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 of non-dominant hand for the sequential timing performance. Methods: Twenty right-handed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non-dominant hand practice group that practiced with only non-dominant hand or the bimanual practice group that practiced with both hands simultaneously. The participant was asked to alternatively press two buttons six times with the index finger of the non-dominant hand or both hands in order to reproduce accurately the goal rhythm pattern (3,600ms in total duration). The goal rhythm pattern had three rhythm types and two perceptual structures, which the (in)congruent structure was that the structure of auditory signal was (or not) in accordance with that of visual signal. Results: Bimanual practice group was more effective for absolute-timing learning than non-dominant hand practice group. Although absolute timing performance improved in congruent structure during acquisition phase, the learning effect on absolute timing was occurred in incongruent structure. Relative timing performance of two groups improved in congruent structure during acquisition phase, but the learning effect on relative timing was occurred in both perceptual structures. Conclusion: We suggest that practice method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for absolute timing or relative timing,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of a non-dominant hand by utilizing an incongruent structure of visual-auditory information.
        2.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연습구조의 다양성이 순차적 타이밍과제의 수행에 있어서 절대시간(absolute timing)과 상대시간(relative timing)의 학습과 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실험1에서는 각 하위요소가 서로 다른 시간적 구조를 갖고 있는 타이밍과제(300, 500, 200, 200, 400ms)를 사용하였다. 참가자들(n=18)은 각 2개의 그룹으로 무선배정 되었다. 집중연습그룹은 총 45시행으로 구성된 연습시기 사이에 10분의 시간간격을 두고 총 3번의 연습시기를 하루에 집중적으로 연습하였으며, 분산연습그룹은 연습시기 사이에 약 24시간의 시간간격을 두고 매일 한 연습시기씩 총 3일 동안 동일한 과제를 연습하였다. 실험결과, 상대시간의 학습에서 두 그룹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손의 순서를 바꾸어 동일한 타이밍과제를 수행하게 한 전이검사에서는 분산연습그룹이 집중연습그룹보다 효과적인 전이를 보여주었다. 절대시간 측정변인의 경우 분산연습그룹이 집중연습그룹보다 더욱 우수한 절대시간의 학습과 전이를 보여주었다. 실험2에서는 타이밍과제의 복잡성을 조작하여 상대적으로 난이도를 낮추었을 때 연습방법에 따른 효율성에 어떠한 차이가 생기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2에서는 타이밍과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하위요소의 시간적 구조가 동일한 과제(각 키 당 320msec)를 수행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분산연습방법이 집중연습방법보다 난이도를 낮춘 단순화된 타이밍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상대시간의 전이와 절대시간의 학습 및 전이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연습구간 사이에 다른 과제나 부가적인 연습 등이 없이 상대적으로 긴 비활동 기간을 가지는 것이 연습을 통해 학습된 타이밍 정보가 뇌에서 충분히 병합되고 공고화되는 과정을 더욱 촉진시켜 운동기술의 학습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기억공고화(memory consolidation) 가설과 맥락을 같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