Korea) and the freezer maintained at -18℃, respectively. For overwintering test, rhizomes of Miscanthus sinensis, M. sacchariflorus and M. x giganteus were buried at 1, 3, 6, and 9 cm soil depths in the field in December 2009 and transplanted in a plastic pot containing sandy loam soil in March 2010. The pot was then placed in the incubation room maintained at 35/25℃ for assessing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For freezing test, Miscanthus rhizomes planted at 3 cm soil depth in a plastic pot containing sandy loam soil were kept in the freezer for different durations and then transfer to the incubation room for assessing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Rhizomes buried at 1 cm showed the least seedling establishment, while those buried at 6 cm showed the best seedling establishment, suggesting that rhizomes need to be planted at 6 cm for their successful overwintering. When rhizomes were exposed to freezing temperature down to -18℃, their survival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duration of freezing exposure. From 12 hours of exposure their survival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finally reached to zero at longer than 24 hours of exposure.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screen cold tolerant genotypes.
        11.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메탄올을 용매로 12종 양치식물의 지상부와 근경의 건조시료를 초음파추출하여 페놀성 물질 함량 및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793~140.014 mg·g-1, 생시료 1 g에 0.779~49.579 mg·g-1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넉줄고 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559~34.909 mg·g-1, 생시료 1g에 0.714~11.487 mg·g-1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 중에는 관중 지상부, 생시료 중에는 더 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서 함량이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나도히초미 근경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시료의 수분함량과 추출수율을 고려하여 RC50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생시료의 양을 계산한 결과, 나도히초미 근경보다는 더부살이고사리 지상부가 DPPH와 ABTS radical 소거용 식물소재로 적합하였다.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특히 ABTS radical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가지고비고사리 추출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가 ascorbic acid 또는 BHT와 유사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12.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의 근경을 열풍(40, 50, )으로 일정시간(10, 30, 60분) 처리한 후 LDPE 필름(0.04 mm)으로 밀봉 포장하고 에서 2개월간 저장하면서 포장 내 기체조성과 생강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포장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열처리 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수록 낮고 높은 경향이었다. 발아율은 처리구에서 보다 높았으며, 부패율은 고온 장시간 처리구 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질경도는 열처리 온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어질수록
        14.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추냉이 밭재배에서 강판에 갈아 생식할 수 있는 근경을 생산하는 작부체계를 개발하기 위해 중산간부 지역인 전북 진안군에서 12개월과 7개월간 묘를 육묘하였다. 육묘된 묘는 평야부인 전북 익산지역에 9월 하순에 이식되어 이듬해 5월에 근경수량을 조사하였다. 중산간부에서 7개월간 육묘한 묘에서 근경장 5cm 이상, 근경중 40 g 이상의 상품성 있는 근경이 13.0%의 비율로 생산되었고 72.9 kg/10a의 수량성을 보였으며 근경의 allylNCS 함량도 0.7771 mg/g으로 18개월간 물재배된 근경과 대등한 함량을 보였다.
        15.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의 수확방법을 인력수확에서 생력기계화 수확기술로 개선코자 트랙터굴취기 등 4종의 수확기기의 기계수확 효율을 비교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력효율은 인력에 비하여 경운기 경운 69%, 경운기부착 굴취기 73%, 트랙터 부착 굴취기 76% 절감되었다. 2. 근경의 손실율은 인력수확 5.6%, 경운기 경운14.9%, 경운기 부착 굴취기 8.7%, 트랙터 부착 굴취기8.9%로 기계수확에서 높았다. 3. 상품 근경 수량은 인력수확 2,115 kg/10a에 비하여 기계수확에서 111~304kg/10a감소하였으며, 총 근경수량도 인력수확에 비하여 기계수확에서 2~6%감소하였다. 4. 경운기 부착 굴취기 와 트랙터 부착 굴취기 는 생력효율이 높고, 근 손상율 및 상품수량 등에서 인력수확에 크게 떨어지지 않아 적용가능성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모의 고품질 품종 육성 및 재배법 개선과 유통중인 생약으로서의 안전성을 위한 품질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지모의 지표성분의 HPLC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모의 유효성분을 분리하고 지표성분화 한 후 HPLC 분석 정량법을 검토하므로써 지모의 품질 분석법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모를 MeOH로 대량 추출하여 계통 추출법으로 용매분배 후 조사포닌 분획인 n-BuOH ext.를 얻었으며 이 n-BuOH ext. 을 silica gel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 1를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화합물 1의 1H, 13C NMR spectra 등을 검토한 결과 화합물 1은 지모의 주요 약효성분인 timosaponin A III로 확인되었다. Timosaponin A III은 지모의 주요 성분이자 혈당 강하작용과 항암활성 등의 주요 약효를 보이는 성분으로 지모의 품질 평가 기준으로서 지모의 지표성분으로 하기에 적합하였다. Timosaponin A III의 HPLC 분석법 확립을 위해 ELSD 검출기 가 사용되었으며 ODS계 컬럼을 사용하고 60% acetonitrile를 이동상으로 하여 0.9ml/min의 유속으로 분석을 한 것이 가장 적절한 timosaponin AIII의 HPLC 분석 조건이었다. Timosaponin AIII의 HPLC 분석을 위한 지모 시료의 추출조건 검토에서는 1g 분말시료를 80% MeOH를 추출용매로 할 때 80℃에서 총 2회 환류 추출하는 것이 성분의 총 회수율을 가장 높이는 추출조건이었다.
