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Office workers experience neck or back pain due to poor posture, such as flexed head and forward head posture, during long-term sedentary work. Posture correction is used to reduce pain caused by poor posture and ensures proper alignment of the body. Several assistiv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assist in maintaining an ideal posture;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practical use due to vast size, unproven long-term effects or inconsistency of maintaining posture alignment. We developed a headphone and necklace posture correction system (HANPCS) for posture correction using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sensor that provides visual or auditory feedback. Objects: To demonstr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neck and upper trunk flexion measurements using a HANPCS, compared with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3DMAS). Methods: Twenty-nine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HANPCS was applied to each participant. The angle for each action was measured simultaneously using the HANPCS and 3DM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 [3,3]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Results: The angular measurements of the HANPCS for neck and upper trunk flexions showed high intra- (ICC = 0.954–0.971) and inter-day (ICC = 0.865–0.937) values,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values (1.05°–2.04°), and minimal detectable change (MDC) values (2.92°–5.65°). Also, the angular measurements between the HANPCS and 3DMAS had excellent ICC values (> 0.90) for all sessions, which indicates high concurrent validity.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s that the HANPCS is as accurate in measuring angle as the gold standard, 3DMAS. Therefore, the HANPCS is reliable and valid because of its angular measure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4,000원
        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While the formal test has been used to provide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ore stability, studies have reported inconsistent results regarding its test-retest and intraobserver reliabilities. Furthermore, the validity of the formal test has never been established. Object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concurrent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formal test. Methods: Twenty-two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core instability (23.1 ± 2.0 years) were recruited. Concurrent validity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uscle thickness changes of the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al muscle to changes in core stability pressure during the formal test using ultrasound (US) imaging and pressure biofeedback, respectively. F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muscle thickness and pressure changes were repeatedly measured approximately 24 hours apart.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onitor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the formal test. Results: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n excellent correlation between transverse abdominal thickness and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pressure as well as internal oblique thickness and PBU pressure, ranging from r = 0.856–0.980, p < 0.05.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goo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1,2) = 0.876 for the core stability pressure measure and ICC1,2 = 0.939 to 0.989 for the abdominal muscle thickness measure. Conclusion: Our results provide clinical evidence that the formal test is valid and reliable, when concurrently incorporated into EMG and US measurements.
        4,000원
        4.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교질문 검사의 논리적 가정은 유죄인 조사대상자는 비교질문보다 관련질문에 주의를 더 기울이고 무죄인 조사대상자는 관련질문보다 비교질문에 주의를 더 기울인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비교질문검사의 논리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참여자에게 모의 범죄를 수행하도록 한 후 유죄조건과 무죄조건에서 비교질문검사를 실시하면서 뇌 반응을 측정하였다. 뇌 영상을 촬영한 후에는 관련질문과 비교질문에 ‘아니오’라고 응답하는 것이 얼마나 심리적으로 부담되는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행동 반응 결과, 유죄조건에서 비교질문보다 관련질문에 ‘아니오’라고 응답하는 것이 더 부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죄조건에서는 두 질문 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뇌 반응 결과, 유죄조건에서는 비교질문에 비해 관련질문이 제시되었을 때 우측 상측두회와 우측 하전두회에서 더 큰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무죄조건 분석 결과 질문유형에 따른 뇌 영역 활성화 차이는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죄조건과 무죄조건에 대한 비교질문검사의 논리적 가정을 논의하였다.
        4,300원
        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실행기능을 일상적인 과제수행에 기반 하여 평가하는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의 내용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연구방법 :뇌졸중 분야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29명을 대상으로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에 대한 내용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수정된 과제 적합성을 조사하였고 수정된 과제별 세부항목 적합성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응답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도 산출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 하였다.결과 :내용타당도는 각 과제에 따른 평균 CVI가 .67로 나타나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과제에 따라 내용타당도 지수는 .58~.75로 조금씩 상이하게 나타났다. 임상적 유용성은 각 문항의 산술평균 분 포가 2.69~4.03이었으며 ‘보통이다’ 이상의 응답이 44.8~100.0%로 나타나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 Korean translation)는 실행기능을 보다 면밀히 평가하고 필요한 도움의 유형을 밝히는데 유용한 도구 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문가 집단을 통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임상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며 관련 교육 및 연구가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200원
