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산업시설의 위험유해물질 배출이 미치는 사회영향을 평가하고, 기술근거배출허용기준 설정과정에서 요구되는 사회영향평 가 항목 및 방법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범위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해양산업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및 산업에 대한 영향은 ‘큰’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대기업은 영업이익손실과 도산가능성, 그리고 고용손실의 영향이 적 었고, 소기업과 중기업은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및 경제에 대한 영향은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직접적으로 인 과관계를 지니는 어업생산자나 지역관광종사자, 그리고 해당 지역은 그 영향이 집중되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세심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술근거배출허용기준의 설정방법에서 사회적 손실비용 및 사회적 편익산정 항목과 방법 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3.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umerous spent nuclear fuels are generated every year in Korea. To solve the spent nuclear fuel problem within saturated temporary storage, the authorities are readying to build an interim storage and a permanent disposal facility in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the authorities are readying to establish a management procedure for spent nuclear fuel. In the future, the authorities need to make and apply the Database of spent nuclear fuel to practice the management procedure. However, the structure of a traditional database is not reasonable for information management because it has a problem with listing data and identifying data features due to its structure. In addition, the traditional database always exists human error from working in Excel program by a human.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standard information management model based on Semantic Web technique. Semantic Web uses a data structure named ontology. By using the ontology in the information database of the spent nuclear fuel, users, such as institutions related to management, could more easily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Database. Furthermore, since this task proceeds in the ontology construction program, the human error in the new model reduces rather than an environment of the traditional database.
        9.
        2016.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분리막 수처리 공정에서는 완결성 테스트를 통해 막 손상을 감지하고, 수작업으로 손상부분을 찾아내어 해당 부분을 보수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전문 인력이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 한 시점이다. 당사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예일대학교와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분리막 복원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기술은 분리막의 손상된 부위에 Healing agent를 침적시키고, Cross-linker를 주입하여 손상된 부분에 큰 고분자를 형성시켜 보수하는 기술이다. 현재 Lab 테스트를 통해 효과 를 확인하였고, 실규모 막모듈을 이용하여 검증평가를 진행한 후 상용화를 준비 할 예정이다.
        10.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존 대상 원수를 전처리(응집, 침전, 압력식여과 장치)한 후 역삼투공정을 거쳐 순수정도의 처리수가 생산되어지는데 최근 기존 전처리 공정을 MF분리막을 이용하여 처리수의 수질을 더욱 양호하게 하여 운전효율을 높이고 있다. 도레이에서는 전처리용 MF분리막의 효율을 더욱 개선된 분리막을 연구 개발하였다. 기존 MF분리막 대비 제조법을 달리하여 물리적강도를 증가시키고, 공칭공경을 더욱 작게 하고 투과도를 높여 내오염성을 유지하며 물생산량은 큰 차이 없이 제조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장점을 통해 사용기간 동안 경제성을 높일 수 있었다. 본 발표내용을 통해 이러한 내용을 파이롯트 및 실제 현장에 적용된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1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개발 도입되고 있는 첨단항해계기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 관련 국제기준과 세계주요해양대학의 항해계기 관련 교육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항해교육을 위한 교과목의 세부 요목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해기교육과정의 편성과 해기면허시험의 세부요목을 설정하는데 참고 자료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4.
        202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24년 미국항공우주국은 아르테미스 유인 달 탐사를 계획하고 있으며, 2030년대에는 미국을 비롯해 주요 국가들은 인류가 1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유인 활동을 추진하기 위한 관련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계획과 더불어 가장 우선시하여 고려되는 것은 달 현지자원 활용이며, 반드시 필요한 자원은 생명유지를 위한 물과 산소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원은 지구에서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달 표면 현지에서 확보해 활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며, 달 기지 건설 및 향후 화성으로 진출하기 위한 추진체의 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도 산소자원의 채굴 및 활용방안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개발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달 표면에서의 산소의 분포 및 산소 추출에 대한 대표적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cience and Technology process focuses on a number of areas wher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provides a major opportunity to innovate water resources management. A number of areas have been carefully selected and are described below. Main focus 1: Efficient water management Today’s water management continues to be highly inefficient in many respects, seriously hamper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delivery of services and the protection of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In the years to come, major efforts will need to be made to improve water efficiency as a means to secure water resources, adapt to climate change, or operate water services systems at lower costs. Sub Focus: Urban water efficiency, Agricultural water efficiency, Industrial water efficiency, Energy efficiency in water and waste water systems Main focus 2: Resource recovery from water and waste-water systems Increasingly, water and waste-water systems are recognized as potential sources of recovering water, energy, nutrients and other materials. At the same time, the re-use of waste water in agricultural, industrial and urban applications is gaining momentum. The development of re-use and recycling within the water and waste-water sectors provides major opportunities for improv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creating climate benefits and reducing costs. Sub Focus: Water re-use and recycling technologies, Energy recovery and production from water and waste water cycles, Nutrients recovery from waste water Main focus 3: Water and Natural disasters As the devastating impact of recent natural disasters such as the flood occurred in Thailand in 2011, indicates, mankind is vulnerable to extreme weather events in developing and even in developed countries. Clearly, such extreme events have always been part of our life and may be caused by climate change. This makes water related problems, especially, such as floods and droughts, more difficult to analyze and predict. Climate change is predicted to