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

        63.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utan Cortex Radicis extracts and paeonol, a major component, on rabbit platelet aggregation and thromboxane (TX) B₂ formation. Moutan Cortex Radicis methanol and butanol layers (100 μg/mL) showed the weak inhibitions, and water layer (100 μg/ mL) had no effect on the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hereas, hexane and EtOAc layers potently inhibited the collagen (3 μg/mL)-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ith the IC_(50) values of 10.9±1.0 and 31.5±0.8 μg/mL, respectively. Paeonol isolated from the hexane-acetone layer specifically inhibited the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ith the IC_(50) value of 113.1 ± 0.9 μM, whereas it had little effects on the other agonists such as AA-, thrombin-, A23187- and thapsigarg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s. Paeonol also potently inhibited the collagen-induced TXB₂ formation in rabbit platele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eonol may inhibit rabbit platelet aggregation by interfering with an essential step in collagen-induced platelet activation and TXA₂ formation. Paeonol may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an antiplatelet agent.
        3,000원
        6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지역의 단감원에서 2000­2001년에 수은유아등과 2001년에 갈색날개노린재의 집합페로몬(methyl (E, E, Z)-2, 4, 6-decatrienoate)) 트랩을 이용하여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유아등 조사결과 썩덩나무노린재는 6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 상ㆍ중순이 최성기이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썩덩나무노린재와는 달리 유살 최성기가 뚜렷하지 않았는데, 主 유인시기는 2개년 모두 7월 중순­8월 하순이었다. 두 종 모두 9월 이후에는 거의 유살되지 않았다.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유살 양상은 유아등에 의한 유살양상과 달랐다. 집합페로몬 트랩조사 결과, 두 종 모두 5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꾸준히 유인되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유인수가 적어 주 발생시기가 뚜렷하지 않았고, 갈색날개노린재는 지역에 따라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 사이에 많이 유살되었다. 갈색날개노린재는 수은유아등 보다는 집합페로몬 트랩에, 썩덩나무노린재는 수은유아등에 더 많이 유인되었다. 또한 집합페로몬 트랩에는 두 종 모두 수컷보다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두 종류의 트랩에 의한 유살소장 차이의 원인을 탄닌함량과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4,000원
        67.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lor stability and purity from OLED is of current interest. Aggregation of dyes alters the device color after fabrication of the devices. Exciplex and electroplex formations have been proposed to explain the aggregate color change.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xciplex formation and propose the new electroplex state that can cause the bathochromic shift of the electroluminescence spectrum from the devices with TPD/PBD layers. The photoluminescence maximum of the device was 420nm, and the electroluminescence maximum of the device to became 480nm. The bathochromic shift cannot be attained with photoluminescence study with highly concentrated TPD/PBD mixture.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480nm spectrum of the devices is not resulted from the exciplex formation with TPD and PBD. We observed the overshoot in EL spectrum from the OLEDs. The most intense overshoot was observed at 460nm, which may be due to the aggregates that are formed after the electric field has been removed from the devices.
        4,000원
        7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telets serve many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a major role in the haemostatic process. But platelets also play a crucial role in the formation of arterial thrombosis, arteriosclerosis and other pathologic processes. Thu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o develop new antiplatelet agents from foods and plants for decades. In this study, inhibitory effects of the oriental onion (Allium fistulosum) on platelet aggreg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platelet rich plasma (PRP). Water extracts of oriental onion was separated into two fractions (Fraction I and Fraction II by Sephadex G-150 column. Platelet aggregations were inhibited by total water extracts as well as Fraction I and II. IC_(50) value of Fraction I was much lower than that of Fraction II. Inhibitory effects of total water extracts of oriental onion on ATP release by PRP were also observed.
        3,000원
        72.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ggregation rate of isolated mouse 2-, 4- and 8-cell stage blastomeres in phytohemagglutinin(PHA) solution. The morphologically normal embryos were collected from the oviduct of superovulated female mouse by flushing with M2 and the zona pellucida of embryos were removed with 0.5% pronase. The blastomeres were isolated by pipetting after plunging into Ca++-Mg++free PBS for 20 min. The result showed that aggregation rate in 0.5% (84.9~93.1%) was higher than that in 1.0% PHA(76.0~82.1%). Optimal aggregation time was 60min (83.9~100.0%) when compared with 30min (78.8~87.5%). Developmental to blastocyst in recombinated blastomeres was higher under conditions of 0.5% PHA solution and 60-min aggregation than that under other conditions.
