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1.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owding is widely observed in various tourism contexts. Compared with natural scenic areas, theme parks have concrete boundaries and are physically, economically, or culturally separate from the surrounding area, it also brings problems with carrying capacity and visitor management. Data shows that China has become a critical theme park market, and crowding has become a major problem for theme park operators in Chin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uman crowding on visitors' emotion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using the M-R model as a framework.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Shanghai Disneyland and Zhuhai Chimelong Ocean Kingdom, 295 and 41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spectively.
        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and theme park users’ satisfaction, loyalty, and revisit intention. This is because it can identify the usefulness of makeup servic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field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668 users of the theme park were surveyed after convenience screening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main theme was the makeup service for visitors to Lotte world, Everland, and Hapcheon Ghost theme park.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applied them to the makeup service. Based on this,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established, and as part of the empirical research,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nalysis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using theme parks. Second,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ird, experience marketing using makeup ser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return. Fourth, satisfaction and loyalty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return. Based on this research, we hope that the makeup service as experiential market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various fields, and that the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make the makeup service into the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s marketing.
        4,500원
        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및 테마선정 경향을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국내 테마파크 108개소를 대상으로 한 조사 분석에서 명백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테마파크의 조성동향 분석에서는 광역시 등 시 단위에서는 테마파크가 비교적 초창기에 만들어졌으나, 2000년 이후에는 조성되지 않는 반면 지역의 도 소재 테마파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늦은 시기에 테마파크가 조성된 지역은 전라도이며, 단위면적 대비 가장 많은 테마파크를 보유하는 지역은 제주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테마선정에 대한 경향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가 테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000년 이후에는 ‘놀이’의 비율이 감소한 반면 ‘문화’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용방식에 대한 분석에서는 1994년까지는 ‘놀이기구 체험’이 주를 이루었으나, 2005년 이후부터는 ‘학습활동 체험’ 및 ‘교육’에 대한 비율이 크게 증가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테마선정시 지역자원의 활용 비율은 25%로 낮게 나타났으며 조성시기와의 연관성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라도에서는 타시도와는 달리 지역자원 활용 비율이 61%로 월등하게 높았으며, 국가 및 지자체가 83%의 테마파크를 조성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관리주체와의 관련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4,000원
        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대강사업으로 이미 조성된 팔당 물안개공원을 재생하기 위해 허브 주제원을 도입 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주로 물리적 측면에서 다룬 내용이다. 기존공원의 재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현 공간구조를 오방(五方)의 전통적 장소 맥락에서 재해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별 주제를 조직화하고 허브 식재방식과 시설요소를 ‘두텁게 하는 전략’을 활용하였다. 또한, 새롭게 도입될 주제원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장치요소를 제안함으로써 이용자와 환경 간에 다양한 감성 교류와 공감 강화를 겨냥하였다. 한편 입지특성에 의해 오랫동안 공공복지 관련 개발행위조차도 제한되어 온 계획대상지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수도권 수변 휴양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와 공공복지활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였다. 계획수립에 따른 예상효과가 상부 기관으로부터 인정받아 해당 예산을 이미 확보한 본 사업은 2022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본 사업의 충실한 질적 완성을 기대한다.
        4,000원
        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적인 아케이드게임 강국이라 불리던 미국이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VR 테 마파크산업 발전에 대항하여 VR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 때 PC방 문화를 이끌면서 온라인 게임강국이란 이름으로 불리던 우리나라 게임업계와 테마파크업계도 에버랜드나 롯데월드와 같은 기존의 대형 놀이공원에 VR 기술을 도입하는 수준이었으나, 최근 송도, 이태원, 홍대, 동대문 등의 시내에 도심형 테마파크들을 속속 개장하면서 VR 테마파크 산업을 새로운 VR 산업의 핵심 분야로 발전시키고 있다. VR 테마파크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VR 관련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민간기업 뿐만 아니라 정부의 지원 대책도 필요하며, 사용자들이 VR 콘텐츠를 체험하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대규모 잠재고객의 확보로 전 세계 VR 테마파크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중국의 VR 테마파크산업과 롤러코스터와 아케이드로 활황을 누렸던 과거의 테마 파크산업을 다시 부흥시키기 위해 VR 기술을 도입하여 VR 테마파크산업을 발전시키려는 미국의 테마파크산업과 비교와 분석을 통해 한국 VR 테마파크산업이 가져야 할 경쟁력 강화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4,0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oal of this master plan i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provide local citizens with a place for leisure activities by transforming the magnificent pine forestscape at Geumam neighborhood park into a tourism resource.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s of the target site, which is located in Noam-dong, Namwon-si, in Jeollabuk-do. This master plan has adopted a motto, “engage five senses in pine trees; entertain five senses for fine life”, to express its philosophy of how to utilize the resources of pine trees.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has specified the suggested cont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on pines. Beyond an ordinary theme park, this master plan has been designed to create a central space that connects many rural village forests located in Namwon. In this master plan, main facilities have been suggested: the pine exhibition/experience hall, where visitors can appreciate and experience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pines; and the pinewood cabin, which is built with huge pine trunks, providing multiple functions as a space for rest and recreation ; the healing forest, which utilizes the existing pine forest; the pine sculpture garden; and the pine poem garden.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wo representative tourism resources of Namwon as symbolic elements: the herbs and royal azaleas of Mt. Jiri. unique hands-on pine experience activities available at these spaces have been proposed in two categories: festival programs and year-round programs.