        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기도흡인을 예측할 수 있는 연하기능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연구방법: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연하기능 검사, 비디오투시검사, 침습-흡인 척도,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를 통해 흡인에 대한 연하기능 검사의 분류기준점(cut-off score)에 따른 Area Under the Curve (AUC), 민감도,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하기능 검사를 통해 흡인에 대한 양성과 음성예측도를 분석하였고, 연하기능 검사의 항목별 AUC를 분석하였다. 또한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연하기능 검사와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 및 침습-흡인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연하기능 검사를 통한 흡인의 AUC는 .94로 판별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흡인에 대한 연하기능 검사의 분류기준점은 36점으로 이에 따른 민감도는 94.3%, 특이도는 90.9%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하기능 검사의 흡인에 대한 음성예측도는 96.2%, 양성예측도는 86.8%로 분석되었고, 연하기능 검사에서 흡인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항목으로는 수의적 기침, 후두거상, 삼킴 전/동안/후 기침, 목소리 변화, 목 가다듬기 항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하기능 검사는 임상 연하척도인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 및 침습-흡인 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연하기능 검사는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에서 연하기능 검사의 적용을 통해 흡인의 예측과 임상적 중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4,200원
        7.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선천성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경상운동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선천성 뇌성마비 편마비 환자로 진단 받은 72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경상운동 검사들의 항목과 점수체계를 재구성하여 경상운동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된 자료는 Winstep 3.80 version을 사용하여 라쉬분석을 통해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도, 항목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였다.결과:72명의 뇌성마비 환자 중에 환측에서는 3명, 건측에서는 2명의 환자가 부적합 환자로 나타났다. 각각의 부적합한 대상자를 제외한 69명과 70명의 환자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양측 모두에서 발가락을 사용하여 구슬 잡기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항목의 난이도에 대한 분석 결과, 비교적 난이도가 높은 항목은 엄지와 다른 손가락 맞섬하기, 주먹 쥐고 펴기 항목이었으며, 난이도가 낮은 항목은 팔꿈치 굴곡하기, 저항을 이기며 어깨 외전하기 항목으로 나타났다. 평정척도 분석 결과, 4점 척도가 적합한 범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자와 항목의 분리신뢰도는 .90이상의 우수한 값으로 분석되었다.결론: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경상운동 검사가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4,500원
        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람에 의한 초고층 건축물의 거동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구조체에 대한 풍하중의 설계는 매우 어렵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풍하중 산출방법은 풍동실험에 의존하고 있으며, 1차 탄성거동을 전제로 행해지고 있다. 가장 불리한 조건인 1차 모드로 가정하는 것은 다소 과대설계가 되어 안전하지만,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초고층 건축물에 작용하는 풍하중은 다차 모드 해석에 의해 산출하는 것이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라 판단된다. 다차 모드를 고려한 풍하중의 산정은 풍압적분법(Pressure Integral Method)을 응용하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풍압적분법(Pressure Integral Method)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며, 공력진동실험에 의한 풍응답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4,000원
        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 선별 도구로 사용되는 시계그리기 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와 동시 및 구성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54명을 대상으로 시계그리기 검사와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K)를 사용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자료는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시계그리기 검사간의 상관관계, 검사자간 신뢰도, 시계그리기 검사와 MMSE-K의 점수를 비교한 동시타당도, MMSE-K 23점을 기준으로 시계그리기 검사의 구성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클라이언트의 시계그리기 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 점수가 낮아졌으며, 교육 기간이 증가할수록 점수가 높아졌으나 상관관계는 낮았다. 시계그리기 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ICC=2,1)는 자유선 그리기, 시계바늘 그리기, 원그리기의 세 조건에서 모두 .75이상을 보였다(p<.01). 동시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MMSE-K와 시계 그리기 검사의 세 조건의 상관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1). 결론 : 시계그리기 검사는 검사자간 신뢰도가 우수하며 동시타당도와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으므로, 작업치료 등 재활관련 임상 분야에서 MMSE-K와 함께 노인의 인지 기능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0.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assive lumbar extension (PLE) test and prone instability test (PIT). Thirty-three subjects (14 males, 19 females) with lower back pain enrolled in the study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positive and negative instability groups) on the basis of radiographies of flexion and extension. Reliability was determined by the kappa coefficient and validity was examined using calculat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the likelihood rati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LE test was higher than the PIT (intra-rater reliability: k=.86 and k=.81, interrater reliability: k=.65 and k=.62) and the validity of the PLE test was also higher than the PIT (sensitivity: 91% and 62%, specificity: 95% and 85% positive likelihood ratio: 20.00 and 4.10, negative likelihood ratio: .10 and .45).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LE test was a more reliable and valid method for lumbar instability than the PIT.
        4,000원
        11.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lance is a complex motor skill that depends on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sensorimotor processes and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ontexts. Many rehabilitation specialists believe that balance assessment under multitask conditions may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balance problems and falls than balance assessment in a single-task context. Functional Gait Assessment has many tasks that allow for testing under multitask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 Go" Test (TUG) in patients with stroke. One hundred and five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months post 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6 m with or without a mono ca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GA, BBS, and TUG was assessed using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The FGA correlated with the BBS (r=.80, p<.01) and TUG (r=-.77, p<.01). The good and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FGA, BBS, and TUG establishe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FGA in patients with stroke. These measures provide clinicians with valu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functional balance capabilities.