        4,000원
        73.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일정한 발달단계(發達段階)에 있는 생쥐배(胚)를 응집시킬때 세포응집소인 Phytohemagglutinin-P(PHA-P)를 첨가 라화배(裸化胚)의 응집율과 응집된 배(胚)를 in vitro에서 배양하였을때의 배양율 및 적당한 PHA-P의 첨가농도를 조사하여 Chimera배(胚)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을 얻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Albino BALB/C와 CBA계통 및 C57BL 계통의 생쥐에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와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를 투여하여 과배란 생쥐에 PMSG와 hC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기, 회수된 생쥐의 4세포기, 8세포기 및 상실배기 수정란을 1.0% Protease 용액으로 투명대를 제거(除去)하고 PHA-P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미세한 초자봉(硝子棒)으로 계통(系統)이 다른 두 계통(系統)의 생쥐의 배(胚)를 응집시킨 다음 응집된 배를 , 5% , 95% Air의 배양기 조건하에서 13~50 시간 배양하면서 Chimera배(胚)의 발달상태를 조사하였다. 본(本)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0% Protease 또는 1.0% Protease 및 PHA-P가 첨가된 산성 Tyrode액에서 투명대를 제거한 라화배(裸化胚)를 배반포까지 배양했을때 유의차는 없었으나 4세포기배와 8세포기배 보다 상실기배가 더 잘 발달되었으며 또한 PHA-P를 첨가하였을때가 첨가하지 아니한 때 보다 다소 좋은 경향을 보였다. 2. PHA-P 첨가시 4세포기, 8세포기 및 상실기배의 응집율은40.0~82.0%, 첨가시에는 52.0~94.0%, 첨가시에는 48.0~96.0%로 배(胚)의 발달단계(發達段階)에 따라서는 4세포기, 8세포기가 상실배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5). PHA-P의 처리수준에 의한 응집율에 있어서는 5 또는 첨가구가 첨가구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3. 응집배의 상실배까지의 배양율은 PHA-P의 각(各) 수준간 및 각(各) 세포기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응집배의 배반포까지의 배양율은 PHA-P 수준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4세포기와 8세포기의 배(胚)는 상실기 배(胚)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배양율을 보였다 (P<.05). 4. 응집된 배(胚)가 배반포까지 발달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은 4세포기배가 38.5~40시간, 8세포기배가 26~27시간, 상실기배가 19~20시간이었다. 5. 응집율은 34.0~94.0%의 범위로서 PHA-P를 첨가할때 응집율이 더 좋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세포기와 8세포기의 배(胚)가 상실기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5). 6. 응집배의 상실배까지의 발달율은 4세포기배가 52.7~84.7%, 8세포기배가 73.8~872% 였으며 세포기 사이에는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HA-P를 첨가한 것이 발달이 더 좋았다. 7. 응집배의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4세포기의 배(胚)가 41.7~77.7%, 8세포기의 배(胚)는 78.7~83.0% 상실기배가 0~19.2%였으며 4세포기의 PHA-P 처리가 미처리(未處理)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5). PHA-P를 처리했을 때 4세포기와 8세포기가 상실기의 배(胚) 보다 더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
        4,800원
        75.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3년부터 1976년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포장에서 수집된 성적(成績)을 분석(分析), 이화명나방유충(幼蟲)의 공간분포특성(空間分布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유충(幼蟲)의 공간분포(空間分布)는 세대(世代)에 차이(差異)없이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를 따르고 있었다. 집중계수(集中係數)(Green's coefficient of dirpersion)를 지표로 하였을때 유충(幼蟲)의 집중도(集中度)는 초기고집중기(初期高集中期), 과도기(過渡期), 저집중안정기(低集中安定期)의 3 단계로 진전됨이 판명되었으며 이중 과도기(過渡期)를 제외(除外)한 각(各)단계는 각세대(各世代)에서 공통(共通) 'k'에 의해 집중도(集中度)를 정의할 수 있었다. 집중도(集中度)의 단계적 변화의 원인(原因)으로 유충(幼蟲)의 주간이동(株間移動)이 판명(判明)되었으며 제1세대에서 3령유충(齡幼蟲) 제2세대에서 5령유충(齡幼蟲)이 분산(分散)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충집중도(幼蟲集中度)에 있어서의 이러한 특징(特徵)은 제2세대에서 뚜렷하였으며 제1세대의 경우 해(년(年))에 따른 변이폭이 컸다. 이는 제1세대 유충(幼蟲)의 생명계(生命系)(Life system)가 제2세대의 그것에 비해 외적(外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의 변이에 따라 크게 영향받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Day-Degree 개념에 따른 환경변이의 수렴이 검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000원
        77.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urance and economic growth at aggregate and disaggregate level for the period 1982-2018. Very few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is field, with contradictory results and using an aggregate data while, according to different authors, an aggregate data might provide spurious results. The author used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s (OLS) and Granger Causality tests to explore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urance and economic growth at an aggregate level. To check the