        4,000원
        7.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oday’s digital world the role of electronic word-of-mouth (eWOM) communi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n invaluable tool in the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promotion activities of a wide r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In particular eWOM has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tourism and entertainment marketing such as that used to promote theme park amusement service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media (SM) relationship variables (Social identity, information, interaction, structure) have on eWOM communication, with mediators of social networks (Perceived usefulness - PU, perceived ease of use - PEOU and actual use -AU) acting as transmitters of those effect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strongly supported the importance of social identity and personal interaction in enhancing eWOM communication through social networks, they have not been tested as a specific model that is relevant to the theme park industry. This research therefore incorporates those three mediators to enhance the explanatory value of a proposed model. The findings confirm the mediating role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factors, i.e. PU, PEOU and AU, for predicting theme park visitors’ use of eWOM. It is shown that all four exogenous SM relationship variables exert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eWOM communication by operating through PU and AU, but not PEOU. Practically, the study features the role of a set of factors that support theme park visitors’ tendency to communicate their experiences to their online network and describes a model which could offer theme park and amusement venue operators a competitive edge over other direct competitors as well as other forms of entertainment.
        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자연자원을 활용하여 순창군 북서쪽에 새로운 관광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체험·체류형 관광유도를 통해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테마공원을 조성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에 위치하였으며 면적은 636,747㎡이다.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입지환경, 자연환경, 인문환경을 분석하여 대상지의 이용계층을 설정하고 도입시설을 선정하였다. 본 계획은 대상지가 지니고 있는 자연자원을 활용하되 자연에 대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산림박물관 및 내장산국립공원과 인접한 입지적 장점을 활용하여 이용객 유형에 따른 다양한 체험시설을 도입하였다. 연령별로 다양한 기능을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특히 대상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목공예를 활용하여 인간의 도리인 오상을 테마로 하여 스토리텔링을 통한 미니 테마원을 조성하였다. 계획대상지에서 교육적, 치유적효과를 체험하며 모든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였다.
        4,0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진안군이 가지고 있는 깜도야 브랜드를 활용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깜도야 농촌테마공원을 조성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위치한 마이산도립공원 인근의 북부예술관광단지 일원이며 면적은 81,403㎡이다.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입지환경, 자연환경, 인문환경의 현황을 분석하여 기본구상안을 도출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본 계획은 진안이 지니고 있는 양돈산업과 관련한 깜도야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국내외 다양한 돼지관련 문화를 소재로 활용하여 기본계획 및 운영프로그램을 수립하였다. 또한 최근 관광추세인 체험관광, 가족단위 관광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진안군의 휴양관광자원 및 역사문화자원과 연계를 위한 매개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아울러 깜도야 홍보 및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시설을 계획하여 장소마케팅을 통한 직거래 활성화로 지역경제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4,000원
        10.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w do people aware of the role of the zoo, and the zoo had previously had their effects on the image, visit the zoo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eed for research on what is fe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for students and par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Zoos intimacy and excitement in any situation that action says about the attributes, intimacy (emotional interest) is saying about the differences appear. Experience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study to participants interested in the cause,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Jean. Education, safety, sanitation, etc. are not taken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the experient live antipathy to the conclusion that it came out.
        4,900원
        1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의 목적은 농산물을 소재로 하는 테마공원을 조성하여 장수군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계획대상지는 전라북도 장수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140,650㎡이다. 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장수군의레드푸드 생산현황과 계획대상지의 물리적, 인문사회적 현황 및 잠재력을 분석하였다.장수군의 특산물인 5가지 레드푸드와 건강을 테마로 선정하였으며 레드푸드의 생산, 가공, 유통 및 홍보를 위한 센터로서의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도입시설은 테마관, 컬러푸드재배원, 5레드푸드테마원 등의 교양시설, 아로마테라피체험관, 치유의 숲 등의 휴양시설, 붉은단풍원, 레드푸드조각원 등의 조경시설과 상업시설 및 편익 ․ 관리시설이다.계획은 오감체험을 통해 방문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5가지 레드푸드의 테마별로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설을 배치하였다. 또한 인접한 지역에 입지한 관광휴양공간과 이용 및 시각적 연계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계획하였다.건강, 농산물, 전통문화, 자연생태, 예술 등의 체험 프로그램이 계절별로 연중 운영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아울러본 공원이 지역산업을 서로 연계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는 키 스테이션(Key Station)으로서 기능을 담당하도록 계획하였다.
