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s to evaluate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s of underground road project, as a case study of ‘Seobu’underground expressway project in Korea. METHODS :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s of underground road construction were classified into tree sector in this study – air quality, noise, and thermal environment. To evaluate these effects, this study collected and divided environment dataset into before, during, and after ‘Seobu’underground expressway construction, and compared the change of values with entire city. In addition, the quantification method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s was sugges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s of urban environment after the construction of ‘Seobu’underground expressway. Specifically,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PM10) and daytime/nighttime noise,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were improved along the expressway. In addition, the overall environmental benefit of ‘Seobu’ underground expressway was estimated to 1.15 billion won per year. CONCLUSIONS : To promote systematic and consistent underground road projec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legislative system for evalauting and supporting urban improvement effects.
        4,0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원별 유치거리를 기준으로 보행자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에 따른 서비스 면적 값을 통하여 공원별 접근성 분석을 하고자 한다. 공원별 서비스 면적 값의 도출을 위하여 첫째, 연령 계층의 분류와 보행속도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둘째, 전주시 도보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셋째, 구축된 도보 네트워 크에 보행 저항요인 중 경사도와 보행 저항성 식을 입력하여 저항요인을 포함한 도보 네트워크를 구축 하였다. 위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령 계층별 속도를 고려한 서비스 면적, 보행 저항요인을 고려한 서비스 면적을 도출하였다. 형성된 서비스 면적간의 뚜렷한 값의 차이를 보여주기 위해 법정 유치거리에 의한 서비스 면적을 기준으로 비율로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보행 저항요인이 고려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청․장년층의 경우 유치거리에 의한 서비스 면적보다 최소 –4.1%, 최대 –53.4%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고령층의 경우 보행 저항요인이 고려되지 않은 네트워크에 서 최소 –23.9%, 최대 –69.4%라는 큰 격차의 서비스 면적 감소율이 분석되었다. 또한 청·장년층과 고령 층 모두 저항요인이 고려된 네트워크에서 나타나는 서비스 면적은 저항요인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보 다 약 2~3%의 면적이 감소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설정된 법정 유치거리는 연령 계층, 보행 저항요인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직선거리만의 평균값이며, 기존의 제도적 장치 를 지속해서 사용한다면 서비스 면적의 감소율은 연령 계층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산정된 법정 유치거리를 기준으로 연령계층과 보행 저항요인의 고려를 통해 유지되어 왔 던 제도적 장치가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각화하고 수치화 하는데 의의가 있다.
        4,0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바람길 관리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Landsat-7 위성 열영상 자료와 공간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부산광역시의 Hot spot과 Cool spot 지역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WRF 기상모의를 통해 주요 바람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ot spot 지역 중 열환경 개선이 요구되는 지역은 부산진구, 동래구, 연제구와 사상구 공업지역, 대규모 시설지역에는 부산항 부두로 나타났으며 주요 바람길에는 금정산~백양산~ 구덕산 계곡부로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바람길 관리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업시설과 부산항 일대는 대기 온도 상승 요인으로서 주변 지역의 열환경을 악화시키므로 시설의 온도저감 및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건축계획이 요구된다. 바람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만덕동, 사직동 일대 산림에 대한 추가적인 훼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산림과 인접한 지역의 대규모 고층아파트는 산림에서 생성된 차고 신선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금정산과 접해있는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신규·재개발에 따른 고층아파트 단지 조성은 지양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부산광역시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 및 환경계획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6.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ystem improvement measures for urban regen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example areas are Hwangnam and Inwang Hanok districts in Gyeongju City, which operate various systems to solve the urban decline problem caused b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regula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resident support programs and district unit planning systems under the advanced promotion system established in the case area. As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tudies, fiel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introduction of each system, major plan contents, and problems of the system application process were analyzed.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First,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omote the urban regenera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lated systems in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anner. Second, in order to resolve the policy distrust of local residents in the historic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 wider variety of planned alternatives to narrow the difference in interes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hould be presented.