relationship at disaggregate level life insurance, marine insurance, and property insurance are regressed on trade openness and investment, respectively. Non-life insurance at an aggregate level play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economic growth, but life insurance has an insignificant impact on the Pakistan economy. On the other hand, non-life insurances at a disaggregated level such as marine insurance negatively affect a vital part of economic growth, i.e., trade. At the same time, property insuranc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ole in boosting investment. Life, marine, and property insurance Granger cause economic growth, trade, and investment in a single direction. Nevertheless, is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non-life insurance.
        7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텀애쉬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고 그 부산물로 발생되는 것으로, 현재까지 대부분 발전소 부지 내에 매립되어 왔다. 화력발전소에서 바텀애쉬 매립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발전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바텀애쉬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져 왔다. 그러나 바텀애쉬는 흡수율이 높고, 입도가 불규칙하여 골재로써 강도 발현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텀애쉬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사용할 수 있는 혼화제(무기경화제)를 개발하여 그 가능성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79.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조양하 유역의 유출응집구조와 에너지소비 양상을 멱함수 법칙분포의틀 내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IS를 기반 으로 대상유역 내 지점별 배수면적과 함께 소류력 및 수류력을 정의하는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고 해당 인자들의 여누가 분포에 대한 도해적 해석과 함께 멱함수 법칙분포의 적합을 수행하였다. 주요한 결과로서 세 가지 지형학적 인자들의 여누가 분포는 세 개의 개별적인 거동특성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멱함수 법칙분포 확률밀도함수의 매개변수를 최우도법을 이용하여 추정해 본 결과 배수면적과 수류력은 대표적인 규모를 유한 하게 결정할 수 없는 규모 불변성 지형인자이지만 소류력은 유한한 규모를 갖는 규모 종속성 지형학적 인자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소류력의 경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복잡계 거동을 보여 멱함수 법칙분포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우도법을 적용하여 추정한 배수면적의 멱함수 법칙분포 지수는 선행연구에 비하여 큰 수치로서 해당 지수의 추정에 사용된 방법론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류력의 멱함수 법칙분포 지수는 선행연구에 비하여 다소 작은 수치로서 대상유역의 규모에 따른 수로경사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8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human abdominal adipose derived-stem cells (ADSCs) could aggregate during the high-density culture in the presence of human serum (HS).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that human cord blood serum (CBS) and follicular fluid (HFF) also induced aggregation. Similarly, porcine serum could induce aggregation whereas bovine and sheep sera induced little aggregation. qRT-PCR analyses demonstrated that, compared to FBS-cultured ADSCs, HScultured cells exhibited higher level of mRNA expression of CLDN3, -6, -7, -15, and -16 genes among the tight junction proteins. ADSCs examined at the time of aggregation by culture with HS, BSA, HFF, CBS, or porcine seru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mRNA expression of JAM2 among JAM family members. In contrast, cells cultured in FBS, bovine serum or sheep serum, showed lower level of JAM2 expression. Immunocytochemical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aggregates of HS-cultured cells (HS-Agg) showed intense staining against the anti-JAM2 antibody whereas neither nonaggregated cells (HS-Ex) nor FBS-cultured cells exhibited weak staining. Western blot results showed that HS-Agg expressed JAM2 protein more prominently than HS-Ex and FBS-cultured cells, both of latter reveled weaker intens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ggregation property of ADSCs during high-density culture would be dependent on the specific components of serum, and that JAM2 molecule could play a role in the animal sera-induced aggregation in vitro.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