        4,300원
        1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고창의 경관농업을 특화시키고 사계절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학원농장에 청보리테마파크를 계획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692,000㎡이다. 본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입지환경, 자연환경, 인문환경 분석을 토대로 기본구상안을 도출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본 계획은 대상지의 전국적인 지명도를 활용한 장소마케팅을 강화하고 연중방문객을 고려한 시설을 도입하였다. 축제방문객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유사테마파크와 차별화되면서 매력도가 높은 활동 및 시설을도입하여 계획하였다. 또한 다양한 경관농업을 소재로 사계절 축제를 개최하고 프로그램도 축제기간프로그램과 연중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4,300원
        1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사부 테마파크의 기본 구상은 독도라는 우리의 해양영토와 동해(東海)에 대한 범국민적인 교육현장이어야 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출발한다. 이 시대 우리는 왜 이사부를 깨워 동해바다에 우뚝 세우고 있는가. 이사부의 영정을 왜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청년 장군 이사부의 모습으로 되살렸는가. 그것은 끊임없이 자행되고 있는 일본의 ‘독도와 동해’ 침탈야욕을 분쇄하기 위함이다. 이사부가 우산국 정벌을 통해 울릉도와 독도를 우리 영토로 편입한 이래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실효적 지배를 해오고 있다는 역사성을 강조해야 하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 이다. 이사부 테마파크도 그러한 시대정신과 국민여망을 반영하여 주제를 ‘이사부 와 동해’로 하고, 소주제를 1)이사부와 고대해양활동 2)울릉도 독도 수호의 역사 3)독도의 생태와 수중자원 4)동해(東海) 자료관 5)한국의 해양영웅 등 5개로 설정했다. 이사부테마파크의 위치는 이사부장군이 우산국 정벌의 출항지로 삼았던 삼척시 오분항 일대로 설정했다. 오분리 고성(古城)과 그 아래의 오분항 지역, 그리고 오 십천 하구와 건너편 부지까지 주 사업대상으로 하고, 인근 맹방 장호 갈남 고포 증산 추암까지 보조사업지로 포함시켜 해양체험효과를 극대화시킨다는 구상이다. 이사부테마파크의 공간구성은 진입공간, 주제공간, 체험공간, 놀이공간, 숙박공간, 휴게공간, 주차공간, 다목적공간, 관리공간 등으로 구분했다. 진입공간에는 상징조형물 등 주제부각 및 감동적인 경관을 연출하고, 주제공간에는 이사부의 국가표준 영정을 모시는 사당(祠堂) 주제관(전시공간) 공연장 해양영웅관 야외공연장 등을 배치하며, 체험공간은 실내와 실외로 나누어 실외의 오십천 하구와 바다에서 이사부뱃길체험을 하고, 실내에서는 삼척-울릉도-독도 뱃길 답사 외에 다양한 가상현실체험을 하도록 했다. 놀이공간도 실내외로 구분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숙박공간은 수학여행단 또는 여러 동아리 등 단체관람객들이 사용 하는 공간으로 했으며, 휴게공간에는 기념품점, 음식점, 찻집 등을, 다목적공간은 심포지엄 강의 소규모 그룹활동과 이벤트를 겸할 수 있게 했다. 테마파크는 놀이시설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함께 소프트웨어적 부분인 쇼이벤트로 구성되는데, 테마파크는 사실상 ‘이벤트랜드’라고 불릴 만큼 이벤트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주제에 충실하면서도 관람객들에게 다른 곳에서 맛볼 수 없는 특별한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이벤트 프로그램이므로 삼척시에서는 이벤트의 소재가 되는 이사부와 동해, 해양영웅 관련한 학술적인 성과물과 함께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이사부의 해양개척정신을 이어받아 우리의 해양영토주권을 보다 확고히 하고 신 해양시대를 주도하는 국민교육의 장이요 인재양성의 보고(寶庫)가 될 이사부 테마파크는 마땅히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 오분항과 산성(山城) 일대의 발굴과 복원, 그리고 이사부 테마파크 조성 사업을 중앙정부에서 직접 주관하고, 건립 후 운영까지 직접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라고 본다.
        9,300원
        1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1980년 초반 용도가 폐기된 신탄진 취수장 부지에 주제공원을 제안하는 것이다. 대상지는 대전시 대덕구 신탄진동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16,715㎡이다. 설계의 주안점으로서 지역주민들과 방문객들에게 상징적공간과 모임공간으로서 역할을 유도하였으며 주변 대청댐의 주요 조망공간과 연계하여 신탄진의 관광장소로 만들고자 하였다. 본 설계안은부지지 조사/분석, 분석에 의한 프로그램 개발, 환경복원 및 지속가능한 설계, 그리고 종합계획을 다루고 있다. 주개념으로서 생태공원, 재생공원, 문화공원으로서 모색되었으며 외부공간은 관찰대, 조각정원, 야생화 정원, 수생관찰데크,문화센터로 공간구성을 하였다.