        4,300원
        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orts on the continued increase of local government's fiscal spending related to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desirable to counter the declining phenomenon of urban decline.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how to operate limited finances more efficiently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rational allocation of fiscal expenditure and the creation of productive resul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ttlement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of financial expenditure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225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expenditure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performance was also measured and the CCR, BCC and SBM models were used to measure efficiency.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local governments need to scale back their fiscal spending related to improving the government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epare feasible spending plans by bench-marking the process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in areas such as Haman-gun, Jongno-gu, Seoul, and Seocho-gu, which are considered to be under efficient operation.
        4,300원
        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 of complaints of odor in urban area has been increased due to mixed industrial areas of odor-related factories and municipal waste treatment odor-producing facilities located in adjacent residential regio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dor were reviewed according to two types of complaint from regions in Incheon area.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odor were reviewed in two patterns of odor complaints in Incheon area such as the complaints are maintained high continuously and are increased in recent period. International city with largescale residential areas with the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redevelopment of residential regions with the adjacent industrial complexes and other odor emission sour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odor management measures of major odor generating sources in order to improve urban environment were discussed with reducing odor complaints effectively.
        4,000원
        10.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등 생태환경요소가 도시재생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영향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분석으로 지표를 추출하여 경험적 분석(Empirical Analysis)를 통해 생태환경지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 선도지역 및 일부 활성화 지역을 대상으로 각 현황별 하위 항목을 지표로 선정하고,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가지고 도시재생의 중요한 평가 지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태환경적 요인인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 주택보급률, 기초생활수급자비율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표 간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녹지율과 기초생활수급자 간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 니라 공원 및 녹지 등의 생태환경적인 요소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도시 재생 연구는 건물, 산업, 문화 지표 등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향후에는 생태환경 적인 요소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녹지율과 오픈스페이스 비율에 대한 정의와 통계 데이터 부족 등으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 한 연구의 한계가 남으므로 이와 관련된 통계구축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유추된다.
        4,000원
        1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매력적인 정주여건을 조성하고, 도시의 활력을 증진시키고자 둘레길 및 보행환경을 적절히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종시에 조성된 도심둘레길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행환경 요소별 만족도 비교 및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행환경요소별 영향력을 도출하였는데 그 결과 세종시 도심둘레길에 대한 인식은 “잘 알고 있다”가 5.3%로 대다수 이용객들은 세종시의 도심둘레길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 채 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소요시간은 30분-1시간이 44.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심둘레길 내에서도 구간별 이용이 활발한 곳과 활발하지 못한 곳이 구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코스별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편의성 요인이 각 코스별 만족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안전성 요인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사 둘레길은 쾌적성 요인이 다른 두 코스보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장소성 요인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두 코스와는 다르게 상업지역 위주로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도심둘레길에 대한 보행환경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길의 상태, 시설만족도, 장소성, 길의 접근성, 특수 환경, 코스 외부요인, 안전성 총 7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1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공원은 도시민들의 삶의 활력소가 되어주는 주요 요소이다. 특히 도심공원은 시민들의 이용 시간이 가장 많은 여가 공간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대구 도심 근린공원의 인구분포 및 물리적 환경에 따른 이용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도심에 위치한 3개의 공원 이용자를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도심 근린공원의 조성 및 재정비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문헌 및 인터넷 데이터 조사결과에 따르면 각 공원 인근 행정 동별 노인 인구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상감영공원의 노인계층 인구는 2018년에 2012년보다 7.4% 증가하였다. 