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Cattle sperm frozen-thawed with L-cysteine and/or catalase. The semen from bulls was collected by the artificial vagina method, and Triladyl containing 20% egg-yolk and/or L-cysteine (L), catalase (C) and L-cysteine + catalase was added to the diluted semen for cryopreser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perm vi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ysteine + catalase (69.49 ± 3.16%) group than in the control (60.5 ± 3.94%) group (p<0.05). Acrosome dam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cysteine (17.12 ± 1.08%) group than in the control (21.46 ± 1.14%), catalase (20.54 ± 0.76%), and L-cysteine + catalase (19.29 ± 0.65%) groups (p<0.05). In addition, the level of intact mitochondria in the spermatozo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ysteine (58.65 ± 1.39%) group than in the control (50.63 ± 2.37%) group (p<0.05). The hydrogen peroxide level in the frozen-thawed sperm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L-cysteine (3.74 ± 1.66%), catalase (4.65 ± 1.87%), and L-cysteine + catalase (8.11 ± 2.15%) groups than in the control (13.22 ± 1.6%) group (p<0.05). The glutathion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cysteine (1.33 ± 0.03%) group than in the control (1.08 ± 0.06 %), catalase (1.05 ± 0.02%) and L-cysteine + catalase (1.11 ± 0.03%) groups (p<0.05). In conclusion, L-cysteine and catalase could protect the membrane of Korean Native Cattle sperm from damage during sperm cryopreservation. Especially, L-cysteine was more effective for keeping acrosomes and mitochondria intactness during sperm cryopreservation.
        4,0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OH extract obtained from Hovenia dulcis Thunberg on enzymes relating reactive oxygen intermediate, cancer-stricken animals induced by DEN (N, N diethylnitrosamine) were recovered by administering the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erg. It showed that there was no effect on the generation of superoxide radical by the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erg. However,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he activity of Cu, Zn-SOD and Mn-SOD in the tested animal class, the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erg could participate directly in removing of superoxides. The experimented-animals treated with the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erg showed an in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enzymes,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hich can eliminate hydrogen peroxide pertained in liver tissue. The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erg seemed to have some factors that accelerate the oxidation. Also, the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erg showed effects on the enzymes relating to the active oxygen toxicity which could be an indicator of aging and body toxicity.
        4,000원
        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C는 GSH의 전구물질로, thiol기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으며, 방사선 조사 시 발생하는 생체 내 영향을 감소시켜 생체 손상의 방호 및 회복에 도움을 주는 방사선 방어제로 이용된다. S. cerevisiae에서 항산화제 NAC를 전처리 함에 따라 이온화 방사선 조사에 따른 효모의 세포사멸 방어효과 및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Px)와 같은
        4,000원
        4.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 cubes with high catalase activity were synthesized by reduction of freshly prepared Cu in distilled water at and their catalase activities of were studie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bservation showed that most of these nanocubes were uniform in size, with the average edge length of 30 nm.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of TEM revealed that the nanocube consisted of single crystalline , but it changed to CuO phase. The catalase activity depends on the amount of both cuprite phase and surface area.
        4,000원
        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clonal cell lines을 효율적으로 확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배양액 내에 catalase와 ME 첨가가 clonal cell line 확립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임신 50일령의 암퇘지에서 얻은 태아섬유아세포를 2회 passage한 후 동결 보관하였다가 실험에 이용하였다. 단일세포를 catalase나 ME가 첨가된 배양액이 들어 있는 96-well dish로 옮겨 배양하였다. 단층이 형성된 세포는 4-we
        4,000원
        6.
        200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Catalase 첨가 및 저분압산소조건 하에서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0.9mM cy-steine이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1s/m1 첨가하여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평가요소에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수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P>0.05). 2.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7일 동안 배양한 결과,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성숙시 CAT 첨가배양은 배발달에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다(P>0.05).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ts/m1을 첨가하고 5 및 20% 산소농도하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한 결과,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CAT 첨가에 따른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을 이용하여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때, NCSU-23 배양액에 catalase의 첨가 및 산소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7.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talase(CAT)는 주요한 활성산소(ROS)의 일종인 과산화수소()가 Hydroxyl 유리기 생성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를 및 로 대사시켜 주는 효소계 항산화제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AT가 5% 및 20% 조건하에서 1-세포기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란을 10% PFF, 0.1mg/ml cysteine, 10IU/m1 PMSG, 10IU/m1 hCG 및 10ng/m1 EGF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서 22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고, 성선자극호르몬이 배제된 배양액에서 추가로 22시간을 배양하여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체외성숙이 유기된 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2.5mM caffeine과 0.1% BSA가 첨가된 mTBM 배양액에 정자를 1.25 cells/ml의 농도로 5-6시 동안 공동배양을 실시하여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수정후 1-세포기의 수정란을 0.4mg/ml BSA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1,000uni1 첨가하여 30 embryos/ 50u1 소적으로하여 38.8, 5% 및 5%, 5% 90% 조건하의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 6.03 Packag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배양 48시간에 난할률을 조사하였을 때,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에 있어서는 각각 22.72.7, 22.13.9, 18.74.9, 및 15.12.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산소농도에 따른 배반포형성률은 5% 조건(22.12.4%)이 20% 조건(17.2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각각 44.44.0, 43.336, 25.42.4 및 13.41.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세포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을 배양할 때, CAT의 첨가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9.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묵은 배추와 무 종자에 저선량 γ선을 조사하여 종자발아율과 발아유식물의 효소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 저선량 조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발아초기단계에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배추는 2 Gy와 8 Gy조사구에서 4-ll % 정도, 무는 2 Gy, 6 Gy, 10 Gy 조사구에서 25-41% 정도 증가하였다. 저선량 γ선이 조사된 배추와 무의 유묘초장도 저선량 조사구에서 증가하였는데 특
        4,000원
        15.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앵자 추출물이 과산화지 질을 급여한 횐 쥐의 혈장 및 간장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량은 과산화지질 첨가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증가하였으나, 금앵자 추출물 첨가에 의해 하락하였다. 혈장HDL-cholesterol량은 금앵자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성지질량은 정상군과 금앵자 첨가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간장의 총 콜레스테롤 량은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지질 량은 정상군과 금앵자 첨가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내 TBARS량은 정상군과 금앵자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간장내 TBARS량은 과산화지질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금앵자 첨가에 의해 하락했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관산화지질 첨가군에서 증가하였으나, 금앵자처리에 의해 하락했다(P〈0.05).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금앵자처리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6.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Oryza sativa L.) plants were cultivated to examine changes in antioxidative defence mechanism induced by elevated ozone levels. Catalase activities in tolerant Jinpumbyeo and susceptible Chucheongbyeo under ozone fumigation were reduced at 5 hrs and 3 hrs after ozone fumigation,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d ozone supply, peroxidase activity in Jinpumbyeo was steadily enhanced whereas in Chucheongbyeo it was not changed. Four SOD-isozymes were detected by NBT staining of native-PAGE. Two isozymes of them were obviously induced by ozone supply, particularly in Jinpumbyeo. The continuous ozone fumigation increased remarkably putrescine levels in leaves whereas it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spermidine and spermine. In this study, it was implied that ozone in cell inhibits strongly diamine oxidase and thus promotes ethylene biosynthesis which will cause the senescence in rice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