        4,000원
        1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계획은 김제시를 중심으로 하는 테마 파크를 디자인한 것이다. 이곳은 전라북도 김제시 적산면에 위치해 있고 면적은 약 120,000㎡이다. 농경 테마파크가 지니고 있는 정체성, 이용자를 위한 문화와 지역 관광,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실효성,그리고 친환경적인 디자인등 몇 가지 중요한 기준을 고려하여 본 테마파크를 계획하였다. 이 테마파크는 즐거움을 제공하고휴식, 체험과 놀이를 하는 다양한 장소이다. 김제의 근대 역사를 소개하는 이 공원의 정체성은 탐사지역, 출입지역, 상업지역,휴식과 놀이지역, 전시지역이라는 5가지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장소는 “근대 김제지방의 농경역사”에 관한 테마를갖고 있으며 공간의 연속적인 측면에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이 지역은 다양한 집합체와 다채로운 행사를 위한 상징적공간으로서 김제의 문화와 관광 기능을 할 수 있다.
        4,000원
        18.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 속의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는 K-pop으로 대변되는 엔터테인먼트 기반의 한류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한 분야에 국한된 사례로는 대한민국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기가 벅찬 까닭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류관련 미디어 콘텐츠들과 접목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신 한류 콘텐츠 사업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정밀 세공 능력을 자랑하는 수작업과 산업 인프라의 융합과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교육과 기술의 집약을 도출하여 지속가능한 종합적인 콘텐츠 실현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향으로는 전통적인 크래프트 산업을 대표하는 디오라마 제작과 ICT의 기술, 엔터테인먼트의 집합체를 더한 문화관광 콘텐츠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디오라마의 개념과 해당 분야 선진국인 독일, 네덜란드, 미국, 일본과 대한민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디오라마 산업 현황과 ICT 융합을 통한 국가적 콘텐츠 창출 방안과 그 내용에 대하여 개발 프로세스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분석과 결론은 ICT 플랫폼과 4차 산업에 기반하여 관광증진, 홍보강화, 교육연계, 고용창출로 이어지는 4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강점을 지닌 재래식 전통 전시사업과 첨단기술을 연계하여 현재 미디어에서 만들어 내고 있는 한류관련 미디어 콘텐츠들과 접목한 문화관광 프레임을 도출하여 우리만의 독특한 신 한류 콘텐츠 사업의 확장에 초석이 되는 연 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추후 세계시장의 리더로 성장하는 새로운 플랫폼 사업의 전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9.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lready established rural theme park, draw the weak and strong points, and come up with an efficient performance plan for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through the benchmarking of the best overseas c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facility and a program for family customers as a plan for promoting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It is required to secure safety through public operation and management, improve scalability of the facil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multi-functional complex facility, and come up with a plan for operating a special program associated with local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 drew three activation factors: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e development of operation contents by fac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operation in each area. First, to establish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organization of the theme park into the operation business area and into operation & management area by job func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 program in consideration of space and facility, suggest a differentiated plan for operation contents, and create a facility operation plan and program for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Lastly, to operate and manage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smoothly, it is necessary to set the theme park space as open collaboration space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share and participate in by avoiding the conventional administration-based business performance and oper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 for establishing an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Changwon Persimmon Theme Park and its oper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program, a business performance strategy, and the use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of the theme park.
        20.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targets Korean culture theme park in Yeongju-Zone and World confucian scholar culture park in Bonghwa-Zone among the Three Major Cultural Areas Projects supervis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uthenticity of each project on the basis of the reports and the report materials for meeting with related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drew the types of authenticity: originality, identity, specificity and visibility, which are evaluation items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uthenticity. Second, Bonghwa-Zone succeeded in acquiring originality with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ut Yeongju-Zone chose a project site without it. Third, with originality, Bonghwa-zone was evaluated as having resources and concept with high traditional culture connectivity and fulfilled identity. It led the feature showing the high affinity between originality and identity. Fourth, compared to the projects of Andong-Zone in the Three Major Cultural Areas Projects, these two projects failed to acquire the distinctions since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influence area and major facilities & programs coincided with those of the projects of Andong-Zone. Fifth, compared to Bonghwa-Zone, Yeongju-Zone realized visibility faithfully by the conceptual flexibility of "Korean Culture" and a large-scale development. Sixth, in terms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uthenticity of project plan, it is evaluated that Yeongju-Zone and Bonghwa-Zone only fulfilled visibility and specificity respectively.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