have a range of serious consequences, some of which will have impact over the longer term, like droughts, while some have immediate and obvious impacts, such as intense rain and flooding. Floods and droughts are major natural disasters involving loss of life and the destruction of property. So, we may need advanced technologies and measures in order to cope with natural disasters. Sub Focus: Climate change : impact assessment and adaptation, Drought analysis and management, Urban floods and damage reduction studies, RS and GIS applications for natural hazards Main focus 4: Smart technology for Water Water management is increasingly influenced by developments in Smart Technology(ST). Better use of this ST in measuring, monitoring and distributing water can lead to a significant contribution in overcoming water management challenges in the 21st century. Bridging the ‘divide’ between the water and ST sectors will b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and (wide-scale) application of new smart technologies in the water sector. Sub Focus: Urban and Irrigation water management and ST, Integrated and intelligent river basin water management and S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water grid,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Big Data Main focus 5: Understanding and managing ecosystem services for water Ecosystems provide valuable services underpinning water security and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recent years, major advances have been made in understanding the role of ecosystems in, for example, reducing floods, recharging aquifers, or protecting and improving water quality. Sub Focus: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natural and green infrastructure management, The economic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for water, The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for water quality and delivery
        16.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ize breeding is mainly divided by two steps; line development and hybrid selection. Line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procedure to make good hybrids and this line development in Korea is fully depend upon conventional methods like pedigree selection, back-cross, etc. For development of pure line, we have to do self-pollination for at least seven cycles. This line development system is tedious, labor-intensive, and time-consuming procedure. Doubled Haploid technology for maize is a new system to develop inbred lines within short period and many maize research institutes in foreign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using this technology. Using Doubled Haploid technology, we can greatly reduce the period of line development and strengthen maize research ability in Korea. Key requisite for Doubled Haploid breeding is possession of inducer lines which can produce haploid when source population is crossed with them. Maize Research Institute in Gangwon Province secures the right of using inducer lines and is trying to introduce Doubled Haploid breeding in Korea. Doubled Haploid breeding system is as follows; crossing between population and inducer, separation haploid seeds from F1 seeds, chromosome doubling, doubled plant management, self-pollination, seed multiplication, and assessment. We expect our breeding capacity will be progressed by introduction of Doubled Haploid technology. When this technology comes to combine with marker assisted selection, we can increase competitiveness against global institutes.
        1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terminant factors in the new agricultural technology acceptance targeted to the automatic switchgear for heat-retaining mulching used on the oriental melons farms. The probit and the logit models were estimated using survey data.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level of income, innovativeness, and reliability are important factors of the new agricultural technology accepta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e level of income, innovativeness, and reliability in advance to extend the new agricultural technology quickly.
        18.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환경 변화에 따른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범람 등 홍수재해에 의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강원도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집중호우, 태풍과 같은 이상강우로 인한 홍수피해의 발생이 매년 나타나고 있다. 홍수피해의 빈도와 강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가뭄 피해도 잦은 실정이다. 이에 강원도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홍수 및 가뭄의 피해원인 분석과 이에 대한 대비로서 우수저류조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여러 형태의 저장기법 등 홍수 및 가뭄피해의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수저류조의 설치는 홍수유출의 저감 및 집수된 용수의 이용을 통한 가뭄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규모, 형태, 위치 및 운영방법 등의 설계요소의 변화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저류조 저장기법을 활용한 강원지역 홍수/가뭄피해 최소화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개념, 방법 및 연구절차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추후 계속되는 연구결과를 통해 강원도의 지역특성을 반영한 우수저류조 최적 설계법을 제시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1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독도의 개발은 독도가 도서로서의 지위를 가질 수 있는 섬으로의 인공적인 가미를 통한 개발이 필요 하다. 즉 독도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지름길은 주민의 삶의 장소로 전환하는 것이 국제법적 관점과 외교 안보적 관점 등에서 최선 의 방법이라는 것을 기본으로 검토하였다. 현재 독도는 「독도이용 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것처럼 독도근해의 천연자원 개발,섬충 수 개발,기타 수산자원 개발이 국내법적으로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의 원형을 보전하면서 독도 미래적 비전과 복합적. 기능적 관점에서 개발을 위한 개념을 정리하고 공학적 측 면에서 독도개발을 위해 고찰하여, 獨島의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초거대 부유구조물은 해양영토를 연장하는 방법으로 세계적으로 적용이 되는 개념으로 독도의 영토개념으로 전환 가능한 공학적 방법이다. 또한 독도 근해에 기초설계를 통하여 해양도시 형태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다. 21 세기 공학기술의 첨단화,융합화는 부유구조물 기술이 수명 100년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독도에 설치 가능한 초거대 부유구조물 설계와 제작기술이 우리나라에도 확보된 기술임을 확인하였고,부유구조물을 통한 영유권 공고화를 위한 독도개발은 기초조사 선행이 반드시 필요하다. 독도는 주변 해역에 많은 자연자원을 가지고 있으며,최근 독도 근해의 광물,해수,채광 등을 통하여 이러한 자연자원 개발은 에 너지 자원인 메탄하이드레이트를 채광하는 경우에도 경제적 개발 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해양심층수,해저 광물 등을 포함한 해양산업 연계는 경제적 자립화 가능한 생산도시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獨島를 정주여건이 가능한 생산도시,자연자원의 도시로 그 기반을 구축하여,동북아의 평화의 도시,관광의 도시로 만들기 위한 공학적 기반은 갖추어져 있고 추후 기초 설계 및 시공을 위해서는 많은 연구와 조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