        4,000원
        1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한국에서는 거짓말탐지검사의 채점과정에서 '일관성'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거짓말탐지검사 기법의 채점 기준 중 '일관성' 기준의 실증적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거짓말탐지검사의 채점과정에서 '일관성'을 실제로 고려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한 후 '일관성'을 고려하여 채점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서 거짓말탐지검사 결과의신뢰도(Cronbach' α)와 정확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일관성'을 고려하여 채점 한 원채점자료와 '일관성'을 고려할 수 없도록 가공하여 채점한 실험채점자료를 분석하였다. 원채점자료와 실험채점자료는 동일한 검사관들이 채점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현재 한국에서는 거짓말탐지검사의 채점과정에서 '일관성'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신뢰도는 원채점자료가 .93, 실험채점자료가 .91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정확성은 검찰의 기소 여부와 거짓말탐지검사 점수에 의한 판정을 지표로 사용한 잠재계층분석(N=182)의 결과를 실제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했을 때 원채점자료에서 76.9%, 실험채점자료에서 61.5%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원인과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관성' 기준이 거짓말탐지검사 채점에서 갖는 유용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4,000원
        13.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stablish high school male students’ criterionreferenced standards for the Youth Physical Fitness Awards Program in order to suggest standard physical strength levels to be achieved by high school male students in the events
        6,300원
        14.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Hemiplegic Motor Behavior Test(HMBT)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3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Hemiplegic Motor Behavior Tests(HMBT)가 임상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을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준관련 타당도 분석을 이용하여 일상생활동작 수행 정도(Modified Barthel Index: MBI), 기능적 독립 수준(Modified Rankin Scale: MRS)과 상지기능 수행 평가 도구인 Brunnstrom Stage Scale(BSS), Hand Movement Scale(HMS), 자세조절(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MP/CP), 체간 조절(Trunk Control Test: TCT)과의 피어슨(Pearson correlation)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HMBT의 측정자내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와 측정자간 신뢰도(Intra-rater reliability)를 알아보기 위하여 Kappa계수와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를 구하였으며, HMBT항목들의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HMBT의 U/E, H/F에 대한 측정자내 신뢰도는 각각 Kappa=.960~.950, ICC=.995~.994이었으며, 측정자간 신뢰도는 Kappa=.959~.918, ICC=.990~.986으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일치도는 Cronbach's alpha=.931로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HMBT는 MBI(r=.64~.66), MRS(r=-.63~.71), HMS(r=.82), BSS-Arm/Hand(r=.81~.82)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PASS-MP/CP(r=.42~.52), TCT(r=.55~.64)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HMBT는 MBI, HMS, BSS, PASS-MP/CP, TCT, MRS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 및 내적 일치도를 보여 뇌졸중 환자의 실제적인 임상 평가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4,200원
        15.
        200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6.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7.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Wolf Motor Function Test는 상지와 손기능 검사를 위해서 개발된 도구이며 국외에서는 이미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가 이루어져 널리 쓰이고 있고 이러한 WMFT를 한글화하여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상지 및 손기능 장애의 평가와 재활의 기초선을 마련코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 발병 6개월 이상된 성인 편마비 환자로 평균 연령 54.45세의 남자 12명, 여자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으며 이들은 기능성 정신질환이나 기질성 정신질환이 없는 환자이며 오른쪽 마비12명, 왼쪽 마비 8명으로 모든 환자의 우세손은 우측이었다. 본 검사를 위해 1명의 작업치료사와 1명의 재활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번역 작업이 완성 되었으며 3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가진 1명의 작업치료사에 의해 밝고 조용한 평가실에서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이미 신뢰성 및 타당도가 입증된 Fugl-Meyer Assessment(FMA)를 이용하였으며 WMFT를 이용해 수행시간과 기능 점수를 평가하였다. 결과 : 한글판 WMFT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FMA와 비교한 결과 수행시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80, 기능적 점수와의 상관계수는 0.94로 둘 다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한글판 WMFT의 Cronbach’s alpha 계수는 수행시간에서 0.92, 기능적 점수에서 0.96으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글판 WMFT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국내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의 효과를 알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치료의 효과 측정과 더불어 상지와 손기능 장애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4,300원
        18.
        199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19.
        199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20.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TOPS의 개선 버전인 스포츠 수행전략 2(TOPS 2)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번역 문항을 개발하고, TOPS 2 한국판의 타당도과 신뢰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TOPS 2는 시합 환경에서 9개의 심리 전략(혼잣말, 감정조절, 자동적 수행, 목표설정, 심상, 활성화, 긴장풀기, 부정적 생각, 주의산만)을 평가하도록 구성되었다. 이 척도에는 주의산만이 새로운 하위요인으로 추가되었다. 스포츠 심리학과 이중 언어 전문가들이 총 9요인 36개의 시합상황 문항을 영어에서 한국어로 번역해 원본 문항과 비교했다. 또한 총 50명의 대학 운동선수들이 번역된 문항의 의미와 명확성을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했다. 한국판 TOPS 2의 구조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후속분석으로 내적동기(IMI)와 스포츠 불안(SAS)과의 상관분석과 주전여부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28개 문항의 8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본 TOPS 2의 자동적 수행과 활성화 요인의 일부 문항이 단일 요인으로 합쳐져 예비 한국판 TOPS 2는 8개 요인이 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한국판 TOPS 2의 8요인 구조를 지지했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으로 이 버전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였다. 신뢰도 분석 또한 안정성과 내적 일관성에 대한 적절한 증거를 보여 주었다. 결론: TOPS 2의 한국어 버전은 이전 TOPS 버전보다 개선되었을 뿐 아니라 심리 기술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