물리적 환경과 내⋅외부는 인터넷과 현장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공원 외부 토지이용 중 거주용지 비율은 낮은 반면 상업용지 비율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상감영공원 주변 500m 중심상업지역의 경우 94.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내부의 녹지공간은 전체 공원 용지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시설도 다양하였다.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원 내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18년 5월 16일과 5월 26일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공원 이용자 중 이용 빈도가 주 1회인 비율은 41.9%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절반이상은 낮에 이용을 하며 계절에 상관없이 산책, 휴식, 비활동적 놀이 등의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원을 찾는 사람은 동반자와 같이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인구분포 및 물리적 환경에 따른 이용 특성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도심 근린공원의 조성 및 재정비 시 고려해야 할 점은 도심 근린공원을 설계할 때는 주변 거주민을 중심으로 설계하지 않고 지역용도와 토지 이용 특성에 따라 설계해야 한다. 공원의 이용목적은 만남, 휴식으로 이용자에게 정자, 야외 평상 등을 설치하면 이용자를 더 편하게 교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산림, 하천, 자연 녹지 등 자연생태환경과 격리된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생태적 가치가 높은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로 다양한 입지 조건으로 조성되어 활용되고 있는 국립과천과학관(경기도 과천시 상하벌로 110일원) 일대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생태적 패치(patch) 입지별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사 구역 별 결과에서 곤충상은 Ⅰ구역에서 61과 135종, Ⅱ구역에서 31과 46종, Ⅲ구역에서 31과 42종, Ⅳ구역에서 13과 14종 등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조사구역의 군집 분석 결과, 다양성 지수 4.30, 종풍부도 22.74, 균등도 0.84 등으로 구분되었다. 조사 결과, 수환경과 키 작은 수목을 중심으로 하고 경작 및 원예가 재배되는 Ⅰ구역에서 종 조성이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소규모 생태적패치를 조성할 경우 수환경과 원예화원, 소규모 경작지 등이 분포할때 종 다양성이 높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양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1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강남 선정릉지역에서 전산유체역학모델(CFD)을 사용하여 도시지역의 흐름 및 열 환경 모의를 검증하는 것이고, CFD 모델의 모의결과와 선정릉 지역의 관측 자료와 비교하는 것이다. CFD 모델은 국립기상과학원과 서울대가 공동으로 연구 개발된 모델이다. CFD_NIMR_SNU 모델은 기상청 현업 모델인 국지예보모델(LDAPS)의 바람성분과 온도성분을 초기 및 경계조건으로 적용되었고 수목효과와 지표 온도를 고려하여 2015년 8월 4일에서 6일까지 강남 선정릉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정릉지역에서 수목효과 적용 전후의 풍속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제곱근 오차(RMSE)는 각각 1.06, 0.62 m s−1로 나타났고 수목효과 적용으로 풍속 모의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기온은 LDAPS 과소 모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CFD_NIMR_SNU 모델에 의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CFD_NIMR_SNU 모델을 이용하여 복잡한 도시지역의 흐름과 열 환경을 자세하고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며, 도시 환경 및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5.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vel of urbanization in China has reached 53.73% in 2013, indicating a tremendous progress on the urbanization of China.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villages in China reduces by around one million from 3.6 million in 2000 to 2.7 million in 2010 (Zhang, 2014). Issue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of China appear, including the imbalance between increased population and limited resources in urban region, and more significantly, the increasing disparity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Chinese researchers interpret and analyse these matter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For instance, Zheng (2006) and Ma (2006)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ublic service. Wu (2006) advise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Wen (2005) proposes that the improvement of social institution and the recovery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 are required to achieve sustainability in the urbanization process in China. Previous studie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put quality of life, attachment to place, and residence satisfaction at the cent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habitants and their neighborhood of residence. However, there are gaps in this research realm in both practice and theories. Firstly, very limited research studies this environmental psychology issue in China (e.g. Mao, Fornara, Manca, Bonnes, & Bonaiuto, 2015). Secondly,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the causal order between quality, attachment, and satisfac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PREQ),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has not reached a consensus. The debate on the direct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has been summarized by Bradya and Robertson (2001). They conclude that the quality to satisfaction causal order holds up well across diverse cultures. However, relevant debate is still ongoing. A number of research articles place satisfaction as an antecedent to attachment, e.g. Chen, Dwyer, and Firth (2014); Lee, Kyle, and Scott (2012); Ramkissoon and Mavondo (2015); etc. Some argue that place attachment is an indicator of satisfaction. Kyle et al. (2004)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ce attachment on the perceived values of tourists and find that place attachment is an important factor explaining the variance of perceived values. This is supported by research e.g. Hwang, Lee, and Chen (2005); Prayag and Ryan (2012); Yuksel, Yuksel, Biljm (2010); etc.