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시장에서 소비자 세계주의가 외국 브랜드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이 브랜드 원산지와 명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상대적으로 소비자 적대감이 높은 원산지의 브랜드와 문화적 이질성이 높은 원산지의 브랜드를 수용하는 경향이 높은지를 살펴본다. 동시에 소비자 세계주의의 혁신성과 관련하여서도,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인지도가 낮은 외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지도 검증한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험 설계를 통한 소비자 세계주의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위의 차별적 효과가 확인되 었다. 흥미로운 점은 세계주의 성향이 높은 소비자는 서양권 브랜드는 선호하나, 문화적으로 유사한 동양권 브랜 드, 특히 유명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높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6,400원
        2.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Japanese Researchers and Business Practitioners recognize that Japanese department stores are in a period of decline. In spite of this decline, department stores in Japan still represent a six trillion yen market. Although department stores comprise a significant sector of the Japanese economy, there remain few studies dedicated to research on department stores. In contrast to the extant research, the current study relates to consumer behavior as it relates to the decline in department store sales. This focus is poorly represented in the literatur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addresses two key problems. First, there exists a lack of discussion related to the category under which department stores can be classified. Second (and as alluded to above), there is a lack of unified research on department stores in the fields of commercial scienc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rketing. To redress these shortcomings, the current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factor of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 superiority about the business category of Japanese department store. First, however,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consumers recognize differences between department stores and other retail categories. Further,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nature of that difference. Using a sample of 246 Japanese respondents with internet research, I explore the degree to which consumers recognize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Respondents were generated using service provided by Macromill.inc.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internet users from randomly selected in Hyogo, Osaka, and Kyoto prefectures, in which the competition between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is keenest. And, this study adhere fundamentally to the scales of store images developed by Sakai (2012). The scales consisted of 28 items were measured on 7-point Likert-type opinion statements ranging from strongly agree (7) to strongly degree (1). I then performed t-test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participants’ responses. Results of this analysis serv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articipants’ recognition of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s. Result of t-test analysis demonstrated that 18 of 24 item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further demonstrated that department stores are characterized by Reliability of goods and services and Popular. Shopping Centers are also characterized by Reliability of goods and services and Popular, but are also perceived to have Convenient locations or institutions.
        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현 웨딩부케의 실태를 알아보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부케의 형태, 색상, 소재 등에 대한 의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현재 소비자들의 웨딩부케에 관한 생각과 기호를 분석하여 웨딩부케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12년 동안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분석 한 결과 웨딩잡지에 가장 많이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 태는 원형(37.3%), 내츄럴형(27.1%), 폭포형(16.8%), 암형(7.2%), 초승달형(3.8%), 볼형(1.2%), 기타(6.6%) 였다. 전기에 원형과 함께 높은 비율을 보였던 폭포형, 초승달형이 후기에는 감소하고 원형, 내츄럴형, 암형이 많은 비율을 보였다. 색상빈도 분석 결과 연한 색조로 이루어진 부케(40%), 흰색(35%),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가 함께 쓰인 부케(14%), 진한 색조(10%)였다. 전기에 많은 비율을 보였던 흰색부케는 점차 감소한 반면 연한 색조 부케의 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웨딩부 케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를 분석한 결과 꽃과 잎소재 를 함께 사용한 부케(59.1%)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꽃만 사용한 부케(38.4%), 잎소재만 사용한 부케 (2.6%)였다. 1999년 꽃과 잎소재를 함께 사용한 부케 가 80.9%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꾸준히 감소하여 2010년에는 34.4%가 되었으며 꽃만 사용한 부케는 56.5%로 증가하였다. 소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한 결과 선호하는 부케 디자인 형태는 원형(40.3%)이 가장 많 이 나타났고, 내츄럴형(31.1%), 초승달형(9.2%), 암형 (8.3%), 폭포형(6.3%), 볼형(4.9%) 순으로 나타나 대 체적으로 원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케 선택 시 원하는 꽃의 색상을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볼 때, 연한 색조(55.8%)가 가장 많이 나타 났고,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20.9%), 흰색(13.6%), 진한 색조(9.7%)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부케 선택 시 연한색조의 색상 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선호하는 부케 소재의 사용구성을 분석한 결과는 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60.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꽃과 잎소재를 함께 디자인한 부케(35.4%), 잎소재만 으로 디자인한 부케(3.9%)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2년 동안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태는 원 형이 가장 많았고 후기에는 내츄럴형이 가장 많았으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웨딩부케의 형태는 원형이 가장 많 았다. 색상은 연한 색조의 웨딩부케가 가장 많았고 소 비자도 연한 색조의 웨딩부케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소재는 12년 동안 꽃과 식물소재가 함께 쓰인 웨딩부 케가 가장 많았고 후기에는 꽃만 사용한 웨딩부케가 가장 많았으며 소비자도 꽃만 사용한 웨딩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잡지 분석결과 연도별 웨딩부케의 유행이 변화 하였고 최근 잡지에 나타난 경향과 소비자가 선호하는 부케의 디자인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매체가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지만 현대는 다양성의 시대로 개개 인의 의사와 스타일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렇듯 변화 하는 소비자에 발맞춰 유행에만 따라가기보다 소비자 의 성향과 개성에 맞는 웨딩부케 디자인을 제작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4,000원
        4.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recognition on shelf life of health functional foods to set up their rational expiration date. For this study 107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 to 59 years were randomly selected as major consumer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7.0.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asking a consumer's recognition on the shelf lif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how to treat health function food passing its shelf life. In this study, the consumers were found to pay attentions considerably to the shelf life. But most of them did not know an accurate meaning of the shelf life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mistook it for expiry date. In addition, the consumers doubted safety of health functional foods passing the shelf life. Therefore, education for consumers about an accurate meaning of the shelf life wa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dered to be helpful to set up a reasonable expiration date for health functional food.
