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층 구조물 및 특수 구조물의 수요 증가로 별도 다짐 없이도 타설 가능한 고유동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유동 콘크리트는 유동화제 사용 및 다양한 시멘트계 재료로 배합 되는데, 배합실패 또는 유동화제의 과다 첨가 등으로 인해 타설 시 콘크리트 재료분리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재료분리는 블리딩 및 골재의 침하로 콘크리트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확하게 평가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습식체가름에 따른 기존 평가 방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하여 고유동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fine dust on indoor and outdoor atmospheric environment in Korea is getting larger and it i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incorporating photocatalyst. Conventional light transparent concrete (LEFC) arranges plastic rods to ensure light transmitta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fluidity due to the heterogeneity and spacing of the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flow test, J-ring test and L-box test, which are ASTM standards or EN standards, are used to evaluate the fluidity and to find out the optimum mix design of light transparent concrete with self-consolidating performance.
        3.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2 reduction type quaternary component high fluidity concrete was produced with more than 80%r eduction in cement quantity to increase the use of industrial by product sand enhance construction performance, there by reducing CO2 emissions. Furthermore, theq uality properties, and CO2 reduction performance of this concrete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quality evaluation of quaternary 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concrete with CO₂reduction, the target performance could be achieved with a 80% or more reduction of cement quantity by mixing a large amount of industrial byproducts. The required performance level was obtained even though the flow, mechanics,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decreased a little compared to conventional mix.
        5.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분산제 코팅을 통해 성능 개선된(EP)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실험 방법으로 나일론 섬유 길이와 다른 유기계 섬유(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를 혼입한 경우 그리고 광물질혼화재(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쉬)의 종류를 달리 혼합한 2성분계 및 3성분계의 경우를 가지고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구조물 적용을 위한 Mock-up Test를 성능 개선된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자기충전콘크리트 와 일반콘크리트를 비교하여 실구조물 활용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굳지 않은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 경화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 및 내구특성을 종합해 볼 때 성능 개선된(EP) 나일론 섬유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성능 개선된 나일론 섬유에 따른 광물질 혼화재 사용에서는 플라이애쉬 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