        17.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나무의 향기성분 조성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C상에서 생강나무는 꽃, 잎, 줄기 각각 60, 80, 83개의 peak가 관찰되었으며, 주요 성분군은 생강나무의 경우는 꽃의 경우는 sabinene, eta -myrcene, 1-limonene, cir-3-hexanal, λ -terpinene,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1-borneol, δ -guaiene, ledene, δ -ca-dinene, elemol, 9-octadecanal, 1-(1,5diNe-4-hexenyl ) -4-mebenzene, α -chamigrene, λ -selinene, β-endesmol, 1-phellandrene, 3-Me-6-(1-Me, ethyl ) -2-cyclohexen-1-one, epiglobulol의 성분이, 잎의 경우는 phellandrene, α -terpinolene,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cis-3-hexanal, λ -terpinene,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1-borneol, δ -guaiene, ledene, δ -cadinene, olemol, 9-octadecanal, λ -selinene, o-chamigrene, 1-(1,5-diMe-4-hexenyl) -4-mebenzene, β-endesmol의 성분이, 줄기의 경우는 sabinene, β-myrcene, ι-limonene, phellamdrene, α -terpinene, ledene, 1-borneol, λ -terpinene, 2,4a,5,6,7,8,9,9a-octahydroben-zocycloheptane, elemol, λ -selinene, cis-3-hexanal, (Z)-3-hexen-1-ol acetate, λ -elemene, δ -guaiene, δ -cadinene, 9-octadecanal, 1-(1,5-diMe-4-hexenyl) -4-mebenzeno, β-endesmol, α -charugrene의 향기성분이 주요 성분군으로 확인되었다. 2. 생강나무에서 생강의 향기를 발산하는 성분으로는 β-myrcene, o-terpinolene, phellandrone, ι-limonene, β-eudesmol, δ -cadinone, elemol, trans-caryophyllene으로 동정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phellandrene, β-eudesmol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확인하였다.
        18.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천궁(山川芎)의 노두(蘆頭)와 근경(根莖)을 봄과 가을에 식재(植栽)하여 1년(年) 또는 2년간(年間)을 재배(栽培)하였을 때의 지상부(地上部)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초장(草長), 주당엽수(株當葉數) 및 경수(莖數)는 근경(根莖) 춘식(春植) 2년생(年生) > 근경(根莖) 추식(秋植) 1년생(年生) > 노두(蘆頭) 추식(秋植) 1년생(年生) > 노두(蘆頭) 춘식(春植) 1년생(年生)의 순(順)이었으며 근경(根莖) 춘식(春植) 2년생(年生)의 경우는 생육기간(生育後期)에 경수(莖數)가 급속히 감소(減少)되었다. 2. 노두(蘿頭) 춘식(春種) 1년생(年生)의 경우 건엽중(乾葉重)과 엽면적(葉面積), 엽면적(葉面積) 지수(指數)는 8월(月) 16일(日)에 최고에 달하였으며 건경중(乾莖重)과 건근경중(乾根莖重)은 수확시(收穫時)까지 계속 증가(增加)되었다. 3. 수권적기(收權適期)는 근경(根莖) 춘식(春植) 2년생(年生)의 경우 10월(月) 17일(日), 근경(根莖) 춘식(秋植) 1년생(年生)과 노두(蘆頭) 춘식(秋植) 1년생(年生)은 11월(月) 9일(日), 노두(蘆頭) 춘식(春植) 1년생(年生)은 11월(月) 13일(日)로 추정(推定)되었다. 4. 근경(根莖) 식재(植栽) 2년생(年生)의 수량(收量)은 443kg/10a으로 근경(根莖) 식재(植栽) 1년생(年生)의 수량(收量) 194kg /10a에 비해 2.8배(倍)가 증가(增加)되었다. 5. 식재시기(植栽時期)는 가을식재(植栽)가 봄식재(植栽)보다 증가(增收)되었으며, 종구(種球)는 근경(根莖) 식재(植栽)가 노두(蘆頭) 식재(植栽)보다 수량(收量)은 17% 증가(增加)되었지만 종구비(種球費)가 많이 소요(所要)되므로 경제적(經濟的)으로는 노두(蘆頭) 식재(植栽)가 유용(有利)할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