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attachment, the debate has not stopped. Through comparisons, Mesch and Manor (1996) conclude that the residents who give a higher evaluation of the social and natural environment may have greater place attachment. Brown, Perkins, and Brown (2003) also suggest that the residents who agree that the street environment is better would attach to this place. Sam, Bayram, and Bilgel (2012) have cer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place attachment. Furthermore, Borrie and Roggenbuck (2001) and Walker and Ryan (2008) fi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environment would affect their affection toward the environment. It means that the closer the relationship with the nature environment is, the stronger the attachment would be, which in turn, enhances the intentions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is quality to satisfaction relationship is supported by other research such as Bonaiuto, Aiello, Perugini, Bonnes, and Ercolani (1999); Grisaffe and Nguyen (2011); Yu, Chen, and Chen (2015); etc. Nevertheless, a different opinion arguing that attachment to a place may affect one’s perception on the quality related to a place is emerging in tourism research (e.g. Neuvonen, Pouta, & Sievänen, 2010). This paper takes the credit of quality → attachment → satisfaction causal order as the initial model and proposes three hypotheses as follows. H1a: One’s PREQ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attachment to this place; H2a: One’s attachment to a plac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satisfaction to the environmental settings in this place; H3a: Place attachment in addition performs as a mediating role between PREQ and environment satisfaction.To be noted, the initial model has its theoretical basis as discussed above but is not necessarily the absolute optimal model. Relatively, this model provides more theoretical interpret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specific research context: residential psychology in urban and rural areas of China. On this basis, this article further examines a competing model illustrating an alternative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three constructs (satisfaction → attachment → quality). Relatively, another group of hypotheses in this competing model is listed as follows. H1b: One’s attachment to a plac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PREQ; H2b: One’s satisfaction to the environmental settings in this plac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her attachment to this place; H3b: Place attachment in addition performs as a mediating role betwee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PREQ. A survey approach is employed and data are collected from several backgrounds. Dataset A (rural) is collected from three villages from Heilongjiang Province and two villages from Shandong Province in China from July to August 2014. The choices of the provinces, rural areas, and the sampling process are random. 490 valid questionnaires are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Dataset B (urban) is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portal, which allows a nationwide sampling reach. In total 1368 online survey entries are recorded and 420 valid questionnaires are included, resulting in a valid rate of 30.7%. The measures for each construct are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is from Sam, Bayram, & Bilgel’s (2012) development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measurement of place attachment in this study is adopted from Kyle, Graefe, and Manning’s (2005) and Chen, Dwyer, and Firth’s (2014) evaluation based place attachment dimensionality and scales. As for the scale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Pelletier, Legault, and Tuson’s (1996) measure was applied. All the entire variables adopted multiple-item, 5-point Likert scales were adopted, where “1” indicated “strongly disagree” and “5” indicated “strongly agree”. After pre-testing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survey instrument, a revised version was developed. This study adop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s (PLS) modeling given the small sample size and the explorative purpose of this study (Dijkstra & Henseler, 2015a). The software used was Smart PLS 3.0.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structs were assessed. Cronbach’s alpha and the value of CR of each construct were found to exceed the cut-off value of 0.70 (Fornell & Larcker, 1981), except for adequacy of education which is close to 0.70 (only for Cronbach’s alpha but not for CR). Furthermore, the AVE of each construct exceeded the variance attributable to its measurement error cut-off value of 0.50 (Chin, 1998; Fornell & Larcker, 1981). In addition, heterotrait-monotrait ratio (HTMT) is recommended as a better method to test discriminant validity (Henseler, Dijkstra, Sarstedt, Ringle, Diamantopoulos, Straub, Ketchen, Hair, Hult, & Calantone, 2014).