        4,000원
        5.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 조형화 과정은 실체적인 존재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며, 최종적으로 제품에 대한 결과를 이끌어 내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조형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디자이너의 주도적인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 다양한 조형 요소들을 활용하여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제품 형태의 조형화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요소들이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시각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소비자가 제품의 조형화 과정에 직접적인참여를 하는 방법과 소비자의 요구가 보다 효율적으로 조형화 과정에 반영되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제시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품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정립을 선행하여 기본적인 제품 조형 구성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제품 조형요소와 제품 조형원리를 일부 설정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55개의 컨셉 제품과 64개의 스피커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반응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일부 실험 자극물을 이용하여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 결과 소비자와 디자이너는 형태의 조형 요소에 대해 어느 정도 시각 차이를 보이며 이는 디자이너의 경우 주관적인 디자인 통념에 의해서, 소비자의 경우 제품에 대한 미숙한 시각적 이해에 의해서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이너는 소비자의 최종적인 감성반응을 이끌어내는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형태에 대한 시각 차이를 이해하고, 형태 조형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조형요소의 구성을 활용 할 수 있다고 본다.
        4,300원
        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자인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참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소비자들은 제품의 형태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나 제안을 하기도 하며, 기업에서도 이러한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제품의 형태를 다루는 데에 있어서 소비자와 디자이너는 어느 정도의 시각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곧 제품 조형화 과정에 있어서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방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제품 형태에 대한 감성반응에 대한 특징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을 알아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제품 형태에 대한 감성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먼저 제품 형태 기반의 감성 이미지 어휘에 대한 정립을 진행하였다. 정립된 이미지 어휘를 기반으로 각각 소비자와 디자이너에게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형태에 대한 감성 반응은 유의한 성향을 띄게 되는데 이 때 디자이너가 소비자에 비해 보다 극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특징이 나타났다.
        4,000원
        7.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er recognition of commercial Sunsik & Saengsik.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395 married women residing in Seoul and Kyungki area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related purpose was to analyze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the hygienic safety of commercial Sunsik and Saengsik.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user groups. Sunsik users have generally purchased the products at a discount store(41.0%) as a between-meal snack(36.4%). The products were usually the ones made on the spot(55.0%). However, Saengsik users have purchased the manufactured products-serving size package-(84.0%) at a health foods store(50.7%) as a health food(38.7%). Many of Sunsik users have had Sunsik in water or milk with sugar(40.7%) and 1-2 times a week(40.0%). But Saengsik users have usually had Saengsik in water or milk with honey(38.6%) and everyday(34.7%).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nutrition composition, crude proteins were significantly more rich in Sunsik samples, and crude ashes were more rich in Saengsik samples(p〈0.01). Sunsik E and all the Saengsik samples showed the high total viable plate counts of 4.8~7.0 log cfu/g. Coliform groups were detected in all the Saengsik and two Sunsik(A, E) samples.
        4,000원
        8.
        200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umer recognition and consumption of Misitgaru(the traditional powder of roast grai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605 housewives(average age, 42.9 years old) residing in Chonbuk area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pondants were generally concerned regarding Misitgaru as a between-meal snack(33%). And there were recognition on Misitgaru as a weaning food(17%), health food(16%), and substitute food(14%). Of the respondants, good consumers of the Misitgaru were high ratio in age below 30 years old and in number of family member between 6 to 7.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educational level and housing form especially affected the purchasing place and educational level affected the kinds of mixing cereals.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more the kinds of mixing cereals. The methods of stor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income level. The older in age and higher in income level, the higher the storage at room temperature.
        4,000원
        9.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mption of meat processing products in was creased in Korean recently. Morever the demand of tasted meat processing products being gradual increase in general tendency, and so we expect that in the continuing of westernizing for food life and universalizing of urvanism, the demand of meat processing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eat processing industries, consummeris particular behaviors were analyzed as for consummer's recognition, recognition of problem, the evaluation of substitutional proposal, the decision of purchasing intention an purchasing behavior and the evaluation of post-purchasing to the meat processing products.
        4,200원
        1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consumer recognition in relationship of local food tou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tion i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food. Questionnaire survey target was women in 30s and 40s. The local food tour experience is independent variable, intention of action is dependent variable, and consumer recognition is analyzed as mediated variable. As a result, consumer recognition which is mediating variable has two subordinated variables. One is direct affect and the other is indirect affect. Between local food tou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action,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Thus, through tour experience, consumer can have positive recognition of freshness, safety, health, taste, price, job creation and relationship. That affects to the intention of 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learn success case for marketing revitalization, and develop and operate experiencing tour education program to manage customer continuously.