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either value of the HTMT higher than the threshold of 0.85 nor confidence interval containing the value one, indicating that all the constructs exhibit satisfactory discriminant validity. The hypothesized effects in the theoretical model were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first group of models tested the effect of perceived environmental quality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rough place attachment i.e. initial model (Model A, Model B, Model C), while the second group of models tested the reverse effect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on perceived environmental quality through place attachment (Model D, Model E, Model F). Both the full model and the multi-group model were tested. The value of SRMR of the full model that tests either the effect of perceived environmental quality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SRMR = 0.104, t = 41.826, p < 0.001) or the reversed effect (SRMR = 0.106, t = 37.736, p < 0.001) shows that the models fit the data quite well (Dijkstra & Henseler, 2015b). However, the former is little bit more significant. In this study, PREQI is found different impacts on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is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a similar mechanism of studying residents’ psychology with SERVEQUAL model. However, the model testing i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ural and urban samples, indicating a systematic difference in the psychology of rural and urban populations. Quality  attachment  satisfaction causal order is found significant and supported by both samples in this study. However, a reversed causal order model (satisfaction  attachment  quality) is also supported by the samples. Although the results may not be able to end the debate on alternative models between PREQ,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rom a specific context (urban and rural China) for further research. Specifically, PREQ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lace attachment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in China. As for the impact of place attachment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s well as the indirect impact of PREQ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influence is more significant in cities of China compared to rural areas. This suggests in the urban areas in China, affective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eir lives play an important role to residents. Local government in cities should balance between improving and maintaining quality of the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local residents’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place. Governments in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should lay great focus on the physical aspects of the environment including nature, health, education, commerce, and venture of the rural areas, to enhance residents’ living experience and satisfaction. Furth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Although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framework of “perception-affection-attitude” in the field of environment management, consider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e future study could bring the individuals’ behaviors or intentions into this model such as willingness-to-pay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t will also benefit from reviewing more literature on community-based social marketing.
        4,000원
        16.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 하수는 미량오염물질의 수환경 배출 주요 점오염원이며 인구증가 및 도시화로 향후 도시인근 수자원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규제측면에서는 그 위해성이 명확하고 대표성이 있으며 현실적 제거 목표 달성이 가능한 오염물질에 대하여 수질기준정립이 예상된다. 하수 유출수에서 미량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산화 (오존, UV/H2O2), 흡착 (분말활성탄), 막분리 (NF, RO)) 세가지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본 발표에서는 위와 같이 도시 수환경 미량오염물질 이슈와 초고도 하수 처리공정에 대해 살펴보겠다.
        1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구 과밀화, 대기오염, 녹지의 감소, 에너지의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도시열섬현상이나 여름철 기온상승을 야기한다.본 연구는 여름철 도시내 자연요소에 의한 기온저감효과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로킹블럭 포장, 점토벽돌포장, 화강석 포장, 회양목 식재, 잔디밭, 연못 등과 같은 지표면 피복재별 복사열을 분석하였으며 중앙분리대 녹음수 식재의온도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지표면 피복재의 복사열은 수면, 잔디밭, ILB 포장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잔디밭에 비하여 녹음수 아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낮았다. 점토벽돌, 화강석 판석, 회양목 식재지를 비교하면 복사열은 회양목 식재지, 점토벽돌, 화강석 포장지 순으로 낮게나타났다. 중앙분리대 녹음수 아래의 기온이 보도, 횡단보도 중앙부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도시온도 저감을 위해서는 평면적 구성에서 수공간과 잔디밭의 확보가 바람직하고 대규모 위주의 입체적 식재가 요구되며또한 포장재의 신중한 고려 및 가로수, 중앙분리대 식재 등 도로상에 대형목 식재의 도입을 검토해야 할것이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